2022년 2월 13일 일요일

한자 便에 관한 단어는 모두 539개

한자 便에 관한 단어는 모두 53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便에 관한 단어는 모두 539개

  • 변 (便) : 대변과 소변을 아울러 이르는 말. 주로 대변을 이른다.
  • 편 (便) : 사람이 오고 가거나 물건을 부쳐 보내는 데 이용하는 기회나 수단.
  • 편 (便) : '편하다'의 어근. (편하다: 몸이나 마음이 거북하거나 괴롭지 아니하여 좋다., 쉽고 편리하다.)
  • 편 (便) : 여러 패로 나누었을 때 그 하나하나의 쪽.
  • 편 (便/偏) : 상대하는 두 편 가운데, 어느 한 편을 이르는 말.
  • 가편 (可便) : 회의에서 안건을 표결할 때 찬성하는 편.
  • 간편 (簡便) : '간편하다'의 어근. (간편하다: 간단하고 편리하다.)
  • 감편 (減便) : 정기적인 교통편의 횟수를 줄임.
  • 검변 (檢便) : 병균이나 기생충 따위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변을 검사하는 일.
  • 경변 (硬便) : 되게 나오는 똥.
  • 경편 (輕便) : 가볍고 편하거나 손쉽고 편리함.
  • 공편 (公便) : '공편하다'의 어근. (공편하다: 공평하고 서로 편리하다.)
  • 구편 (鳩便) : 길들인 비둘기를 이용하여 통신함. 또는 그 통신.
  • 궁편 (궁便) : 장구나 북에서, 손으로 치는 왼쪽 가죽면.
  • 귀편 (貴便) :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인편을 높여 이르는 말.
  • 그편 (그便) : 듣는 이에게 가까운 곳이나 방향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 급편 (急便) : 급한 일을 알리는 편지. 또는 급히 전하는 편지.
  • 난편 (難便) : '난편하다'의 어근. (난편하다: 몹시 불편하다.)
  • 남편 (男便) : 혼인하여 여자의 짝이 된 남자.
  • 남편 (南便) : 남쪽 편.
  • 내편 (來便) : 오는 인편(人便).
  • 녹변 (綠便) : 푸르스름한 똥. 특히, 젖먹이가 소화 불량 따위로 누는 짙은 녹색의 똥을 이른다.
  • 대변 (大便) : '똥'을 점잖게 이르는 말. (똥: 사람이나 동물이 먹은 음식물을 소화하여 항문으로 내보내는 찌꺼기., 먹물이 말라붙은 찌꺼기., 쇠붙이가 녹았을 때 나오는 찌꺼기., 하층 사회의 은어로, '금'을 이르는 말. (금: 황색의 광택이 있는 금속 원소. 금속 가운데 퍼지는 성질과 늘어나는 성질이 가장 크다.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되고, 공기 중에서도 산화되지 않는다. 원자 번호는 79, 원소 기호는 Au, 원자량은 196.967., 문서에서 돈을 이르는 말., 금으로 만들거나 금으로 도금한 메달. 주로 운동 경기나 그 밖의 각종 대회에서 우승한 사람에게 준다., '금색', '금제'의 뜻을 나타내는 말.), 화투 놀이에서, '오동'을 이르는 말. (오동: 화투에서, 오동나무 모양이 그려져 있는 화투장. 11월이나 열한 끗을 나타낸다.))
  • 동변 (童便) : 12살 이하인 사내아이의 오줌. 두통, 학질, 번갈(煩渴), 해수(咳嗽), 골절상, 부기(浮氣) 따위에 쓴다.
  • 동편 (東便) : 동쪽 편.
  • 동편 (東便) : 조선 영조 때의 명창 송흥록의 법제(法制)를 이어받은 판소리의 한 유파. 호남의 동쪽인 운봉ㆍ구례ㆍ순창ㆍ흥덕 등지에서 발달하였으며, 웅건하고 그윽한 우조(羽調)를 바탕으로 한다.
  • 뒤편 (뒤便) : 나중의 인편(人便)이나 차편(車便).
  • 미편 (未便) : '미편하다'의 어근. (미편하다: 편안하지 않다.)
  • 발편 (撥便) : 예전에, 나라의 급한 소식을 알리거나 문서를 전하기 위하여 발군(撥軍)이 가는 인편을 이르던 말.
  • 방편 (方便) : 십바라밀의 하나.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쓰는 묘한 수단과 방법이다.
  • 배변 (排便) : 대변을 몸 밖으로 내보냄.
  • 배편 (배便) : 배가 사람이나 물건을 싣고 오고 가는 편(便).
  • 변기 (便器) : 똥이나 오줌을 누도록 만든 기구.
  • 변독 (便毒) : 손목 부근에 있는 경외 기혈.
  • 변방 (便房) : '변소'를 완곡하게 이르는 말. (변소: 대소변을 보도록 만들어 놓은 곳.)
  • 변비 (便祕) : 대변이 대장 속에 오래 맺혀 있고, 잘 누어지지 아니하는 병.
  • 변소 (便所) : 대소변을 보도록 만들어 놓은 곳.
  • 변시 (便是) : 다른 것이 아니라 곧.
  • 변연 (便娟) : 민첩하고 아름다운 자태.
  • 변옹 (便癰) : 임질이나 하감(下疳)의 독성으로 인하여 가래톳이 생기는 병.
  • 변의 (便意) : 대소변이 마려운 느낌.
  • 변탁 (便濁) : 비뇨 기관 계통의 염증, 결핵, 종양 때문에 소변이 흐린 병. 쌀 씻은 물처럼 뿌옇게 흐린 것은 백탁, 색이 벌건 것은 적탁이라고 한다.
  • 변통 (便通) : 변비로 잘 나오지 아니하던 똥이 잘 나오게 되는 일.
