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5일 금요일

한자 梵에 관한 단어는 모두 61개

한자 梵에 관한 단어는 모두 6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梵에 관한 단어는 모두 61개

  • 범 (梵) : 인도 브라만교의 최고 원리로서 세계 창조의 근원.
  • 고범 (高梵) : 고상한 독경(讀經) 소리.
  • 대범 (大梵) : 색계(色界) 초선천(初禪天)의 셋째 하늘. 대범천왕이 있는 곳이다.
  • 범각 (梵閣) : 절이나 불당을 두루 이르는 말.
  • 범게 (梵偈) : 불경 중의 게송(偈頌).
  • 범경 (梵境) : 절의 경내.
  • 범궁 (梵宮) : 범천왕의 궁전.
  • 범납 (梵衲) : 절에서 살면서 불도를 닦고 실천하며 포교하는 사람. 본래는 그런 단체를 이르던 말이다.
  • 범망 (梵網) : 대승계(大乘戒)에 관한 경전. 상권에는 보살의 심지(心地)가 전개되어 가는 모양을 밝혔고, 하권에는 10중 48경계를 설하였다.
  • 범문 (梵文) : 브라흐미 문자로 기록된 글.
  • 범복 (梵服) : 범행(梵行)을 하는 비구들이 입는 의복이라는 뜻으로, '가사'를 달리 이르는 말. (가사: 승려가 장삼 위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 입는 법의(法衣). 종파에 따라 빛깔과 형식을 엄격히 규정하고 있다.)
  • 범본 (梵本) : 범어(梵語)로 쓴 책.
  • 범산 (梵山) : '김법린'의 호. (김법린: 독립운동가ㆍ학자(1899~1964). 호는 범산(梵山). 3ㆍ1 운동 때 불교계 만세 독립 시위에 참가하였고, 1938년에 만당(卍黨) 사건으로 전주에서, 1942년에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함흥에서 복역하였다. 불교 중앙 총무원장, 문교부 장관, 원자력원장, 동국 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 범서 (梵書) : 브라흐미 문자로 기록된 글.
  • 범승 (梵僧) : 불법을 지켜 행덕(行德)이 단정하고 깨끗한 승려.
  • 범악 (梵樂) : 불가(佛家)의 음악.
  • 범어 (梵語) : 인도ㆍ유럽 어족 가운데 인도ㆍ이란 어파에 속한 인도ㆍ아리아어 계통으로 고대 인도의 표준 문장어. 전 인도의 고급 문장어로 오늘날까지 지속되는데, 불경이나 고대 인도 문학은 이것으로 기록되었다.
  • 범왕 (梵王) : 색계(色界) 초선천(初禪天)의 우두머리. 제석천(帝釋天)과 함께 부처를 좌우에서 모시는 불법 수호의 신이다.
  • 범우 (梵宇) : 승려가 불상을 모시고 불도(佛道)를 닦으며 교법을 펴는 집.
  • 범음 (梵音) : → 범패. (범패: 석가여래의 공덕을 찬미하는 노래. 절에서 재(齋)를 올릴 때에 부른다.)
  • 범음 (梵音) : 범왕(梵王)의 음성.
  • 범일 (梵日) : 신라 때의 승려(810~889). 속성은 김(金). 구산 조사의 한 사람으로, 중국 당나라에 가서 수도한 뒤 귀국하여 설법하였다. 구산문의 하나인 사굴산문의 개조이다.
  • 범자 (梵字) : 산스크리트어를 적는 인도의 문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브라흐미 문자, 실담(悉曇), 데바나가리 문자 등 인도에서 발달한 여러 문자가 포함된다.
  • 범전 (梵殿) : 부처를 모신 집.
  • 범종 (梵鐘) : 절에 매달아 놓고, 대중을 모이게 하거나 시각을 알리기 위하여 치는 종.
  • 범중 (梵衆) : 범행(梵行)을 닦는 수행자.
  • 범지 (梵志) : 바라문 생활의 네 시기 가운데에 첫째. 스승에게 가서 수학(修學)하는 기간으로 보통 여덟 살부터 열여섯 살까지, 또는 열한 살부터 스물두 살까지이다.
  • 범찬 (梵讚) : 범어로 부르는, 부처의 덕을 찬미한 글.
  • 범찰 (梵刹) : 승려가 불상을 모시고 불도(佛道)를 닦으며 교법을 펴는 집.
  • 범처 (梵妻) : 승려의 아내.
  • 범천 (梵天) : 십이천의 하나. 위를 지키는 신이다.
  • 범체 (梵砌) : 절의 경내.
  • 범패 (梵唄) : 불경 읽는 소리.
  • 범학 (梵學) : 불교에 관한 학문.
  • 범해 (梵海) : '각안'의 호. (각안: 조선 후기의 승려(1820~1896). 속성은 최(崔). 호는 두륜산인구계(頭輪山人九階)ㆍ범해(梵海). 화엄을 주로 강론하였으며, 유ㆍ불ㆍ도 3교의 일치를 주장하였다. 저서에 ≪동사열전(東師列傳)≫, ≪범해선사유고(梵海禪師遺稿)≫ 따위가 있다.)
  • 범행 (梵行) : 맑고 깨끗한 행실.
  • 범협 (梵夾) : 패다라엽(貝多羅葉)에 범어로 새긴 경문. 경문을 새긴 패다라엽을 겹쳐 양쪽에 나무 판을 대고 끈을 꿰어 묶은 데서 유래한다.
  • 석범 (釋梵) : 제석천(帝釋天)과 범천왕(梵天王)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신범 (晨梵) : 날이 샐 무렵에 치는 종.
  • 야범 (夜梵) : 밤에 불경을 읽음.
  • 효범 (曉梵) : 아침에 하는 독경.
  • 대범왕 (大梵王) : 대범천에 있으면서 사바세계를 다스리는 천왕.
  • 대범천 (大梵天) : 대범천에 있으면서 사바세계를 다스리는 천왕.
  • 박가범 (薄伽梵) : 불교의 개조. 과거칠불의 일곱째 부처로, 세계 4대 성인의 한 사람이다. 기원전 624년에 지금의 네팔 지방의 카필라바스투성에서 슈도다나와 마야 부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29세 때에 출가하여 35세에 득도하였다. 그 후 녹야원에서 다섯 수행자를 교화하는 것을 시작으로 교단을 성립하였다. 45년 동안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하다가 80세에 입적하였다.
  • 범망경 (梵網經) : 대승계(大乘戒)에 관한 경전. 상권에는 보살의 심지(心地)가 전개되어 가는 모양을 밝혔고, 하권에는 10중 48경계를 설하였다.
  • 범보천 (梵輔天) : 색계(色界) 초선천(初禪天)의 둘째 하늘. 대범천왕을 돕는 중생들이 있는 곳이다.
  • 범어사 (梵魚寺)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금정산에 있는 절. 신라 문무왕 18년(678)에 의상 대사가 창건하였다. 현재 대한 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로 되어 있다.
  • 범왕궁 (梵王宮) : 절이나 불당을 두루 이르는 말.
  • 범우고 (梵宇攷) : 조선 정조 3년(1779)에 우리나라 전국에 흩어져 있는 절의 존폐, 소재지, 연혁 따위를 적어서 펴낸 책. ≪삼국사기≫, ≪고려사≫, ≪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하여 고금(古今)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1책.
  • 범중천 (梵衆天) : 색계(色界) 초선천(初禪天)의 첫째 하늘. 대범천왕이 다스리는 중생들이 사는 곳이다.
  • 범천왕 (梵天王) : 브라만교의 교조(敎祖)인 우주 만물의 조화의 신.
  • 범패승 (梵唄僧) : 초청을 받아 절에 가서 전문적으로 범패를 부르는 승려.
  • 대범고대 (大梵高臺) : 대범천왕이 있는 높은 대.
  • 대범왕궁 (大梵王宮) : 대범천왕의 궁전. 색계(色界) 초선(初禪)의 범보천 가운데 있는 높은 대 위에 있다.
  • 대범천왕 (大梵天王) : 대범천에 있으면서 사바세계를 다스리는 천왕.
  • 범음심원 (梵音深遠) : 음성이 부드럽고 맑아 멀리까지 들리는 상(相).
  • 범음족파 (梵音族派) : 조선 영조 때에, 승려 대휘(大輝)가 짓소리에 관하여 쓴 책.
  • 범음종보 (梵音宗譜) : 조선 영조 때에, 승려 대휘(大輝)가 짓소리에 관하여 쓴 책.
  • 작범사리 (作梵闍梨) : 승려가 계(戒)를 받는 득도식에서 범패를 부르는 아사리.
  • 범아일여론 (梵我一如論) : 인도 우파니샤드의 철학에서, 우주의 근본인 브라만과 개인의 중심인 아트만을 궁극적으로 동일하게 보는 학설.
  • 용주사 범종 (龍珠寺梵鐘) : 경기도 화성시 용주사에 있는 범종. 고려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몸체에 비천상과 삼존상이 새겨져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용주사동종'이다. 국보 제120호. (용주사 동종: 경기도 화성시 용주사에 있는 범종. 고려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몸체에 비천상과 삼존상이 새겨져 있다. 국보 제120호.)


