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26일 월요일

각고정려: 刻苦精勵

각고정려 (刻苦精勵) : 어떤 일에 무척 애를 쓰면서 정성을 들임.



刻苦精勵 한자 뜻 풀이

  • 刻(새길 각) : 새기다, 새김, 깎다, 심하다, 모질다. 돼지를 칼로 난도질하는 것에서 '새기다', '모질다' '다하다' 등 생성. 때의 구분으로 '시간' 의미 파생.
  • 苦(쓸 고) : 쓰다, 멀미, 쓴 맛, 차멀미, 배멀미 따위, 씀바귀. 약초의 쓴맛을 의미하는 글자. 후에 '괴롭다'는 의미 파생. '古(고)'는 발음
  • 精(정미할 정) : 정미(精微)하다, 찧다, 쓿은 쌀, 그윽하다, 전일(專一)하다. 쌀을 찧어서 좁게 한다는 의미에서 '정밀하다', '자세하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 勵(힘쓸 려) : 힘쓰다, 권면하다. 힘써 북돋는다는 의미에서 '힘쓰다' '장려하다' 등 파생. '厲(려)'는 발음


[刻] 새길 각 (새기다, 새김, 깎다, 심하다, 모질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각골분한 획순 이미지 각골분한(刻骨憤恨) : 뼈에 사무칠 만큼 분하고 한스러움. 또는 그런 일. [ (: 새길 각) (: 뼈 골) (: 결낼 분) (: 한할 한) ]
  • 일각여삼추(一刻如三秋) : 일각이 삼 년 같다는 뜻으로, 순간의 짧은 시간이 삼 년의 세월같이 여겨지듯이 기다리는 마음이 매우 간절함을 이르는 말. [ (: 한 일) (: 새길 각) (: 같을 여) (: 석 삼) (: 가을 추) ]
  • 각로청수(刻露淸秀) : 나뭇잎이 지고 산 모습이 드러나 맑고 빼어나다는 뜻으로, 가을의 경치가 맑고 수려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 새길 각) (: 이슬 로) (: 맑을 청) (: 빼어날 수) ]
  • 각곡유목(刻鵠類鶩) : 고니를 조각하다가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됨을 이르는 말. [ (: 새길 각) (: 고니 곡) (: 집오리 목) ]
  • 시시각각(時時刻刻) : 각각의 시각. [ (: 때 시) (: 때 시) (: 새길 각) (: 새길 각) ]

[勵] 힘쓸 려 (힘쓰다, 권면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고무격려 획순 이미지 고무격려(鼓舞激勵) : 격려(激勵)하여 기세(氣勢)를 북돋우어 줌. [ (: 북 고) (: 춤출 무) (: 부딪쳐흐를 격) (: 힘쓸 려) ]
  • 정려각근(精勵恪勤) : 삼가 게을리 하지 않고 일에 힘씀. [ (: 정미할 정) (: 힘쓸 려) (: 삼갈 각) (: 부지런할 근) ]
  • 각고면려(刻苦勉勵) : 어떤 일에 고생을 무릅쓰고 몸과 마음을 다하여, 무척 애를 쓰면서 부지런히 노력함. [ (: 새길 각) (: 쓸 고) (: 힘쓸 면) (: 힘쓸 려) ]
  • 각고정려(刻苦精勵) : 어떤 일에 무척 애를 쓰면서 정성을 들임. [ (: 새길 각) (: 쓸 고) (: 정미할 정) (: 힘쓸 려) ]
  • 뇌려풍비(雷勵風飛) : 일을 해치움이 벼락같이 날쌔고 빠름. [ (: 힘쓸 려) (: 바람 풍) (: 날 비) ]

[精] 정미할 정 (정미(精微)하다, 찧다, 쓿은 쌀, 그윽하다, 전일(專一)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신일도하사불성 획순 이미지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 [ (: 정미할 정) (: 신 신) (: 한 일) (: 이를 도) (: 어찌 하) (: 일 사) (: 아니 불) (: 이룰 성) ]
  • 박이부정(博而不精) : 널리 알지만 정밀하지는 못함. [ (: 넓을 박) (: 말 이을 이) (: 아닌가 부) (: 정미할 정) ]
  • 박이정(博而精) : 여러 방면(方面)으로 널리 알 뿐 아니라 깊게도 앎. 즉 '나무도 보고 숲도 본다'는 뜻. [ (: 넓을 박) (: 말 이을 이) (: 정미할 정) ]

[苦] 쓸 고 (쓰다, 멀미, 쓴 맛, 차멀미, 배멀미 따위, 씀바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고진감래 획순 이미지 고진감래(苦盡甘來) :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을 이르는 말. [ (: 쓸 고) (: 다할 진) (: 달 감) (: 올 래) ]
  • 고륜지해(苦輪之海) : 고뇌가 끊임없이 닥쳐오는 중생계를 이르는 말. [ (: 쓸 고) (: 바퀴 륜) (: 갈 지) (: 바다 해) ]
  • 천고만난(千苦萬難) : 천 가지의 괴로움과 만 가지의 어려움이라는 뜻으로, 온갖 고난을 이르는 말. [ (: 일천 천) (: 쓸 고) (: 일만 만) (: 어려울 난) ]
  • 초심고려(焦心苦慮) : 마음을 졸여서 태우며 괴롭게 염려함. [ (: 그스를 초) (: 마음 심) (: 쓸 고) (: 생각할 려) ]
  • 사생동고(死生同苦) : 죽고 사는 고생을 함께한다는 뜻으로, 어떤 어려움도 같이함을 이르는 말. [ (: 죽을 사) (: 날 생) (: 한가지 동) (: 쓸 고)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 획순 이미지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옳을 가) (: 줄 여) (: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 기쁠 희) (: 날 출) (: 바랄 망) (: 바깥 외)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정성]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하성 획순 이미지 하성(下誠) : 주로 편지글에서, 웃어른에게 자기의 정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 (: 아래 하) (: 정성 성) ]
  • 빈자일등(貧者一燈)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 가난할 빈) (: 놈 자) (: 한 일) (: 등불 등) ]
  • 불성무물(不誠無物) : (불성무물) 정성이 없으면 사물도 없다는 뜻으로, 정성은 모든 사물의 근본이므로, 정성이 없는 곳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 [ (: 아니 불) (: 정성 성) (: 없을 무) (: 만물 물) ]
  • 견마지성(犬馬之誠) : (1)임금이나 나라에 바치는 충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2)개나 말의 정성이라는 뜻으로, 자신의 정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 (: 개 견) (: 말 마) (: 갈 지) (: 정성 성) ]
  • 일편단심(一片丹心) : 한 조각의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변치 아니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 [ (: 한 일) (: 조각 편) (: 붉을 단) (: 마음 심)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