  • 변통 (便痛) : 대변을 볼 때 통증이 있는 증상.
  • 변폐 (便閉) : 대변이 꽉 막혀 나오지 않음. 또는 그런 증상.
  • 변혈 (便血) : '분변혈'의 전 용어. (분변혈: 대변에 섞여 나오는 피.)
  • 변호 (便壺) : 똥이나 오줌을 받아 내는 그릇.
  • 별편 (別便) : 별도로 보내는 편지.
  • 볼편 (볼便) : 볼을 이룬 부분.
  • 부편 (否便) : 회의에서 안건을 표결할 때 반대하는 편.
  • 북편 (北便) : 북쪽 편.
  • 북편 (북便) : 장구나 북에서, 손으로 치는 왼쪽 가죽면.
  • 분변 (糞便) : 사람이나 동물이 먹은 음식물을 소화하여 항문으로 내보내는 찌꺼기.
  • 불편 (不便) : 몸이나 마음이 편하지 아니하고 괴로움.
  • 비편 (非便) : '비편하다'의 어근. (비편하다: 순조롭지 아니하거나 편하지 아니하다., 부자연스럽고 느낌이 거북하다.)
  • 서편 (西便) : 조선 후기의 명창 박유전(朴裕全)의 법제(法制)를 이어받은 판소리의 한 유파. 섬진강 서쪽, 곧 보성ㆍ광주ㆍ나주 등지에서 성하였는데, 음색이 곱고 애절하다.
  • 서편 (西便) : 서쪽 편.
  • 선편 (船便) : 배가 사람이나 물건을 싣고 오고 가는 편(便).
  • 선편 (先便) : 앞선 편. 또는 지난번의 편.
  • 소변 (小便) : '오줌'을 점잖게 이르는 말. (오줌: 혈액 속의 노폐물과 수분이 신장에서 걸러져서 방광 속에 괴어 있다가 요도를 통하여 몸 밖으로 배출되는 액체. 빛깔은 누렇고 지린내가 난다.)
  • 수편 (隨便) : 편한 것을 따름.
  • 수편 (壽便) : 장수하고 편안함.
  • 숙변 (宿便) : 제때에 배설하지 못하여 장 속에 오래 묵어 있는 대변.
  • 순편 (順便) : 돌아가거나 돌아오는 인편(人便).
  • 순편 (順便) : '순편하다'의 어근. (순편하다: 마음이나 일의 진행 따위가 거침새가 없고 편하다.)
  • 시편 (時便) : 시계에서, 시곗바늘을 돌아가게 하는 기계의 부분.
  • 시편 (媤便) : 남편의 집안 쪽.
  • 신편 (信便) : 믿을 만한 인편(人便).
  • 액변 (液便) : 설사할 때 나오는, 물기가 많은 묽은 똥.
  • 양변 (兩便) : 대변과 소변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양편 (兩便) : 두 쪽 다 원만하고 편함.
  • 양편 (兩便) : 상대가 되는 두 편.
  • 온편 (穩便) : '온편하다'의 어근. (온편하다: 사리에 맞고 원만하다., 안온하고 편리하다.)
  • 외편 (外便) : 어머니 쪽의 일가.
  • 왼편 (왼便) : 북쪽을 향하였을 때의 서쪽과 같은 쪽.
  • 용변 (用便) : 대변이나 소변을 봄. 또는 그 대소변.
  • 우편 (郵便) : 정부의 관할 아래 서신이나 기타 물품을 국내나 전 세계에 보내는 업무.
  • 우편 (右便) : 북쪽을 향하였을 때의 동쪽과 같은 쪽.
  • 월편 (越便) : 마주 대하고 있는 저편.
  • 위편 (위便) : 위가 되는 쪽.
  • 음편 (音便) : 음이 연속될 때, 어떤 음이 발음하기 쉬운 다른 음으로 변하는 현상. 'ㄹ' 아래에서의 '이'를 '리'로 발음하는 것 따위이다.
  • 이변 (二便) : 대변과 소변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이편 (利便) : 편하고 이로우며 이용하기 쉬움.
  • 이편 (이便) : 말하는 이에게 가까운 곳이나 방향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 인편 (人便) : 오거나 가는 사람의 편.
  • 일편 (一便) : 어떤 일의 한 측면.
  • 임편 (任便) : 편할 대로 함.
  • 잉편 (仍便) : '잉편하다'의 어근. (잉편하다: 늘 편안하다.)
  • 자편 (自便) : 자기 한 몸의 편안함을 꾀함.
  • 저편 (저便) : 말하는 이와 듣는 이로부터 멀리 있는 곳이나 방향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 전편 (轉便) : 이 사람 저 사람 손을 거쳐 전하여 보냄. 또는 그런 인편(人便).
  • 전편 (傳便) : 딴 일로 가는 길을 이용하여 편지나 소식을 곁들여 전하는 인편(人便).
  • 전편 (前便) : 말하는 때 이전의 인편(人便)이나 차편(車便).
  • 전편 (專便) : 어떤 일을 부탁하여 특별히 보내는 인편(人便).
  • 점편 (占便) : 편리한 방법을 골라서 가림.
  • 종편 (鐘便) : 자명종에서 종이 울리도록 되어 있는 부분.
  • 종편 (從便) : 어떤 일을 처리할 때 편한 대로 따름.
  • 좌편 (左便) : 북쪽을 향하였을 때의 서쪽과 같은 쪽.
  • 주편 (主便) : 자기에게 편하도록 스스로 주장함.


https://dict.wordrow.kr에서 便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尺에 관한 단어는 모두 267개

한자 尺에 관한 단어는 모두 26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尺에 관한 단어는 모두 267개

  • 척 (尺) : 길이의 단위. 1척은 한 치의 열 배로 약 30.3cm에 해당한다.
