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19일 월요일

맹자직문: 盲者直門

맹자직문 (盲者直門) :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盲者直門 한자 뜻 풀이

  • 盲(소경 맹) : 소경, 바라보다, 장님, 봉사(奉事), 눈이 어둡다. 눈이 없다는 의미에서 '장님', '몽매하다' 등의 의미 생성
  • 者(놈 자) : 놈, 이, 때, …은, 조자(助字). 본래 장작불을 태우면서 제사지내는 모양에서 출발해, 후에 단순한 대명사로 전용되어 사용되고 있음
  • 直(곧을 직) : 곧다, 값, 품삯, 바른 길, 바루다. 곡선을 그릴 때 사용하는 자의 모양에서 '굽다'는 의미와 음률의 조화로 인해 '노래'의 뜻 생성
  • 門(문 문) : 문, 문간, 집안, 가문, 일가. 좌우 두 짝으로 이루어진 문의 닫힌 모양, '문' 의미를 지님.


[盲] 소경 맹 (소경, 바라보다, 장님, 봉사(奉事), 눈이 어둡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맹자단청 획순 이미지 맹자단청(盲者丹靑) : 맹자의 단청 구경이라는 뜻으로, 보아도 이해하지 못할 사물을 보는 것을 이르는 말. [ (: 소경 맹) (: 놈 자) (: 붉을 단) (: 푸를 청) ]
  • 무지문맹(無知文盲) : 아는 것도 없고 글도 모르는 상태임. 또는 그런 사람. [ (: 없을 무) (: 알 지) (: 글월 문) (: 소경 맹) ]
  • 맹인모상(盲人摸象) : 일부분을 알면서도 전체를 아는 것처럼 여기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 (: 소경 맹) (: 사람 인) (: 찾을 모) (: 코끼리 상) ]
  • 맹목(盲目) : (1)눈이 멀어서 보지 못하는 눈. (2)이성을 잃어 적절한 분별이나 판단을 못하는 일. [ (: 소경 맹) (: 눈 목) ]
  • 맹인직문(盲人直門) :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소경 맹) (: 사람 인) (: 곧을 직) (: 문 문) ]

[直] 곧을 직 (곧다, 값, 품삯, 바른 길, 바루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직왕매진 획순 이미지 직왕매진(直往邁進) : 주저하지 아니하고 곧장 힘차게 나아감. [ (: 곧을 직) (: 갈 왕) (: 갈 매) (: 나아갈 진) ]
  • 경정직행(徑情直行) : 예절이나 법식 따위에 얽매이지 않고 곧이곧대로 행동함. [ (: 지름길 경) (: 뜻 정) (: 곧을 직) (: 갈 행) ]
  • 시비곡직(是非曲直) : 옳고 그르고 굽고 곧다는 의미로, 옳은 것과 그른 것을 이르는 말. [ (: 옳을 시) (: 아닐 비) (: 굽을 곡) (: 곧을 직) ]
  • 역마직성(驛馬直星) : 늘 분주하게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사람을 이르는 말. [ (: 역참 역) (: 말 마) (: 곧을 직) (: 별 성) ]
  • 왕척직심(枉尺直尋) : 한 자를 굽혀서 여덟 자를 편다는 뜻으로, 조그만 양보로 큰 이득을 얻거나 작은 어려움을 참아 큰일을 이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굽을 왕) (: 자 척) (: 곧을 직) (: 찾을 심) ]

[者] 놈 자 (놈, 이, 때, …은, 조자(助字))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자심상빈 획순 이미지 사자심상빈(奢者心常貧) :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 (: 사치할 사) (: 놈 자) (: 마음 심) (: 항상 상) (: 가난할 빈) ]
  • 빈자일등(貧者一燈)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 가난할 빈) (: 놈 자) (: 한 일) (: 등불 등) ]
  • 인자안인(仁者安仁) : 어진 사람은 천명을 알아 인(仁)에 만족하고 마음이 흔들리지 아니함. [ (: 어질 인) (: 놈 자) (: 편안할 안) (: 어질 인) ]
  • 칠자불화(漆者不畵) : 옻칠을 하는 사람은 그림을 그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두 가지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곧 분업을 의미함. [ (: 옻 칠) (: 놈 자) (: 아니 불) (: 그림 화) ]
  • 녹의사자(綠衣使者) : 푸른 옷을 입은 사자(使者)라는 뜻으로, 앵무새의 다른 명칭. [ (: 옷 의) (使: 부릴 사) (: 놈 자) ]

