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1월 4일 수요일

학여천정: 學如穿井

학여천정 (學如穿井) : 학문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학문은 하면 할수록 어려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學如穿井 한자 뜻 풀이

  • 學(배울 학) : 배우다, 학문, 학생, 학교, 학파.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爻]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의미의 '배우다'는 뜻 생성
  • 如(같을 여) : 같다, 같게 하다, 따르다, 조사, 음력 2월의 이칭.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穿(뚫을 천) : 뚫다, 구멍, 구멍이 나다, 해어지다, 묘혈(墓穴). 구멍을 뚫는다는 의미에서 '구멍', '뚫다'는 뜻
  • 井(우물 정) : 우물, 우물 난간의 모양, 저자, 괘(卦) 이름, 별 이름. '井'자 모양의 '우물' 틀에서 생성. 사방 일리(一里)의 '마을' 의미도 있음


[井] 우물 정 (우물, 우물 난간의 모양, 저자, 괘(卦) 이름, 별 이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중구화 획순 이미지 정중구화(井中求火) : 우물 속에서 불을 구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어 사리에 밝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우물 정) (: 가운데 중) (: 구할 구) (: 불 화) ]
  • 학여천정(學如穿井) : 학문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학문은 하면 할수록 어려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배울 학) (: 같을 여) (穿: 뚫을 천) (: 우물 정) ]
  • 취할투정(取轄投井) : 수레의 비녀장을 빼어 우물에 던진다는 뜻으로, 손님이 떠나지 못하도록 억지로 만류함을 이르는 말. [ (: 취할 취) (: 비녀장 할) (: 던질 투) (: 우물 정) ]
  • 임갈굴정(臨渴掘井) : 목이 말라야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평소에 준비 없이 있다가 일을 당하여 허둥지둥 서두름을 이르는 말. [ (: 목마를 갈) (: 팔 굴) (: 우물 정) ]
  • 경전착정(耕田鑿井) : 밭을 갈고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백성들이 생업에 종사하며 평화롭게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갈 경) (: 밭 전) (: 뚫을 착) (: 우물 정) ]

[如] 같을 여 (같다, 같게 하다, 따르다, 조사, 음력 2월의 이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춘산여소(春山如笑) : 봄철의 산이 온자(蘊藉)함을 이르는 말. [ (: 봄 춘) (: 메 산) (: 같을 여) (: 웃을 소) ]
  • 여진여몽(如眞如夢) : 꿈인지 생시인지 모를 지경임. [ (: 같을 여) (: 참 진) (: 같을 여) (: 꿈 몽) ]
  • 지녀막여모(知女莫如母) : 딸을 아는 것은 어머니만 같은 이가 없다는 뜻으로, 어머니라야 딸의 마음을 가장 잘 안다는 의미. [ (: 알 지) (: 여자 녀) (: 없을 막) (: 같을 여) (: 어미 모) ]
  • 여원여소(如怨如訴) : 원망하는 것 같기도 하고 하소연하는 것 같기도 함. [ (: 같을 여) (: 원망할 원) (: 같을 여) (: 하소연할 소) ]

[學] 배울 학 (배우다, 학문, 학생, 학교, 학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독학고루 획순 이미지 독학고루(獨學孤陋) : 스승이 없이, 또는 학교에 다니지 아니하고 혼자서 공부한 사람은 견문이 넓지 못하여 생각이 좁고 천박함을 이르는 말. [ (: 홀로 독) (: 배울 학) (: 외로울 고) (: 좁을 루) ]
  • 자학자습(自學自習) : 남의 가르침을 받지 아니하고 스스로 배우고 익힘. [ (: 스스로 자) (: 배울 학) (: 스스로 자) (: 익힐 습) ]
  • 천학비재(淺學菲才) : 학문이 얕고 재주가 변변치 않다는 뜻으로, 자기 학식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 (: 얕을 천) (: 배울 학) (: 엷을 비) (: 재주 재) ]
  • 동문동학(同門同學) : 한 스승 밑에서 함께 학문을 배우거나 수업을 받음. [ (: 한가지 동) (: 문 문) (: 한가지 동) (: 배울 학) ]
  • 박학다식(博學多識) : 학식이 넓고 아는 것이 많음. [ (: 넓을 박) (: 배울 학) (: 많을 다) (: 알 식) ]