  • 척 (尺) : 공척보(工尺譜)에서, '임종'을 이르는 말. (임종: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여덟째 음. 육려의 하나로 방위는 미(未), 절후는 음력 6월에 해당한다.)
  • 가척 (歌尺) : 신라 때에, 노래를 부르던 사람.
  • 가척 (笳尺) : 신라 때에, 피리를 불던 악공.
  • 간척 (干尺) : 조선 시대에, 신분은 양인이면서 천인이 하는 일을 생업으로 하던 사람. 봉화를 올리던 봉화간(烽火干), 소금을 만들던 염간(鹽干), 나룻배의 사공이던 진척(津尺), 소를 잡던 화척(禾尺) 따위이다.
  • 검척 (檢尺) : 윤척(輪尺)으로 통나무의 지름을 재는 일.
  • 검척 (劍尺) : 곱자 한 자 두 치를 8등분하여 나타낸 자. 칼이나 검, 불상(佛像) 따위를 잴 때 쓴다.
  • 경척 (徑尺) : 한 치의 지름.
  • 경척 (鯨尺) : 피륙을 재는 자의 한 가지. 원래 고래수염으로 만든 데서 유래한 말로, 그 길이는 곱자의 한 자 두 치 닷 푼이다.
  • 계척 (戒尺) : 계를 일러 줄 때 법식의 진행을 규율 있게 하거나, 또는 독경할 때 박자를 맞추기 위하여 치는 기구.
  • 계척 (界尺) : 괘선을 긋는 데 쓰는 자.
  • 곡척 (曲尺) : 나무나 쇠를 이용하여 90도 각도로 만든 'ㄱ' 자 모양의 자.
  • 구척 (矩尺) : 나무나 쇠를 이용하여 90도 각도로 만든 'ㄱ' 자 모양의 자.
  • 구척 (鉤尺) : 신라 때에, 고관가전(古官家典)에 속하여 농업 용구의 관리를 맡아보던 벼슬.
  • 구척 (球尺) : 구면의 곡률 반지름을 재는 계기.
  • 궁척 (弓尺) : 조선 후기에, 무과의 합격자로서 전직(前職)이 없던 사람.
  • 권척 (卷尺) : 헝겊이나 강철로 띠처럼 만든 자. 둥근 갑 속에 말아 두었다가 필요한 때에 풀어 쓴다.
  • 금척 (琴尺) : 신라 때에, 가야금을 타던 악공.
  • 금척 (金尺) : 금척무(金尺舞)를 출 때에 쓰는, 금빛이 나는 자. 조선 태조가 건국하기 전에 꿈에 신선이 나타나 주었다는 자를 상징하여 만들었다.
  • 단척 (短尺) : 정한 자수에 차지 못하는 피륙 따위의 길이.
  • 답척 (踏尺) : 묘지의 거리를 잴 때 땅의 높고 낮음을 따라서 줄을 땅바닥에 붙이고 치수를 헤아림.
  • 당척 (唐尺) : 중국의 당나라에서 길이를 잴 때에 쓰던 자. 흔히 1척은 10촌이 되는 길이이나 대척(大尺)과 소척(小尺)에 따라 길이를 재는 기준이 달랐다.
  • 대척 (大尺) : 신라 문무왕 10년(670)에 설치한 촌도전의 무관 벼슬.
  • 도척 (度尺) : 평가하거나 측정할 때 의거할 기준.
  • 도척 (刀尺) : 사람의 진퇴(進退), 임면(任免)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척 (銅尺) : 구리로 만든 자.
  • 동척 (童尺) : 짧은 나무 자.
  • 목척 (木尺) : 신라 때에, 전읍서에 속한 구실아치. 척(尺)은 장(匠)이라는 뜻으로, 목수를 뜻한다.
  • 목척 (木尺) : 나무로 만든 자.
  • 무척 (舞尺) : 신라 때에, 춤을 추던 악공.
  • 묵척 (墨尺) : 목수가 나무에 먹으로 금을 그을 때 쓰는 'T' 자 모양의 자.
  • 배척 (倍尺) : 도면에 그린 크기가 실물의 크기보다 클 경우의 확대 비율.
  • 부척 (浮尺) : 무덤 자리의 거리를 잴 때, 땅바닥의 높낮이를 따라 줄을 땅바닥에 붙이지 아니하고 일직선으로 팽팽하게 하여 수평 거리를 헤아리는 일.
  • 부척 (副尺) : '아들자'의 전 용어. (아들자: 길이나 각도를 잴 때에 보다 정밀하게 재기 위하여 덧붙여 쓰는 자.)
  • 사척 (斜尺) : 제도할 때 쓰는 자의 하나. 단위의 길이의 분수를 재는 것으로, 단위의 폭을 10등분 하여 평행으로 가로줄을 긋거나, 자의 한쪽 끝 길이를 취하고 그것을 10등분 하여 수직 평행선 및 평행 사선을 긋는 데 쓴다.
  • 산척 (山尺) : 산속에 살면서 사냥하고 약초 캐는 일을 하는 사람.
  • 산척 (山尺) : 산을 재는 데 쓰는 자.
  • 삼척 (三尺) : 길이가 석 자 정도 되는 긴 칼.
  • 서척 (書尺) : 안부, 소식, 용무 따위를 적어 보내는 글.
  • 선척 (先尺) : 돈을 받기 전에 먼저 건네던 영수증.
  • 수척 (水尺) : 후삼국ㆍ고려 시대에, 떠돌아다니면서 천업에 종사하던 무리. 대개 여진의 포로 혹은 귀화인의 후예로서 관적(貫籍)과 부역이 없었고 떠돌아다니면서 사냥을 하거나 고리를 만들어 파는 것을 업으로 삼았는데, 이들에게서 광대, 백정, 기생 들이 나왔다고 한다.
  • 수척 (數尺) : 두서너 자. 또는 여러 자.
