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7월 16일 목요일

선성선사: 仙聖先師

선성선사 (仙聖先師) : 공자(孔子)와 안회(顔回).



仙聖先師 한자 뜻 풀이

  • 仙(신선 선) : 신선, 신선스럽다, 선교(仙敎), 가볍게 나는 듯한 모양, 센트. 산에 살며 不老長生의 도를 닦는 사람의 의미로 '신선'이라 함
  • 聖(성스러울 성) : 성스럽다, 성인(聖人), 임금의 존칭, 임금에 관한 사물의 경칭, 슬기. 큰 귀로 인해 잘 듣고 잘 판단한다는 의미에서 후에 초인적 능력을 지닌 '성인'의 의미 생성
  • 先(먼저 선) : 먼저, 앞서다, 앞, 우선, 앞서서. 윗 부분이 '之(지)'의 의미여서 밑에 '人(인)'을 더해 남보다 앞서간다는 의미를 생성함
  • 師(스승 사) : 스승, 전문적인 기예(技藝)를 닦은 사람, 스승으로 삼다, 신(神)의 칭호, 군사. 고대 군대의 단위에서 사람들을 이끈다는 의미에서 '스승'의 의미를 파생함


[仙] 신선 선 (신선, 신선스럽다, 선교(仙敎), 가볍게 나는 듯한 모양, 센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선성선사 획순 이미지 선성선사(仙聖先師) : 공자(孔子)와 안회(顔回). [ (: 신선 선) (: 성스러울 성) (: 먼저 선) (: 스승 사) ]
  • 태을선녀 획순 이미지 태을선녀(太乙仙女) : 하늘에 있는 선녀. [ (: 클 태) (: 새 을) (: 신선 선) (: 여자 녀) ]
  • 우화등선 획순 이미지 우화등선(羽化登仙) : 사람의 몸에 날개가 돋아 하늘로 올라가 신선이 됨. ≪진서(晉書)≫의 <허매전(許邁傳)>에 나오는 말이다. [ (: 깃 우) (: 화할 화) (: 오를 등) (: 신선 선) ]
  • 지상신선 획순 이미지 지상신선(地上神仙) : (1)인간 세상에 존재한다고 상상하는 신선. (2)팔자가 썩 좋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천도교에서, 사람이 천도(天道)를 믿어서 법열(法悅)을 얻으면, 정신적으로 이 세상의 극락을 얻고 영적으로 장생을 얻게 되므로, 이것이 곧 땅 위의 신선이라는 말. [ (: 땅 지) (: 위 상) (: 신 신) (: 신선 선) ]
  • 선녀사범 획순 이미지 선녀사범(仙女思凡) : 선녀가 속계(俗界)를 그리워한다는 뜻. [ (: 신선 선) (: 여자 녀) (: 생각할 사) (: 무릇 범) ]

[先] 먼저 선 (먼저, 앞서다, 앞, 우선, 앞서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선성선사 획순 이미지 선성선사(仙聖先師) : 공자(孔子)와 안회(顔回). [ (: 신선 선) (: 성스러울 성) (: 먼저 선) (: 스승 사) ]
  • 경선처단 획순 이미지 경선처단(徑先處斷) : 범인의 진술을 기다리지 않고 처단하는 일. [ (: 지름길 경) (: 먼저 선) (: 머무를 처) (: 끊을 단) ]
  • 선비 획순 이미지 선비(先妣) :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 (: 먼저 선) (: 죽은어미 비) ]
  • 호호선생 획순 이미지 호호선생(好好先生) : 좋아하고 기뻐하는 선생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지 '좋아 좋아'하는 사람. 후한의 사마위의 별칭. [ (: 좋을 호) (: 좋을 호) (: 먼저 선) (: 날 생) ]
  • 선숙부 획순 이미지 선숙부(先叔父) : 돌아가신 작은아버지. [ (: 먼저 선) (: 아재비 숙) (: 아비 부) ]

[師] 스승 사 (스승, 전문적인 기예(技藝)를 닦은 사람, 스승으로 삼다, 신(神)의 칭호, 군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선성선사 획순 이미지 선성선사(仙聖先師) : 공자(孔子)와 안회(顔回). [ (: 신선 선) (: 성스러울 성) (: 먼저 선) (: 스승 사) ]
  • 사엄도존 획순 이미지 사엄도존(師嚴道尊) : 스승이 엄하면 자연(自然)히 가르치는 도(道)도 존엄(尊嚴)해짐을 이르는 말. [ (: 스승 사) (: 엄할 엄) (: 길 도) (: 높을 존) ]
  • 덕무상사 획순 이미지 덕무상사(德無常師) : 덕을 닦는 데는 일정(一定)한 스승이 없다는 뜻으로, 마주치는 환경(環境), 마주치는 사람 모두가 수행(修行)에 도움이 됨을 이르는 말. [ (: 덕 덕) (: 없을 무) (: 항상 상) (: 스승 사) ]
  • 사제동행 획순 이미지 사제동행(師弟同行) : (1)스승과 제자가 함께 길을 감. (2)스승과 제자가 한마음으로 연구하여 나아감. [ (: 스승 사) (: 아우 제) (: 한가지 동) (: 갈 행) ]
  • 하상사지유 획순 이미지 하상사지유(何常師之有) : '어찌 일정(一定)한 스승이 있으리오'라는 뜻으로, 성인(聖人)에게는 일정(一定)한 스승이 없음을 이르는 말. [ (: 어찌 하) (: 항상 상) (: 스승 사) (: 갈 지) (: 있을 유) ]

