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성조습토 (乾星照濕土) : 반짝이는 별이 눅눅한 땅을 비춘다는 뜻으로, 다음 세대(世代)에는 반대(反對)되는 현상(現象)이 나타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乾星照濕土 한자 뜻 풀이
- 乾(마를 건) : 마르다, 하늘, 뜻이 바뀌어, 천자(天子)·군(君)·부(父)를 뜻함, 몰수하다, 건성으로 하다. 아침에 해가 뜨는 것이나 초목의 싹이 돋아 나오는 상황[乙]을 모두 '하늘'에서 시작한다는 의미. 본래 '마르다'는 뜻은 (간)발음이 원음임
- 星(별 성) : 별, 오성(五星), 성수(星宿), 세월, 천문(天文). 하늘에서 별이 해의 분신처럼 밝게 비춘다는 의미에서 '별'의 의미를 생성함
- 照(비출 조) : 비추다, 비치다, 볕, 의거(依據)하다, 증명서. '昭(소)밝다'에 '火'를 더해 불빛이 밝게 '비추다'는 의미
- 濕(축축할 습) : 축축하다, 강 이름, 나라 이름, 사람 이름, 우로(雨路). 물기가 축축하다는 의미에서 '습기'의 의미 생성
- 土(흙 토) : 흙, 뿌리, 토양, 땅, 나라.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흙'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乾] 마를 건 (마르다, 하늘, 뜻이 바뀌어, 천자(天子)·군(君)·부(父)를 뜻함, 몰수하다, 건성으로 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건곤통연(乾坤洞然) : 천지(天地)가 탁 트여 아무런 장해(障害)도 될 것이 없음. [ (乾: 마를 건) (坤: 곤괘 곤) (洞: 밝을 통) (然: 그러할 연) ]
- 별건곤(別乾坤) :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 (別: 나눌 별) (乾: 마를 건) (坤: 곤괘 곤) ]
- 건곤일척(乾坤一擲) : 주사위를 던져 승패를 건다는 뜻으로, 운명을 걸고 단판걸이로 승부를 겨룸을 이르는 말. [ (乾: 마를 건) (坤: 곤괘 곤) (一: 한 일) (擲: 던질 척) ]
- 건곤청기(乾坤淸氣) : 천지(天地)에 가득 찬 맑은 기운(氣運). [ (乾: 마를 건) (坤: 곤괘 곤) (淸: 맑을 청) (氣: 기운 기) ]
- 건조무미(乾燥無味) : 재미나 멋이 없이 메마름. [ (乾: 마를 건) (燥: 마를 조) (無: 없을 무) (味: 맛 미) ]
[土] 흙 토 (흙, 뿌리, 토양, 땅, 나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토양세류(土壤細流) : 작은 흙덩이와 가느다란 시내라는 뜻으로, 미세한 것도 이것을 쌓으면 큰 것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土: 흙 토) (壤: 흙 양) (細: 가늘 세) (流: 흐를 류) ]
- 전본분토(錢本糞土) : 돈은 본래 똥을 섞은 흙이라는 뜻으로, 돈은 원래 썩은 인분(人糞)처럼 천한 것이라는 의미. [ (錢: 돈 전) (本: 밑 본) (糞: 똥 분) (土: 흙 토) ]
- 막비왕토(莫非王土) : 왕의 땅이 아닌 곳이 없음. [ (莫: 없을 막) (非: 아닐 비) (王: 임금 왕) (土: 흙 토) ]
[星] 별 성 (별, 오성(五星), 성수(星宿), 세월, 천문(天文))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역마직성(驛馬直星) : 늘 분주하게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사람을 이르는 말. [ (驛: 역참 역) (馬: 말 마) (直: 곧을 직) (星: 별 성) ]
- 대성(戴星) : 별을 머리 위에 이고 있다는 뜻으로, 아침 일찍 집을 나가 밤늦게 돌아옴을 이르는 말. [ (戴: 일 대) (星: 별 성) ]
- 건성조습토(乾星照濕土) : 반짝이는 별이 눅눅한 땅을 비춘다는 뜻으로, 다음 세대(世代)에는 반대(反對)되는 현상(現象)이 나타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乾: 마를 건) (星: 별 성) (照: 비출 조) (濕: 축축할 습) (土: 흙 토) ]
- 대성지행(戴星之行) : 타향에서 부모의 부음(訃音)을 받고 밤을 새워 돌아가는 길. [ (戴: 일 대) (星: 별 성) (之: 갈 지) (行: 갈 행) ]
[濕] 축축할 습 (축축하다, 강 이름, 나라 이름, 사람 이름, 우로(雨路))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추조거습(推燥居濕) : {아이는} 마른 곳으로 밀고, {자기는} 젖은 자리에 앉는다는 뜻으로, 자식을 기르는 어머니의 노고(勞苦)를 마다하지 않는 사랑을 이르는 말. [ (推: 옮을 추) (燥: 마를 조) (居: 있을 거) (濕: 축축할 습) ]
- 풍한서습(風寒暑濕) : 바람과 추위와 더위와 습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 (風: 바람 풍) (暑: 더울 서) (濕: 축축할 습) ]
- 건성조습토(乾星照濕土) : 반짝이는 별이 눅눅한 땅을 비춘다는 뜻으로, 다음 세대(世代)에는 반대(反對)되는 현상(現象)이 나타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乾: 마를 건) (星: 별 성) (照: 비출 조) (濕: 축축할 습) (土: 흙 토) ]