  • 승척 (繩尺) : 먹줄과 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실척 (實尺) : 물체의 크기를 실제 그대로 자로 재어 나타냄.
  • 아척 (阿尺) : 신라 때에 둔, 외위(外位)의 맨 아래 등급. 경위(京位)의 조위(遭位)에 해당한다.
  • 여척 (餘尺) : 옷감 따위의 길이를 잴 때 일정한 분량을 재고 여분으로 더 잡는 길이.
  • 영척 (盈尺) : 한 자 정도.
  • 영척 (英尺) : 영국에서 쓰는 자의 하나.
  • 옥척 (玉尺) : 옥으로 만든 자.
  • 월척 (越尺) : 낚시에서, 낚은 물고기가 한 자가 넘음. 또는 그 물고기.
  • 유척 (鍮尺) : 놋쇠로 만든 표준 자. 보통 한 자보다 한 치 더 긴 것을 단위로 하며 지방 수령이나 암행어사 등이 검시(檢屍)할 때 썼다.
  • 유척 (遊尺) : 계산자에서 가운데 홈에 끼이어 이쪽저쪽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 자.
  • 윤척 (輪尺) : 통나무 따위의 지름을 재는 기구.
  • 율척 (律尺)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인척 (印尺) : 조세를 받은 표.
  • 인척 (人尺) : 사람의 키를 재는 자.
  • 일척 (일尺) : 신라 때에 둔 외위(外位)의 아홉째 등급. 경위(京位)의 대오(大烏)에 해당한다.
  • 잔척 (殘尺) : 자로 재어 팔거나 재단하다가 남은 천의 조각.
  • 잡척 (雜尺) : 잡직에 있던 사람.
  • 장척 (丈尺) : 열 자 길이가 되게 장대로 만든 자.
  • 장척 (長尺) : 예전에, 자의 길이가 일정하지 아니하던 때의 가장 기다란 자.
  • 전척 (田尺) : 논밭을 재는 데 쓰던 자. 땅의 등급에 따라 각각 길이가 달랐다.
  • 절척 (絕尺) : 피륙을 몇 자씩 끊음.
  • 절척 (折尺) :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만든 자.
  • 접척 (摺尺) :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만든 자.
  • 조척 (照尺) : 총을 목표물에 조준할 때 이용하는 장치의 하나. 총구에서 먼 개머리판 쪽, 총신 위쪽에 붙어 있는 쇳조각으로, 가늠구멍을 만들어 놓았다.
  • 주척 (周尺) : 자의 하나. 주례(周禮)에 규정된 자로서, 한 자가 곱자의 여섯 치 육 푼, 즉 23.1cm이다.
  • 주척 (鑄尺) : 암행어사가 지니고 다니던, 놋쇠로 만든 표준 자.
  • 주척 (主尺) : '어미자'의 전 용어. (어미자: 고정되어 있는 자를 아들자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큰 치수를 재는 데 쓴다.)
  • 죽척 (竹尺) : 대나무로 만든 자.
  • 준척 (準尺) : 낚시에서, 길이가 거의 한 자가 되는 물고기를 이르는 말.
  • 지척 (咫尺) : 아주 가까운 거리.
  • 진척 (津尺) : 고려ㆍ조선 시대에, 나룻배의 사공 노릇을 하던 천민.
  • 척각 (尺角) : 사방이 한 자인 재목.
  • 척간 (尺簡) : 고대에 글을 쓰던 대쪽이나 나무쪽. 매우 적은 분량의 간찰(簡札)이나 서적을 이르는 말이다.
  • 척계 (尺計) : 방의 칸수나 건물의 높이, 폭 따위를 계산하는 일.
  • 척골 (尺骨) : 팔의 아랫마디에 있는 두 뼈 가운데 안쪽에 있는 뼈.
  • 척도 (尺度) : 자로 재는 길이의 표준.
  • 척독 (尺牘) : 길이가 한 자 정도 되는, 글을 적은 널빤지.
  • 척동 (尺童) : 열 살 안팎의 어린아이.
  • 척량 (尺量) : 자로 잼.
  • 척맥 (尺脈) : 한방에서 진찰하는 맥박의 하나. 노뼈의 끝부분에 있는 노동맥의 맥박으로 약손가락으로 짚이는 맥이다.
  • 척문 (尺文) : 예전에, 세금 따위를 받고 내어 주던 영수증.
  • 척벽 (尺璧) : 직경이 한 자 정도나 되는 구슬이라는 뜻으로, 크고 아름다운 보석을 이르는 말.
  • 척병 (尺兵) : 대수롭지 아니한 칼이나 병기(兵器).
  • 척부 (尺膚) : 팔꿈치와 팔목 사이의 안쪽 살갗.
  • 척서 (尺書) : 길이가 한 자 정도 되는, 글을 적은 널빤지.
  • 척설 (尺雪) : 많이 쌓인 눈.
  • 척소 (尺素) : 글이나 편지를 쓰던 한 자 길이의 생견(生絹)을 이르던 말. 나중에는 편지의 의미로 쓰였다.
  • 척수 (尺數) : 길이에 대한 몇 자 몇 치의 셈.
  • 척수 (尺水) : 얼마 안 되는 물. 또는 얕은 물.
  • 척아 (尺蛾) : 자나방과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척어 (尺魚) : 연어과의 민물고기. 몸의 길이는 1.5미터 이상이며, 등 쪽은 감람색에 작은 비늘이 있고 배는 은백색이다. 몸 옆에는 작은 갈색의 얼룩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압록강, 두만강, 장진강 등지에 산다.
  • 척요 (尺腰) : 향령무 제2박에서, 여섯 사람이 모두 손을 떨어뜨리고 두 발을 각각 두 번씩 떼어 옮기는 춤사위.
  • 척저 (尺楮) : 길이가 한 자 정도 되는, 글을 적은 널빤지.
