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14일 금요일

한자 脾에 관한 단어는 모두 38개

한자 脾에 관한 단어는 모두 3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脾에 관한 단어는 모두 38개

  • 비 (脾) : 척추동물의 림프 계통 기관. 위(胃)의 왼쪽이나 뒤쪽에 있으며, 오래된 적혈구나 혈소판을 파괴하거나 림프구를 만들어 내는 작용을 한다.
  • 건비 (健脾) : 약해진 비(脾)의 기능을 강하게 하는 치료 방법.
  • 부비 (腐脾) : 붉은팥의 꽃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 비감 (痹疳/脾疳) : 어린아이에게 생기는 소화 기관 질환. 젖이나 음식 조절을 잘못하여 비위가 손상되어 나타나는데, 얼굴이 누렇고 핏기가 없으며 헛배가 부르고 구역질을 하며 식욕이 없어진다.
  • 비경 (脾經) : 십이 경맥의 하나. 비(脾)에 속하고 위(胃)에 이어진다.
  • 비석 (脾析) : 소의 처녑. 또는 모든 짐승의 위장을 이르는 말.
  • 비설 (脾泄) : 지라의 기능 장애로 소화가 되지 아니하면서 구토 증세가 있고 설사를 하는 병.
  • 비수 (脾髓) : '지라속질'의 전 용어. (지라 속질: 지라를 이루는 붉은 빛깔의 부드럽고 연한 물질.)
  • 비수 (脾腧) : 방광경에 속하는 혈(穴). 제11등뼈와 제12등뼈 사이에서 옆으로 각각 두 치 떨어진 곳이다.
  • 비열 (脾熱) : 지라에 생기는 열증(熱症)의 하나. 입이 마르며 배가 더부룩하고 통증이 있으며 대변이 굳고 소변이 잦아지는 증상이 생긴다.
  • 비염 (脾炎) : '지라염'의 전 용어. (지라염: 지라에 생기는 염증.)
  • 비위 (脾胃) : 음식물을 삭여 내는 능력.
  • 비장 (脾臟) : 척추동물의 림프 계통 기관. 위(胃)의 왼쪽이나 뒤쪽에 있으며, 오래된 적혈구나 혈소판을 파괴하거나 림프구를 만들어 내는 작용을 한다.
  • 비종 (脾腫) : '지라비대'의 전 용어. (지라 비대: 지라가 비정상적으로 비대하여지는 증상. 백혈병ㆍ말라리아ㆍ용혈 황달 따위의 병에서 많이 일어나는데, 지라가 약 두 배로 부어서 왼쪽 끝의 갈비뼈 밑으로 만져진다.)
  • 비허 (脾虛) : 지라의 기능이 허약하여 소화가 잘되지 아니하고 식욕이 없어지며 몸이 야위는 병.
  • 소비 (巢脾) : 벌이 알을 낳고 먹이와 꿀을 저장하며 생활하는 집. 일벌들이 분비한 밀랍으로 만들며 육각형의 방이 여러 개 모여 층을 이루고 있다.
  • 익비 (益脾) : 약해진 비(脾)의 기능을 강하게 하는 치료 방법.
  • 귀비탕 (歸脾湯) : 정신을 안정시키며 비위(脾胃)를 든든하게 하는 보약. 신경 쇠약, 불면증, 건망증, 유정(遺精) 따위의 치료에 쓴다.
  • 귀비환 (歸脾丸) : 귀비탕을 갈아서 환(丸)으로 만든 보약.
  • 마비풍 (馬脾風) : '디프테리아'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디프테리아: 열이 나고 목이 아프며 음식을 잘 삼킬 수 없고 호흡 기관의 점막이 상하며 갑상샘이 부어 호흡 곤란을 일으키고, 후유증으로 신경 마비나 심장ㆍ콩팥의 장애가 따르는 급성 법정 전염병. 주로 어린이가 많이 걸린다.)
  • 만비풍 (慢脾風) : 어린아이가 걸리는 만경풍의 하나. 만경풍이 더욱더 중하여 생기는 병으로, 설사가 계속되고 먹지 못하여 쇠해져서 약한 경련이 일고 숨이 차며 정신이 혼미해진다.
  • 보비위 (補脾胃) : 남의 비위를 잘 맞추어 줌. 또는 그런 비위.
  • 비립종 (脾粒腫) : '좁쌀종'의 전 용어. (좁쌀종: 얼굴, 특히 눈꺼풀이나 그 주위에 잘 생기는 좁쌀만 한 크기의 백색 또는 황백색의 작은 상피낭.)
  • 비발저 (脾發疽) : 명치 양쪽에 생긴 염증.
  • 비약증 (脾約症) : 변비의 하나. 열병으로 땀과 오줌이 많이 배출되거나 지라의 기능 장애로 진액이 잘 생겨나지 못하여 생긴다.
  • 비위짱 (脾胃짱) : '비위'를 속되게 이르는 말. (비위: 지라와 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음식물을 삭여 내는 능력., 어떤 음식물을 먹고 싶은 마음., 어떤 것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성미. 또는 그러한 기분.)
  • 비윗살 (脾胃살) : 비위를 부리는 배짱.
  • 비증대 (脾增大) : '지라과다증'의 전 용어. (지라 과다증: 지라가 커지면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수가 줄어드는 병.)
  • 선령비 (仙靈脾) : 말린 삼지구엽초의 잎과 줄기. 힘줄과 뼈를 튼튼히 하고 정기를 돕는 데 쓴다.
  • 울혈비 (鬱血脾) : '울혈지라'의 전 용어. (울혈 지라: 지라에 생기는 울혈. 심장 판막의 장애 따위가 원인으로, 오랫동안 계속되면 지라의 결합 조직이 커지고 굳어지는 수가 있다.)
  • 비위난정 (脾胃難定) : 비위가 뒤집혀 가라앉지 아니함.
  • 비탈저균 (脾脫疽菌) : 바실루스과 바실루스속의 세균. 그람 양성 간균으로 탄저병의 병원균이다. 균체는 비교적 크고 저항력이 강하며 협막 또는 홀씨가 있다. 가축의 질병을 일으키고 사람에게 감염하면 패혈증을 일으킨다.
  • 저밀소비 (貯蜜巢脾) : 벌들이 꿀을 저장하여 두는 벌개. 꿀을 넣고 뚜껑을 씌웠다.
  • 보비위하다 (補脾胃하다) : 비장과 위의 기운을 돕다.
  • 삼출건비탕 (蔘朮健脾湯) : 인삼과 백출(白朮) 따위를 넣어 달여 만드는 탕약. 비위(脾胃)의 기능을 돕는 데 쓴다.
  • 족태음비경 (足太陰脾經) : 십이 경맥의 하나. 비(脾)에 속하고 위(胃)에 이어진다.
  • 비위난정하다 (脾胃難定하다) : 비위가 뒤집혀 가라앉지 아니하다.
  • 비장 수양법 (脾臟修養法) : 비장을 튼튼히 하는 도인법(導引法). 이른 아침에 단정하게 앉아서 혀를 놀려 침 삼키는 것을 30번 하고, 숨을 깊이 들이쉬었다 멈추기를 30번 한 다음 두 손으로 머리 올리기를 9번 하고 약 10분간 안정을 취한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脾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痍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개