- 여저습반(如咀濕飯) : 마치 진 밥을 씹는 듯 한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로 잔소리를 되풀이 한다는 의미. [ (如: 같을 여) (咀: 씹을 저) (濕: 축축할 습) (飯: 밥 반) ]
[照] 비출 조 (비추다, 비치다, 볕, 의거(依據)하다, 증명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회광반조(回光反照) : 석양빛이 반사한다는 뜻으로, 등불이나 사람의 목숨이 다하려고 하는 마지막 한 때에 잠시 기운을 되차리는 일을 의미함. [ (回: 돌 회) (光: 빛 광) (反: 돌이킬 반) (照: 비출 조) ]
- 조송지근(照松之勤) : 소나무에 비춘 부지런함이라는 뜻으로, 등불을 켤 돈이 없어서 관솔불[송진이 많이 엉긴 소나무 가지나 옹이에 붙인 불]에 비춰 글을 읽는 일에서 면학(勉學)에 간절함을 이르는 말. [ (照: 비출 조) (松: 솔 송) (之: 갈 지) (勤: 부지런할 근) ]
- 등대부자조(燈臺不自照) : 등대는 자신을 비추지 못한다는 뜻으로, 남의 일은 잘 보이나 자신의 일은 도리어 잘 보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燈: 등불 등) (臺: 대 대) (不: 아닌가 부) (自: 스스로 자) (照: 비출 조) ]
- 건성조습토(乾星照濕土) : 반짝이는 별이 눅눅한 땅을 비춘다는 뜻으로, 다음 세대(世代)에는 반대(反對)되는 현상(現象)이 나타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乾: 마를 건) (星: 별 성) (照: 비출 조) (濕: 축축할 습) (土: 흙 토) ]
- 천일조림(天日照臨) : (1)하늘과 해가 내려다본다는 뜻으로, 속일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2)임금이 잘 살펴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天: 하늘 천) (日: 날 일) (照: 비출 조) (臨: 임할 림) ]
[땅]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天: 하늘 천) (方: 모 방) (地: 땅 지) (方: 모 방) ]
- 정천이지(頂天履地) : 하늘을 이고 땅을 밟음. [ (頂: 정수리 정) (天: 하늘 천) (地: 땅 지) ]
- 사패지지(賜牌之地) :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 (賜: 줄 사) (牌: 패 패) (之: 갈 지) (地: 땅 지) ]
- 당금지지(當禁之地) : 다른 사람이 뫼를 쓰지 못하게 하는 땅. [ (當: 마땅할 당) (禁: 금할 금) (之: 갈 지) (地: 땅 지) ]
- 간뇌도지(肝腦塗地) :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 (肝: 간 간) (腦: 뇌 뇌) (塗: 진흙 도) (地: 땅 지) ]
[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중천(壺中天) :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 (壺: 병 호) (中: 가운데 중) (天: 하늘 천) ]
- 대성(戴星) : 별을 머리 위에 이고 있다는 뜻으로, 아침 일찍 집을 나가 밤늦게 돌아옴을 이르는 말. [ (戴: 일 대) (星: 별 성) ]
- 저력지재(樗櫟之材) : 참나무와 가죽나무 재목이라는 뜻으로, 아무 데도 쓸모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樗: 가죽나무 저) (櫟: 상수리나무 력) (之: 갈 지) (材: 재목 재) ]
- 건성조습토(乾星照濕土) : 반짝이는 별이 눅눅한 땅을 비춘다는 뜻으로, 다음 세대(世代)에는 반대(反對)되는 현상(現象)이 나타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乾: 마를 건) (星: 별 성) (照: 비출 조) (濕: 축축할 습) (土: 흙 토) ]
- 대성지행(戴星之行) : 타향에서 부모의 부음(訃音)을 받고 밤을 새워 돌아가는 길. [ (戴: 일 대) (星: 별 성) (之: 갈 지) (行: 갈 행) ]
[다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척확지굴(蚇蠖之屈) : 자벌레가 몸을 굽히는 것은 다음에 몸을 펴고자 함이라는 뜻으로, 훗날에 성공을 위(爲)해 잠시 굽힘을 이르는 말. [ (蚇: 자벌레 척) (蠖: 자벌레 확) (之: 갈 지) (屈: 굽을 굴) ]
- 아부(阿父) : 예전에, '아버지'를 정답게 이르던 말. [ (阿: 언덕 아) (父: 아비 부) ]
- 대원본존(大願本尊) : '지장보살'을 달리 이르는 말. 육도(六道) 중생을 모두 제도한 다음에야 부처가 되겠다고 하는 큰 서원을 세운 데서 유래한다. [ (大: 큰 대) (願: 원할 원) (本: 밑 본) (尊: 높을 존) ]
- 아부(亞父) : (1)'계부'를 달리 이르는 말. (2)아버지 다음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흔히 임금이 공신을 존경하여 부르던 말. 중국 초(楚)나라의 항우가 범증을 존경하여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 [ (亞: 버금 아) (父: 아비 부) ]
