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금완소 (嵇琴阮嘯) : 위국 혜강(嵇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玩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음.
嵇琴阮嘯 한자 뜻 풀이
- 嵇(산 이름 혜) : 산(山)의 이름.
- 琴(거문고 금) : 거문고 금. '王' 두 개는 현악기 줄의 모양을 표현한 것임. '今'은 발음. ◎ 瑟(슬) 역시 거문고의 종류에 큰 거문고라서 줄을 막대로 연주하는 것을 의미
- 阮(관문 이름 완) : 관문(關門) 이름, 나라 이름, 산 이름, 월금(月琴), 지금의 하북성(河北省) 울현(蔚縣) 동북쪽.
- 嘯(휘파람불 소) : 휘파람 불다, 꾸짖다, 읊다, 부르짖다, 읊조림. 입을 오므리어 소리를 내는 '휘바람'과 '울부짖다' 등 생성
[嘯] 휘파람불 소 (휘파람 불다, 꾸짖다, 읊다, 부르짖다, 읊조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혜금완소(嵇琴阮嘯) : 위국 혜강(嵇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玩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음. [ (嵇: 산 이름 혜) (琴: 거문고 금) (阮: 관문 이름 완) (嘯: 휘파람불 소) ]
- 호소풍생(虎嘯風生) : 범이 울어 바람이 일어난다는 뜻으로, 영웅이 때를 만나 떨쳐 일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虎: 범 호) (嘯: 휘파람불 소) (風: 바람 풍) (生: 날 생) ]
- 소풍농월(嘯風弄月) : 바람에 휘파람 불고 달을 희롱한다는 뜻으로, 자연 풍경을 구경하며 즐김을 이르는 말. [ (嘯: 휘파람불 소) (風: 바람 풍) (月: 달 월) ]
[嵇] 산 이름 혜 (산(山)의 이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혜금완소(嵇琴阮嘯) : 위국 혜강(嵇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玩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음. [ (嵇: 산 이름 혜) (琴: 거문고 금) (阮: 관문 이름 완) (嘯: 휘파람불 소) ]
[琴] 거문고 금 (거문고 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백아파금(伯牙破琴) : 백아절현(伯牙絶絃). [ (伯: 맏 백) (牙: 어금니 아) (破: 깨뜨릴 파) (琴: 거문고 금) ]
- 혜금완소(嵇琴阮嘯) : 위국 혜강(嵇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玩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음. [ (嵇: 산 이름 혜) (琴: 거문고 금) (阮: 관문 이름 완) (嘯: 휘파람불 소) ]
- 인금구망(人琴俱亡) : 친구의 죽음을 몹시 슬퍼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진(晉)나라의 왕헌지가 죽자 그가 쓰던 거문고도 가락이 맞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人: 사람 인) (琴: 거문고 금) (俱: 함께 구) (亡: 잃을 망) ]
[阮] 관문 이름 완 (관문(關門) 이름, 나라 이름, 산 이름, 월금(月琴), 지금의 하북성(河北省) 울현(蔚縣) 동북쪽)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혜금완소(嵇琴阮嘯) : 위국 혜강(嵇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玩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음. [ (嵇: 산 이름 혜) (琴: 거문고 금) (阮: 관문 이름 완) (嘯: 휘파람불 소) ]
[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항사(恒沙) : 항하(갠지스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한(無限)히 많은 수량(數量)'을 일컬음. [ (恒: 항상 항) (沙: 모래 사) ]
- 강장하무약병(强將下無弱兵) :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 (强: 굳셀 강) (將: 장수 장) (下: 아래 하) (無: 없을 무) (弱: 약할 약) (兵: 군사 병) ]
- 면리침(綿裏針) : 겉으로는 부드러운 체하나 속으로는 아주 흉악함을 이르는 말. [ (綿: 솜 면) (裏: 속 리) (針: 바늘 침) ]
- 하량별(河梁別) : 떠나는 사람을 전송할 때에 강의 근처에서 헤어진다는 뜻으로, '송별'을 이르는 말. [ (河: 강 이름 하) (梁: 들보 량) (別: 나눌 별) ]
- 장강대해(長江大海) : 길고 큰 강과 너른 바다를 아울러 이르는 말. [ (長: 길 장) (江: 강 강) (大: 큰 대) (海: 바다 해) ]
[완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혜금완소(嵇琴阮嘯) : 위국 혜강(嵇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玩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음. [ (嵇: 산 이름 혜) (琴: 거문고 금) (阮: 관문 이름 완) (嘯: 휘파람불 소) ]
- 백안시(白眼視) :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봄. 중국의 ≪진서(晉書)≫ <완적전(阮籍傳)>에서 나온 말로, 진나라 때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백안(白眼)으로 대하고, 반가운 손님은 청안(靑眼)으로 대한 데서 유래한다. [ (白: 흰 백) (眼: 눈 안) (視: 볼 시) ]
[거문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현가불철(絃歌不輟) :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 (絃: 악기줄 현) (歌: 노래 가) (不: 아니 불) (輟: 그칠 철) ]
- 북창삼우(北窓三友) : 거문고, 술, 시(詩)를 아울러 이르는 말. [ (北: 북녘 북) (窓: 창 창) (三: 석 삼) (友: 벗 우) ]
- 호우고슬(好竽鼓瑟) : 피리를 좋아하는데 거문고를 연주한다는 뜻으로, 남의 비위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거나, 구하려는 것을 엉뚱하게 대처함을 이르는 말. [ (好: 좋을 호) (竽: 피리 우) (鼓: 북 고) (瑟: 큰 거문고 슬) ]
- 자탄자가(自彈自歌) : (1)스스로 거문고를 타며 노래를 부름. (2)스스로 묻고 스스로 대답함. [ (自: 스스로 자) (彈: 탄환 탄) (自: 스스로 자) (歌: 노래 가) ]
- 백악지장(百樂之丈) : 거문고 음악을 숭상하여 이르는 말. [ (百: 일백 백) (樂: 풍류 악) (之: 갈 지) (丈: 어른 장) ]
[휘파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불여귀(不如歸) :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不: 아니 불) (如: 같을 여) (歸: 돌아갈 귀) ]
- 혜금완소(嵇琴阮嘯) : 위국 혜강(嵇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玩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음. [ (嵇: 산 이름 혜) (琴: 거문고 금) (阮: 관문 이름 완) (嘯: 휘파람불 소) ]
- 소풍농월(嘯風弄月) : 바람에 휘파람 불고 달을 희롱한다는 뜻으로, 자연 풍경을 구경하며 즐김을 이르는 말. [ (嘯: 휘파람불 소) (風: 바람 풍) (月: 달 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