[門] 문 문 (문, 문간, 집안, 가문, 일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 획순 이미지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 :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 (: 좋을 호) (: 일 사) (: 아니 불) (: 날 출) (: 문 문) (: 악할 악) (: 일 사) (: 갈 행) (: 일천 천) (: 마을 리) ]
  • 문외한(門外漢) : (1)어떤 일에 직접 관계가 없는 사람. (2)어떤 일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 [ (: 문 문) (: 바깥 외) (: 한수 한) ]
  • 개문납적(開門納賊) : 문을 열어 도둑이 들어오게 한다는 뜻으로, 제 스스로 화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 (: 열 개) (: 문 문) (: 들일 납) (: 도둑 적) ]
  • 화복무문유인자초(禍福無門惟人自招) : 화와 복에는 문이 따로 없음. 오직 사람이 스스로 부르는 것임. [ (: 재난 화) (: 복 복) (: 없을 무) (: 문 문) (: 생각할 유) (: 사람 인) (: 스스로 자) (: 부를 초) ]

[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혼비중천 획순 이미지 혼비중천(魂飛中天)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 넋 혼) (: 날 비) (: 가운데 중) (: 하늘 천) ]
  • 치망순역지(齒亡脣亦支) :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말. [ (: 이 치) (: 잃을 망) (: 입술 순) (: 또 역) (: 가를 지) ]
  •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 어리석을 우) (: 물을 문) (: 어질 현) (: 대답할 답) ]
  • 두구탄성(杜口呑聲) : 입을 닫고 소리를 삼킨다는 뜻으로, 입 다물고 말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 [ (: 팥배나무 두) (: 입 구) (: 삼킬 탄) (: 소리 성)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 획순 이미지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옳을 가) (: 줄 여) (: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 기쁠 희) (: 날 출) (: 바랄 망) (: 바깥 외)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미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벽창우 획순 이미지 벽창우(碧昌牛) : (1)평안북도의 벽동(碧潼)ㆍ창성 지방에서 나는 크고 억센 소. (2)'벽창호'의 원말. [ (: 푸를 벽) (: 창성 창) (: 소 우) ]
  • 가돈(家豚) : 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 (: 집 가) (: 돼지 돈) ]
  • 돈견(豚犬) : (1)개와 돼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미련하고 못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 (: 돼지 돈) (: 개 견) ]
  • 맹자직문(盲者直門) :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소경 맹) (: 놈 자) (: 곧을 직) (: 문 문) ]
  • 로목궤(櫨木櫃) : (1)융통성이 전혀 없는 미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딸을 둔 노인이 거먕옻나무 궤를 짜서 남몰래 쌀 쉰닷 말을 넣어 두고 이것을 알아맞히는 사람을 사위로 삼기로 했는데, 그 사실을 알게 된 장사꾼이 사위가 된 후로 장인이 부르기만 하면, '노목궤, 쌀 쉰닷 말' 하는 말만 되풀이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노목궤'의 북한어. [ (: 나무 목) (: 함 궤) ]

[사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 획순 이미지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귀신 귀) (: 서로 상) (: 반 반) ]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 혼비중천(魂飛中天)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 넋 혼) (: 날 비) (: 가운데 중) (: 하늘 천) ]
  • 삼익우(三益友)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 석 삼) (: 더할 익) (: 벗 우) ]

[소경]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맹자단청 획순 이미지 맹자단청(盲者丹靑) : 맹자의 단청 구경이라는 뜻으로, 보아도 이해하지 못할 사물을 보는 것을 이르는 말. [ (: 소경 맹) (: 놈 자) (: 붉을 단) (: 푸를 청) ]
  • 맹인직문(盲人直門) :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소경 맹) (: 사람 인) (: 곧을 직) (: 문 문) ]
  • 서하지통(西河之痛) : 서하의 고통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하(子夏)가 서하(西河)에 있을 때 자식을 잃고 너무 슬픈 나머지 소경이 된 고사에서 온 말에서 자식을 잃은 슬픔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西: 서녘 서) (: 강 이름 하) (: 갈 지) (: 아플 통) ]
  • 십맹일장(十盲一杖) : 열 맹인(盲人)에 한 개의 지팡이라는 뜻으로, 여러 곳에 긴요하게 쓰이는 물건을 이르는 말. [ (: 열 십) (: 소경 맹) (: 한 일) (: 지팡이 장) ]
  • 맹자실장(盲者失杖) : 소경이 지팡이를 잃다는 뜻으로, 믿고 의지할 곳이 없어졌다는 의미. [ (: 소경 맹) (: 놈 자) (: 잃을 실) (: 지팡이 장) ]