한자 痍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痍에 관한 단어는 모두 12개

  • 상이 (傷痍) : 부상을 당함.
  • 창이 (創痍/瘡痍) : 병기(兵器)에 다친 상처라는 뜻으로, 전쟁으로 인한 파괴를 이르는 말.
  • 상이병 (傷痍兵) : 부상을 당한 병사.
  • 만신창이 (滿身瘡痍) : 온몸이 상처투성이가 됨.
  • 상이군경 (傷痍軍警) : 전투나 공무 중에 몸을 다친 군인과 경찰관.
  • 상이군인 (傷痍軍人) : 전투나 군사상 공무 중에 몸을 다친 군인.
  • 상이용사 (傷痍勇士) : 군에서 복무하다가 부상을 입고 제대한 병사.
  • 창이미추 (創痍未瘳) : 칼에 맞아 입은 상처가 아직 낫지 아니하였다는 뜻으로, 전란(戰亂)의 피해나 해독이 아직 회복되지 않았음을 이르는 말.
  • 상이 기장 (傷痍紀章) : 전투 또는 작전상 필요한 공무 수행 중 부상한 자에게 수여하는 기장. 이에는 특별 상이 기장과 보통 상이 기장이 있다.
  • 상이 연금 (傷痍年金) : 예전에, 군사 원호 보상 급여금법에 따라 상이군경에게 지급하던 연금.
  • 보통 상이 기장 (普通傷痍紀章) : 전투에 나가 다쳤으나 불구에까지 이르지 아니한 사람에게 주는 기장.
  • 특별 상이 기장 (特別傷痍紀章) : 전투에 나가 다쳐서 불구에 이른 사람에게 주는 기장.


https://dict.wordrow.kr에서 痍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鯛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한자 鯛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鯛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 조장 (鯛醬) : 도미를 절여 만든 장.
  • 갈황조 (褐黃鯛) : → 갈돔. (갈돔: 갈돔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50cm 이상이며, 노란빛을 띤 회갈색이다. 배 쪽은 연한 갈색이고 머리와 각 지느러미는 누런색이며 배와 등이 약간 볼록하다. 한국 중남부, 일본 중부 이남,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구홍조 (口紅鯛) : → 구갈돔. (구갈돔: 갈돔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50cm 정도이고 타원형이며, 붉은색을 띤 자갈색이다. 주둥이는 길며 뾰족하고 비늘은 조잡한 빗비늘로 머리 꼭대기와 뺨에는 없다. 한국, 대만,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 백미조 (白尾鯛) : 백미돔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50cm 정도이고 타원형이며 옆으로 편평하고 몸의 높이가 높으며 입이 작다. 몸은 어두운 갈색이고 꼬리지느러미 뒤 끝은 흰색이다. 난해성(暖海性) 어류로 한국의 동남해, 태평양과 대서양의 온대, 열대에 분포한다.
  • 백자조 (白紫鯛) : 자리돔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1미터 정도이고 달걀 모양으로 옆으로 납작하며, 검은 자주색이다. 꼬리지느러미는 노란색이며 옆구리에 흰색의 가로띠가 있다. 한국, 일본,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鯛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