  • 척적 (尺籍) : 예전에, 군사 명령이나 군사들의 공적을 기록하던 사방 한 자의 널빤지.
  • 척정 (尺釘) : 길이가 한 자쯤 되는 못.
  • 척지 (尺紙) : 작은 종잇조각.
  • 척지 (尺地) : 얼마 안 되는 좁은 땅.


https://dict.wordrow.kr에서 尺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儲에 관한 단어는 모두 37개

한자 儲에 관한 단어는 모두 3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儲에 관한 단어는 모두 37개

  • 건저 (建儲) : 왕의 자리를 계승할 왕세자나 황태자를 정하던 일.
  • 공저 (公儲) : 정부에서 하는 저축. 곡식을 비축하는 것 따위를 이른다.
  • 동저 (東儲) : 임금의 자리를 이을 왕자.
  • 두저 (斗儲) : 약간의 저축.
  • 병저 (兵儲) : 병력을 확보함.
  • 저군 (儲君) : 황제국에서, 황제의 자리를 이을 황제의 아들.
  • 저궁 (儲宮) : 제후국에서, 임금의 자리를 이을 임금의 아들.
  • 저류 (貯留/儲留) : 트랩 상태에서, 원유나 천연가스가 지하에 모여 쌓이는 일.
  • 저름 (儲廩) : 쌀을 쌓아 두는 곳간.
  • 저리 (儲利) : 이익을 얻음. 또는 그 이익.
  • 저사 (儲嗣) : 제후국에서, 임금의 자리를 이을 임금의 아들.
  • 저위 (儲位) : 왕세자의 지위.
  • 저이 (儲貳) : 황태자나 왕세자를 달리 이르는 말. 임금 다음가는 지위에 있다는 뜻이다.
  • 적저 (積貯/積儲) : 쌓아 모음.
  • 존저 (存貯/存儲) : 남겨서 모음.
  • 탁저 (擢儲) : 왕세자로 뽑아 세움.
  • 폐저 (廢儲) : 왕세자를 폐함.
  • 황저 (皇儲) : 황제의 뒤를 이을 황태자.
  • 저경궁 (儲慶宮) : 궁정동 칠궁의 하나. 조선 시대에, 인조가 임금이 되기 전에 거처하던 집. 원래 이름은 '송현궁(松峴宮)'이었으나 영조 때 인조의 생조모인 인빈(仁嬪) 김씨(金氏)의 신위(神位)를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면서 이 이름으로 고쳤다. 지금의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의 한국은행 뒤로, 전의 서울 대학교 치과 대학 자리에 해당한다.
  • 저적창 (儲積倉) : 고려ㆍ조선 시대에, 궁중의 큰 제사에 쓸 제물을 맡아보던 관아. 충선왕 때 전농사를 고친 것으로, 공민왕 5년(1356)에 사농시로 고쳐 조선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 저치국 (儲置局) : 구한말에, 탁지아문에 속한 한 부서. 고종 31년(1894)에 설치하였다가 이듬해 없앴다.
  • 저치미 (儲置米) : 비상시에 대비하여 나라에서 비축하던 쌀.
  • 풍저창 (豐儲倉) : 고려 시대에, 중앙의 모든 경비(經費)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충렬왕 34년(1308)에 우창을 고친 것이다.
  • 구년지저 (九年之儲) : 오랫동안 먹을 수 있을 만큼 많은 식량.
  • 담석지저 (儋石之儲) : 얼마 되지 아니하는 저축.
  • 병저하다 (兵儲하다) : 병력을 확보하다.
  • 저류되다 (貯留되다/儲留되다) : 트랩 상태에서, 원유나 천연가스가 지하에 모여 쌓이다.
  • 저류하다 (貯留하다/儲留하다) : 트랩 상태에서, 원유나 천연가스가 지하에 모여 쌓이다.
  • 저리하다 (儲利하다) : 이익을 얻다.
  • 적저되다 (積貯되다/積儲되다) : 쌓여 모이다.
  • 적저하다 (積貯하다/積儲하다) : 쌓아 모으다.
  • 존저하다 (存貯하다/存儲하다) : 남겨서 모으다.
  • 탁저하다 (擢儲하다) : 왕세자로 뽑아 세우다.
  • 폐저하다 (廢儲하다) : 왕세자를 폐하다.
  • 건저의 사건 (建儲議事件) : 조선 선조 24년(1591)에, 왕세자 책봉 문제를 둘러싸고 동인과 서인 사이에 일어난 정치 문제. 서인인 정철 등이 동인의 모함으로 권좌에서 물러났다.
  • 풍저창 위전 (豐儲倉位田) : 고려ㆍ조선 시대에, 왕실과 정부의 재정을 보충하기 위하여 풍저창에 배당한 토지.
  • 건저 문제 (建儲問題) : 조선 선조 24년(1591)에, 왕세자 책봉 문제를 둘러싸고 동인과 서인 사이에 일어난 정치 문제. 서인인 정철 등이 동인의 모함으로 권좌에서 물러났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儲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幞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한자 幞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幞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 복두 (幞頭) : 조선 시대에,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홍패를 받을 때 쓰던 관(冠). 사모같이 두 단(段)으로 되어 있으며, 위가 모지고 뒤쪽의 좌우에 날개가 달려 있다.
  • 복두봉 (幞頭峯) :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산. 높이는 1,017미터.
  • 복두점 (幞頭店) : 고려 시대에, 서경에 둔 모자를 만드는 수공장. 또는 그 모자를 팔던 시전.
  • 모라복두 (帽羅幞頭) : 조선 시대에, 전악(典樂)이 공복(公服)에 쓰던 모자. 이 관을 쓰고 청삼을 입고 오정대를 띠며 흑피화를 신는 것이 정한 법식이었다.