[聖] 성스러울 성 (성스럽다, 성인(聖人), 임금의 존칭, 임금에 관한 사물의 경칭, 슬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선성선사 획순 이미지 선성선사(仙聖先師) : 공자(孔子)와 안회(顔回). [ (: 신선 선) (: 성스러울 성) (: 먼저 선) (: 스승 사) ]
  • 현성지군 획순 이미지 현성지군(賢聖之君) : 어질고 현명하며 거룩한 임금. [ (: 어질 현) (: 성스러울 성) (: 갈 지) (: 임금 군) ]
  • 태평성대 획순 이미지 태평성대(太平聖代) : 어진 임금이 잘 다스리어 태평한 세상이나 시대. [ (: 클 태) (: 평평할 평) (: 성스러울 성) (: 대신 대) ]
  • 제성통공 획순 이미지 제성통공(諸聖通功) : 여러 성인(聖人)의 공로(功勞)가 통(通)함. [ (: 모든 제) (: 성스러울 성) (: 통할 통) (: 공 공) ]
  • 희성희현 획순 이미지 희성희현(希聖希賢) : 성인이 되길 바라고 현인이 되길 바란다는 뜻으로, 사람은 자기보다 더욱 뛰어난 사람을 이상으로 삼을 것임을 이르는 말. [ (: 바랄 희) (: 성스러울 성) (: 바랄 희) (: 어질 현) ]

[孔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선성선사 획순 이미지 선성선사(仙聖先師) : 공자(孔子)와 안회(顔回). [ (: 신선 선) (: 성스러울 성) (: 먼저 선) (: 스승 사) ]
  • 비례물동 획순 이미지 비례물동(非禮勿動) :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는 뜻으로, 자신의 욕망을 극복하고 예절을 따르는 공자(孔子)의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실천 가치로 제시한 한 예임. [ (: 아닐 비) (: 예도 례) (: 말 물) (: 움직일 동) ]
  • 사민이시 획순 이미지 사민이시(使民以時) : 백성을 부리는 것은 때에 맞게 한다는 뜻으로, 농번기를 피하여 백성들을 사역(使役)시킨다는 의미인데, 孔子가 말한 백성을 올바로 다스리는 그 첩경의 하나임. [ (使: 부릴 사) (: 백성 민) (: 써 이) (: 때 시) ]
  • 사달이이의 획순 이미지 사달이이의(辭達而已矣) : 말이 통달할 뿐이라는 뜻으로, 말은 그 뜻이 남에게 전달되면 그것으로 족하다는 말의 정교함[辭巧]보다는 의미의 전달[辭達]에 역점을 둔 공자(孔子)의 입장. <論語>. [ (: 말씀 사) (: 통할 달) (: 말 이을 이) (: 그칠 이) (: 어조사 의) ]
  • 삼십이립 획순 이미지 삼십이립(三十而立) : 서른 살이 되어 자립을 한다는 뜻으로, 서른 살을 달리 이르는 말.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말이다. [ (: 석 삼) (: 열 십) (: 말 이을 이) (: 설 립) ]

[공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선성선사 획순 이미지 선성선사(仙聖先師) : 공자(孔子)와 안회(顔回). [ (: 신선 선) (: 성스러울 성) (: 먼저 선) (: 스승 사) ]
  • 온고지신 획순 이미지 온고지신(溫故知新) :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 (: 따뜻할 온) (: 예 고) (: 알 지) (: 새 신) ]
  • 현가불철 획순 이미지 현가불철(絃歌不輟) :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 (: 악기줄 현) (: 노래 가) (: 아니 불) (: 그칠 철) ]
  • 필삭포폄 획순 이미지 필삭포폄(筆削褒貶) : 쓰고 삭제하고 칭찬하고 나무란다는 뜻으로, 글에 대해 쓸 곳은 써 넣고 지울 곳은 지우고, 칭찬해야 할 곳은 칭찬하고, 나무랄 곳은 나무라는 공자의 춘추필법(春秋筆法)의 의미처럼 대의명분(大義名分)을 밝혀 세우는 사필(史筆)의 준엄한 논법(論法)의 의미. [ (: 붓 필) (: 깎을 삭) (: 기릴 포) (: 떨어뜨릴 폄) ]
  • 포통서하 획순 이미지 포통서하(抱痛西河) :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가 서하에 있을 때, 그의 아들을 잃고 너무 비통한 나머지 실명한 고사에서 유래되어 자식을 잃고 슬퍼하는 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안을 포) (: 아플 통) (西: 서녘 서) (: 강 이름 하)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