- 건성조습토(乾星照濕土) : 반짝이는 별이 눅눅한 땅을 비춘다는 뜻으로, 다음 세대(世代)에는 반대(反對)되는 현상(現象)이 나타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乾: 마를 건) (星: 별 성) (照: 비출 조) (濕: 축축할 습) (土: 흙 토) ]
[반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언행상반(言行相反) : 말과 행동이 하나로 이른다는 뜻으로, 말과 행동이 같다는 의미. [ (言: 말씀 언) (行: 갈 행) (相: 서로 상) (反: 돌이킬 반) ]
- 부즉불리(不卽不離) : (1)두 관계가 붙지도 아니하고 떨어지지도 아니함. (2)찬성도 아니 하고 반대도 아니 함. [ (不: 아닌가 부) (卽: 곧 즉) (不: 아니 불) (離: 떠날 리) ]
- 본유관념(本有觀念) : 감각이나 경험에 의해서가 아니고 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선천적 관념. 데카르트, 라이프니츠는 이러한 관념의 존재를 역설하였으나, 로크는 이것을 반대하였다. [ (本: 밑 본) (有: 있을 유) (觀: 볼 관) (念: 생각 념) ]
- 건성조습토(乾星照濕土) : 반짝이는 별이 눅눅한 땅을 비춘다는 뜻으로, 다음 세대(世代)에는 반대(反對)되는 현상(現象)이 나타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乾: 마를 건) (星: 별 성) (照: 비출 조) (濕: 축축할 습) (土: 흙 토) ]
- 연홍지탄(燕鴻之歎) : 제비와 고니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여름새인 제비와 겨울새인 기러기가 만나지 못하는 것처럼 길이 어긋나거나 서로 소식 없이 만나지 못함을 한탄하는 말. [ (燕: 제비 연) (鴻: 큰기러기 홍) (之: 갈 지) (歎: 탄식할 탄) ]
[비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人: 사람 인) (鬼: 귀신 귀) (相: 서로 상) (半: 반 반)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風: 바람 풍) (木: 나무 목) (之: 갈 지) (悲: 슬플 비) ]
- 할계우도(割鷄牛刀)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割: 나눌 할) (鷄: 닭 계) (牛: 소 우) (刀: 칼 도) ]
- 거저척이(遽篨戚施) :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병이란 뜻으로, 오만(傲慢)하고 아첨(阿諂)하는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거저(遽篨)는 새가슴, 척이(戚施)는 곱사등이. [ (遽: 갑자기 거) (篨: 대자리 저) (戚: 겨레 척) (施: 옮을 이) ]
[세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간세지재(間世之材) : 여러 세대를 통하여 드물게 나는 인재. [ (間: 틈 간) (世: 인간 세) (之: 갈 지) (材: 재목 재) ]
- 건성조습토(乾星照濕土) : 반짝이는 별이 눅눅한 땅을 비춘다는 뜻으로, 다음 세대(世代)에는 반대(反對)되는 현상(現象)이 나타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乾: 마를 건) (星: 별 성) (照: 비출 조) (濕: 축축할 습) (土: 흙 토) ]
- 대대손손(代代孫孫) : 오래도록 내려오는 여러 대. [ (代: 대신 대) (代: 대신 대) (孫: 손자 손) (孫: 손자 손) ]
- 간기인물(間氣人物) : 여러 세대에 걸쳐 드물게 뛰어난 기품을 타고난 인물. [ (間: 틈 간) (氣: 기운 기) (人: 사람 인) (物: 만물 물) ]
- 격세지감(隔世之感) : 오래지 않은 동안에 몰라보게 변하여 아주 다른 세상이 된 것 같은 느낌. [ (隔: 사이 뜰 격) (世: 인간 세) (之: 갈 지) (感: 느낄 감) ]
[현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라만상(森羅萬象) : 우주에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 [ (森: 나무 빽빽할 삼) (羅: 그물 라) (萬: 일만 만) (象: 코끼리 상) ]
- 춘분(春分) : 이십사절기의 하나. 경칩(驚蟄)과 청명(淸明)의 사이에 들며 양력 3월 21일 무렵이다. 태양이 춘분점에 이르러 적도의 위를 직사(直射)하여 밤과 낮의 길이가 거의 같지만, 빛의 굴절 현상 때문에 낮의 길이가 약간 더 길다. [ (春: 봄 춘) (分: 나눌 분) ]
- 부지불식간(不知不識間) : 생각하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는 사이. [ (不: 아닌가 부) (知: 알 지) (不: 아니 불) (識: 알 식) (間: 틈 간) ]
- 하류쟁탈(河流爭奪) : 이웃한 두 하천 사이에 침식력(浸蝕力)의 차이가 있을 때, 서로 유역을 빼앗는 현상. [ (河: 강 이름 하) (流: 흐를 류) (爭: 다툴 쟁) (奪: 빼앗을 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