  • 복두쟁이 (幞頭쟁이) : 과거에 급제하여 복두를 쓴 사람을 낮잡아 이르던 말.


https://dict.wordrow.kr에서 幞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擴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3개

한자 擴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3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擴에 관한 단어는 모두 113개

  • 확대 (擴大) : 모양이나 규모 따위를 더 크게 함.
  • 확산 (擴散) : 흩어져 널리 퍼짐.
  • 확연 (擴延) : 시간, 공간 따위의 연속적인 확대나 연장.
  • 확장 (擴張) : 범위, 규모, 세력 따위를 늘려서 넓힘.
  • 확전 (擴戰) : 싸움을 더욱 크게 벌임.
  • 확충 (擴充) : 늘리고 넓혀 충실하게 함.
  • 미확산 (未擴散) : 아직 흩어져 널리 퍼지지 않음.
  • 불확대 (不擴大) : 확장하여 크게 하지 아니함.
  • 비확산 (非擴散) : 흩어져 널리 퍼지지 않음.
  • 점확관 (漸擴管) : 물체를 흘려 보내면서 그것의 절단면을 점차 넓혀 주는 관.
  • 확대경 (擴大鏡) : 물체의 확대된 정립상(定立像)을 보기 위한 도구. 흔히 한 개의 볼록 렌즈를 쓴다.
  • 확대근 (擴大筋) : 넓게 벌리는 기능을 하는 근육. 동공 확대근 따위가 있다.
  • 확대기 (擴大機) : 사진 따위를 확대하는 데에 쓰는 기계.
  • 확대도 (擴大圖) : 실물을 일정한 비율로 확대하여 그린 그림.
  • 확대법 (擴大法) : 모양이나 규모 따위를 더 크게 하는 방법.
  • 확대비 (擴大比) : 닮은꼴에서 서로 대응되는 부분이 늘어나 크게 된 비율.
  • 확대율 (擴大率) : 확대경을 통하여 실물을 확대한 비율.
  • 확대척 (擴大尺) : 제도에서, 물체를 도면 위에 상세하고 정확하게 그리는 데에 쓰는 기구.
  • 확대체 (擴大體) : 어떤 체(體)를 포함하는 더 넓은 범위의 체. 예를 들면, 복소수체는 실수체의 확대체이고, 실수체는 유리수체의 확대체이다.
  • 확산광 (擴散光) : 모든 방향으로 진행되는 반사광 또는 투과광. 요철이 있는 표면에서 반사된 빛, 반투명체인 젖빛 유리를 투과한 빛 따위이다.
  • 확산권 (擴散圈) : 원자 상태의 공기 알갱이들이 우주 공간으로 빠져나가는 대기의 위층. 지구 대기로부터 행성 공간으로 넘어가는 중간층이다.
  • 확산성 (擴散性) : 어떤 병이 넓은 부위에 걸쳐 퍼져 있는 성질.
  • 확산체 (擴散體) : 방 안에서 소리를 사방으로 흩어지게 하는 물체. 방송실, 녹음실, 음악당 따위에서 소리를 고루 퍼지게 하기 위하여 벽면이나 천장 면을 1미터 안팎의 크기로 불룩불룩 나오게 한 것과 같은 것이다.
  • 확성기 (擴聲器) : 소리를 크게 하여 멀리까지 들리게 하는 기구.
  • 확장세 (擴張勢) : 범위, 규모, 세력 따위를 늘려 넓히는 기세.
  • 확장자 (擴張字) : 파일 종류를 구별하기 위하여 파일명의 마침표 뒤에 붙이는 문자. 예를 들어, 파일명 'aaa.hwp'에서 'hwp'를 이른다.
  • 자기확산 (自己擴散) : 같은 종류의 원자나 분자가 열운동에 의하여 서로 위치를 바꾸는 일. 완전히 동일한 원자나 분자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관측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위 원소를 이용하여 관측한다.
  • 질확대경 (膣擴大鏡) : 질(膣) 속에 집어넣어 질벽 및 질부나 자궁을 노출하여서 시진(視診)이나 수술을 편리하게 하는 기구.
  • 확대되다 (擴大되다) : 모양이나 규모 따위가 더 크게 되다.
  • 확대일로 (擴大一路) : 사태 따위가 곧장 확대되어 가는 형세.
  • 확대하다 (擴大하다) : 모양이나 규모 따위를 더 크게 하다.
  • 확대회의 (擴大會議) : 결의권이 있는 구성원 외에 관계자들을 광범위하게 참가하게 하는 회의.
  • 확산되다 (擴散되다) : 흩어져 널리 퍼지게 되다.
  • 확산하다 (擴散하다) : 서로 농도가 다른 물질이 혼합할 때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같은 농도가 되다.
  • 확이충지 (擴而充之) : 넓혀 충실하게 함.
  • 확장되다 (擴張되다) : 범위, 규모, 세력 따위가 늘어나서 넓어지다.
  • 확장하다 (擴張하다) : 범위, 규모, 세력 따위를 늘려서 넓히다.
  • 확충되다 (擴充되다) : 늘어나고 넓어져서 충실하게 되다.
  • 확충하다 (擴充하다) : 늘리고 넓혀 충실하게 하다.
  • 미확산하다 (未擴散하다) : 아직 흩어져 널리 퍼지지 아니하다.
  • 불확대하다 (不擴大하다) : 확장하여 크게 하지 아니하다.
  • 비확산하다 (非擴散하다) : 흩어져 널리 퍼지지 아니하다.
  • 확이충지하다 (擴而充之하다) : 넓혀 충실하게 하다.
  • 생산력 확충 (生産力擴充) : 국민 경제의 생산력을 높이는 일.
  • 쌍극성 확산 (雙極性擴散) : 플라스마 가운데의 전자나 이온 따위와 같이 양 또는 음의 전하를 가진 미소 입자가 서로 작용하면서 같은 방향으로 행하는 확산. 전하의 중화가 대부분 정확히 성립되어 있는 데 기인한다.