[穿] 뚫을 천 (뚫다, 구멍, 구멍이 나다, 해어지다, 묘혈(墓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도천파저월선압수중천 획순 이미지 도천파저월선압수중천(棹穿波底月船壓水中天) : 노는 물결 아래의 달을 뚫고, 배는 물 가운데 하늘을 누름. [ (: 노 도) (穿: 뚫을 천) (: 물결 파) (: 밑 저) (: 달 월) (: 배 선) (: 누를 압) (: 물 수) (: 가운데 중) (: 하늘 천) ]
  • 학여천정(學如穿井) : 학문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학문은 하면 할수록 어려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배울 학) (: 같을 여) (穿: 뚫을 천) (: 우물 정) ]
  • 점적천석(點滴穿石) : 치마의 빗방울이 돌을 뚫는다는 뜻으로, 작은 힘이라도 그것이 거듭되면 예상(豫想)하지 못했던 큰 일을 해냄을 이르는 말. [ (: 점 점) (: 물방울 적) (穿: 뚫을 천) (: 돌 석) ]

[비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 획순 이미지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귀신 귀) (: 서로 상) (: 반 반)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할계우도(割鷄牛刀)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 나눌 할) (: 닭 계) (: 소 우) (: 칼 도) ]
  • 거저척이(遽篨戚施) :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병이란 뜻으로, 오만(傲慢)하고 아첨(阿諂)하는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거저(遽篨)는 새가슴, 척이(戚施)는 곱사등이. [ (: 갑자기 거) (: 대자리 저) (: 겨레 척) (: 옮을 이) ]

[우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중구화 획순 이미지 정중구화(井中求火) : 우물 속에서 불을 구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어 사리에 밝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우물 정) (: 가운데 중) (: 구할 구) (: 불 화) ]
  • 학여천정(學如穿井) : 학문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학문은 하면 할수록 어려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배울 학) (: 같을 여) (穿: 뚫을 천) (: 우물 정) ]
  • 취할투정(取轄投井) : 수레의 비녀장을 빼어 우물에 던진다는 뜻으로, 손님이 떠나지 못하도록 억지로 만류함을 이르는 말. [ (: 취할 취) (: 비녀장 할) (: 던질 투) (: 우물 정) ]
  • 감중지와(埳中之蛙) : 우물 안의 개구리라는 뜻에서, 식견(識見)이 좁은 사람의 비유(比喩). [ (: 구덩이 감) (: 가운데 중) (: 갈 지) (: 개구리 와) ]
  • 임갈굴정(臨渴掘井) : 목이 말라야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평소에 준비 없이 있다가 일을 당하여 허둥지둥 서두름을 이르는 말. [ (: 목마를 갈) (: 팔 굴) (: 우물 정) ]

[학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실사구시 획순 이미지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 (: 열매 실) (: 일 사) (: 구할 구) (: 옳을 시) ]
  • 현가불철(絃歌不輟) :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 (: 악기줄 현) (: 노래 가) (: 아니 불) (: 그칠 철) ]
  • 확연대공(廓然大公) :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 (: 클 확) (: 그러할 연) (: 큰 대) (: 공변될 공) ]
  • 탁마(琢磨) : (1)옥이나 돌 따위를 쪼고 갊. (2)학문이나 덕행 따위를 닦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쫄 탁) (: 갈 마) ]
  • 비조(鼻祖) : (1)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2)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3)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 (: 코 비) (: 할아비 조)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