[어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속수무책 획순 이미지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이왕지사(已往之事) : 이미 지나간 일. [ (: 그칠 이) (: 갈 왕) (: 갈 지) (: 일 사) ]
  • 무위무책(無爲無策) : 하는 일도 없고 취할 방책도 없음. [ (: 없을 무) (: 할 위) (: 없을 무) (: 꾀 책) ]
  • 절체절명(絶體絶命) : 몸도 목숨도 다 되었다는 뜻으로, 아무리 하여도 별다른 도리가 없는 어찌할 수 없는 궁박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끊을 절) (: 몸 체) (: 끊을 절) (: 목숨 명) ]
  • 치신무지(置身無地) : '치신무지하다'의 어근. [ (: 둘 치) (: 몸 신) (: 없을 무) (: 땅 지) ]

[우둔]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맹자직문 획순 이미지 맹자직문(盲者直門) :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소경 맹) (: 놈 자) (: 곧을 직) (: 문 문) ]
  • 마수모장(馬瘦毛長) : 말이 야위면 털만 길어진다는 뜻으로, 빈천해지면 우둔해진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 [ (: 말 마) (: 파리할 수) (: 털 모) (: 길 장) ]
  • 포옹관휴(抱瓮灌畦) : 항아리를 안고 밭에 물을 준다는 뜻으로, 부족하고 뒤떨어진 것을 개량하려 하지 않는 우둔하고 못난 방법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안을 포) (: 독 옹) (: 물댈 관) (: 밭두둑 휴) ]

[이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자손손타 획순 이미지 자손손타(自損損他) : 그릇된 이치를 믿어 자신을 해롭게 하고 남까지도 잘못되게 함. [ (: 스스로 자) (: 덜 손) (: 덜 손) (: 다를 타) ]
  • 선악불이(善惡不二) : 선악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각각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평등 무차별한 하나의 이치로 돌아간다는 말. [ (: 착할 선) (: 악할 악) (: 아니 불) (: 두 이) ]
  • 지자불언(知者不言) : 지자는 깊이 재능을 감추고 함부로 말을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노자(老子)≫ 56장에 나오는 말이다. [ (: 알 지) (: 놈 자) (: 아니 불) (: 말씀 언) ]
  • 조문석사(朝聞夕死) : 아침에 참된 이치를 들어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한이 될 것이 없다는 말. ≪논어≫의 <이인편(里仁篇)>에 나오는 말이다. [ (: 아침 조) (: 들을 문) (: 저녁 석) (: 죽을 사) ]

[정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문일침 획순 이미지 정문일침(頂門一針) : 정수리에 침을 놓는다는 뜻으로, 사람의 급소를 짚어 따끔한 훈계를 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정수리 정) (: 문 문) (: 한 일) (: 바늘 침) ]
  • 정표문려(旌表門閭) : 정문(旌門)을 세워 효자(孝子)와 열녀(烈女)를 표창(表彰)하고 알림. [ (: 기 정) (: 겉 표) (: 문 문) (: 이문 려) ]
  • 맹인직문(盲人直門) :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소경 맹) (: 사람 인) (: 곧을 직) (: 문 문) ]
  • 맹자직문(盲者直門) :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소경 맹) (: 놈 자) (: 곧을 직) (: 문 문) ]
  • 맹자정문(盲者正門) : 맹자가 정문을 바로 찾아 들어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소경 맹) (: 놈 자) (: 바를 정) (: 문 문) ]

[어쩌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맹인직문 획순 이미지 맹인직문(盲人直門) :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소경 맹) (: 사람 인) (: 곧을 직) (: 문 문) ]
  • 맹자직문(盲者直門) :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소경 맹) (: 놈 자) (: 곧을 직) (: 문 문) ]
  • 촉견폐일(蜀犬吠日) : 식견이 좁은 사람이 현인(賢人)의 언행을 의심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촉나라는 산이 높고 안개가 항상 짙어 해가 보이는 날이 드물기 때문에 개들이 해를 보면 이상히 여겨 짖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나라 이름 촉) (: 개 견) (: 짖을 폐) (: 날 일) ]
  • 맹자정문(盲者正門) : 맹자가 정문을 바로 찾아 들어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소경 맹) (: 놈 자) (: 바를 정) (: 문 문)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