  • 양극성 확산 (兩極性擴散) : 플라스마 가운데 전자나 이온 따위 양음의 전기를 띤 입자가 서로 작용하면서 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확산.
  • 인간의 확장 (人間의擴張) : 인간의 기술 발달에 따른 인간의 행위 능력의 확장.
  • 중성자 확산 (中性子擴散) : 매질에서 중성자가 밀도가 큰 곳에서 작은 곳으로 퍼져 가는 현상. 기체 분자들의 확산과 비슷하게 진행된다.
  • 확장기 잡음 (擴張期雜音) : 심장이 확장될 때 고동에 섞여서 들리는 잡음. 주로 판막의 이상으로 생긴다.
  • 기관지 확장증 (氣管支擴張症) : 기관지의 내강 일부가 확장되고 변형되는 병. 주머니 모양이나 원추 모양으로 확장된 내강에 가래가 고이기 쉽게 되고 거기에 세균이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킨다. 선천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수도 있고 영아 또는 유아 무렵에 폐렴, 백일해, 홍역 따위에 걸린 뒤에 나타나기도 하며, 성인이 흉곽 성형술을 받은 뒤에 발생하기도 한다.
  • 대양저 확대설 (大洋底擴大說) : 대양저가 연간 수 cm의 속도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령(海嶺)의 양쪽을 잇따라 경신하고 확대한다는 학설. 나중에 판구조론으로 발전하였다.
  • 해양저 확대설 (海洋底擴大說) : 대양저가 연간 수 cm의 속도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령(海嶺)의 양쪽을 잇따라 경신하고 확대한다는 학설. 나중에 판구조론으로 발전하였다.
  • 방사선 확대 촬영 (放射線擴大撮影) : 방사선의 확산 원리를 이용하여 본디의 병터보다 4~6배 확대되게 찍는 검사. 주로 뼈의 미세 구조, 폐 무늬의 미세한 변화, 위창자관의 변화 따위를 진단하는 데 쓰인다.
  • 단순 확산 (單純擴散) : 물질이 생체막을 통과하는 방식의 하나. 막 양쪽의 농도 차이에 의해 일어나며 대부분의 물질은 이 방법으로 막을 통과한다.
  • 대기 확산 (大氣擴散) : 대기 가운데 방출된 오염 물질이 깨끗한 공기와 혼합하여 확산ㆍ희석되는 현상. 이 작용은 풍속과 대기의 난류(亂流)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 대학 확장 (大學擴張) : 대학 본래의 교육 기능을 대학 밖에까지 연장하여 대학 교육의 기회를 널리 일반 사람에게 제공하는 일.
  • 민권 확장 (民權擴張) : 국민의 참정권을 늘림.
  • 상호 확산 (相互擴散) : 처음에는 격막(隔膜)으로 분리되어 있던 두 가지 유체(流體)가 서로 섞이는 일.
  • 신용 확장 (信用擴張) : 은행이 예금된 돈의 일부를 고객에게 대부하고 그것을 다시 예금시켜 원래 예금의 몇 배를 예금으로 만들어 내는 일.
  • 심장 확대 (心臟擴大) : 심장이 무게는 달라지지 않으면서 부피가 커진 상태. 심장 근육 섬유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이 원인이다.
  • 여권 확장 (女權擴張) : 여자의 사회상ㆍ정치상ㆍ법률상의 권리와 지위를 늘리는 일.
  • 의미 확대 (意味擴大) : 단어 본래의 의미보다 그 뜻의 사용 범위가 넓어지는 일.
  • 직무 확대 (職務擴大) : 직무 능력을 활용하고 도전의 기회를 증대하여 만족감을 유발하기 위한 일. 이는 직무 내용의 단순화와 정형화에 따르는 단조로움이나 소외감을 극복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생겨났다.
  • 학교 확장 (學校擴張) : 학교 밖의 일반 성인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일. 공개강좌, 성인 학급, 통신 교육, 야간 교육 따위의 방법이 있다.
  • 확대 가족 (擴大家族) : 자녀가 결혼 후에도 부모와 동거하는 가족 형태.
  • 확대 균형 (擴大均衡) : 수요와 공급이 함께 늘면서 균형을 이루는 일.
  • 확대 조림 (擴大造林) : 경제성이 낮은 수림을 베어 없애고, 경제성이 더 높은 나무로 바꾸어 심는 형태의 조림. 땔감을 위한 활엽수림을, 건축 용재로 사용되는 침엽수림으로 바꾸는 따위를 이른다.
  • 확대 편집 (擴大編輯) : 영화를 편집할 때 묘사 대상을 세부에서부터 점점 전체로 넓혀 가며 보여 주는 일.
  • 확대 해석 (擴大解釋) : 논리 해석의 하나. 법규의 문자를 그 취지에 비추어 통상의 의미보다 넓게 해석하는 일이다.
  • 확산 거리 (擴散거리) : 반도체에서 기본 전자가 생긴 다음 그것이 재결합할 때까지 확산에 의하여 옮겨 가는 평균 거리.
  • 확산 도금 (擴散鍍金) : 도금 금속의 화합물을 기체 상태로 만든 다음 소재를 그 속에 넣고 가열하거나, 도금 금속이 들어 있는 고체 혼합물 속에 소재를 묻고 가열하여 도금 금속을 소재의 겉면에 스며들게 하는 도금 방법. 크로뮴 도금, 알루미늄 도금에 많이 쓴다.
  • 확산 반사 (擴散反射) : 빛, 소리, 전파 따위가 코사인 법칙에 따라 물체의 표면에서 모든 방향으로 흩어지면서 반사되는 일.
  • 확산 분리 (擴散分離) : 분자의 질량이나 크기에 따라 확산 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것. 핵연료의 농축은 기체 확산 분리를 이용한다.
  • 확산 분석 (擴散分析) : 확산 현상을 분석하는 일.
  • 확산 성운 (擴散星雲) : 일정한 모양을 갖추지 않은 태양계 안의 성운. 주위의 별이나 성단(星團)에서 빛을 받거나 그 자체에서 빛을 내어 밝게 보인다.
  • 확산 인자 (擴散因子) : 동물 조직, 특히 고환(睾丸)의 추출액 속에 들어 있는, 투과성을 높이는 인자.
  • 확산 전류 (擴散電流) : 반도체에서 전기를 띤 입자들의 확산에 따라 생기는 전류.
  • 확산 조명 (擴散照明) : 광선이 골고루 퍼지게 하는 조명.
  • 확산 투과 (擴散透過) : 전자파, 음파 따위가 투과성 물체에 의하여 모든 방향으로 흩어지면서 투과하는 일.
  • 확산 펌프 (擴散pump) : 기체 분자와 수은 증기 분자가 서로 확산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고도의 진공을 만드는 펌프. 보통의 수류(水流) 펌프와는 달리, 주요부는 수은 증류부와 수은 증기 분출부로 이루어진다.
  • 확산 피복 (擴散被覆) : 피복용 재료를 모재(母材) 속에 고온으로 확산하게 하여 피복면을 합금화함으로써 만드는 피복.
  • 확성 장치 (擴聲裝置) : 음성이나 음악의 음량을 크게 하는 장치. 극장이나 야외 따위에서 많은 사람이 음성이나 음악을 듣게 하기 위하여 쓴다. 주로 마이크로폰, 증폭기, 확성기 따위로 이루어진다.
  • 확장 수용 (擴張收用) : 공공의 이익이 되는 사업에서, 필요한 한도나 정도를 넘어서 수용하는 일.
  • 확장 진통 (擴張陣痛) : 분만이 시작될 때 자궁 목관과 자궁 구멍이 크게 벌어지면서 느껴지는 진통. 전 진통(前陣痛)에 비하여 강하고 규칙적이며 분만이 끝날 때까지 지속되는데 초산부는 100~150회, 경산부는 50~100회에 이른다.
  • 확장 판단 (擴張判斷) : 술어가 주어와 결합하여 주어에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새로운 개념을 나타내어 인식을 확장시키는 판단. 칸트 철학의 용어이다.
  • 확장 해석 (擴張解釋) : 논리 해석의 하나. 법규의 문자를 그 취지에 비추어 통상의 의미보다 넓게 해석하는 일이다.
  • 가스 확산법 (gas擴散法) : 동력로의 연료가 되는 방사성 동위 원소를 비핵분열성(非核分裂性) 원소로부터 분리하여 농축하는 방법. 분자량이 다른 기체가 지름 10만분의 1cm 정도의 다공질(多孔質)인 격막(隔膜)을 통과하는 속도가 서로 다른 점을 이용한다.
  • 기체 확산법 (氣體擴散法) : 동력로의 연료가 되는 방사성 동위 원소를 비핵분열성(非核分裂性) 원소로부터 분리하여 농축하는 방법. 분자량이 다른 기체가 지름 10만분의 1cm 정도의 다공질(多孔質)인 격막(隔膜)을 통과하는 속도가 서로 다른 점을 이용한다.
  • 식도 확장기 (食道擴張機) : 식도에 넣어 식도를 확장하는 의료 기구.
  • 여권 확장론 (女權擴張論) : 성별로 인해 발생하는 정치ㆍ경제ㆍ사회 문화적 차별을 없애야 한다는 견해.
  • 자기 확성기 (磁氣擴聲器) : 자기의 반작용으로 생겨나는 기계력을 이용하여 소리를 크게 해서 멀리 들리도록 한 장치.
  • 저음 확성기 (低音擴聲器) : 비교적 높은 전력으로 낮은 가청 주파수를 재생하기 위한 대형 스피커. 보통, 분할 회로나 고음 확성기와 함께 쓴다.
  • 통상 확대법 (通商擴大法) : 1962년에 미국이 수출 시장 확대와 자유세계의 무역 확대를 위하여 제정한 법률. 이 법에 의하여 대통령은 5년간에 관세율을 50% 인하할 권한과 특정 상품의 관세를 철폐할 권한을 가지게 되었다.
  • 해저 확장설 (海底擴張說) : 태평양 따위의 대양저(大洋底)가 대륙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바다 밑이 확장되고 있다는 가설. 해령(海嶺)에서 새로운 지각 물질이 계속 생겨나서 수평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 혈관 확장제 (血管擴張劑) : 혈관을 넓히는 작용을 하는 약. 관상 혈관을 확장하는 것은 협심증 치료에 쓰고 말초 혈관을 확장하는 것은 고혈압 치료에 쓰는데, 아질산염, 테오필린 따위가 있다.
  • 확대 재생산 (擴大再生産) : 잉여 가치의 일부가 축적되고, 이것이 다시 추가 자본이 되어 이전보다 확대된 규모로 이루어지는 재생산.
  • 확장 재생산 (擴張再生産) : 잉여 가치의 일부가 축적되고, 이것이 다시 추가 자본이 되어 이전보다 확대된 규모로 이루어지는 재생산.
  • 확산 바깥귀길염 (擴散바깥귀길炎) : 화학적ㆍ기계적 자극으로 인하여 바깥귀길에 붉은 종기가 생겨 전체에 퍼지는 병. 종기가 곪고 만성화되었을 때 살점이 불거져 나오며 나쁜 냄새와 분비물도 나온다.
  • 기체 확산의 법칙 (氣體擴散의法則) : 기체와 액체가 확산하는 속도는 분자량이 클수록 작아진다는 법칙. 1831년 그레이엄이 발견하였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擴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