https://dict.wordrow.kr에서 梵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翔에 관한 단어는 모두 24개

한자 翔에 관한 단어는 모두 2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翔에 관한 단어는 모두 24개

  • 고상 (翺翔) : 새가 하늘 높이 빙빙 날아다님.
  • 고상 (高翔) : 높이 날아오름.
  • 비상 (飛翔) : 공중을 낢.
  • 상공 (翔空) : 공중을 훨훨 날아다님.
  • 상귀 (翔貴) : 물건값이 뛰어오름.
  • 상금 (翔禽) : 날아다니는 짐승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상집 (翔集) : 날아와 모임.
  • 상파 (翔破) : 새가 먼 거리를 끝까지 날아감.
  • 운상 (雲翔) : 나뉘어 흩어짐.
  • 활상 (滑翔) : 새가 날개를 놀리지 아니하고 미끄러지듯이 낢.
  • 회상 (回翔) : 빙빙 돌며 날아다님.
  • 비상력 (飛翔力) : 하늘을 나는 힘.
  • 상란기 (翔鸞旗) : 대한 제국 때에, 날아가는 봉황과 구름이 그려진 의장기. 파란색 삼각기로 화염각과 드리개가 달려 있다.
  • 고상하다 (翺翔하다) : 새가 하늘 높이 빙빙 날아다니다.
  • 고상하다 (高翔하다) : 높이 날아오르다.
  • 봉상생강 (鳳翔生薑)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나는 생강. 품질이 매우 좋으며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 비상하다 (飛翔하다) : 공중을 날다.
  • 상공하다 (翔空하다) : 공중을 훨훨 날아다니다.
  • 상귀하다 (翔貴하다) : 물건값이 뛰어오르다.
  • 상집하다 (翔集하다) : 날아와 모이다.
  • 상파하다 (翔破하다) : 새가 먼 거리를 끝까지 날아가다.
  • 운상하다 (雲翔하다) : 나뉘어 흩어지다.
  • 활상하다 (滑翔하다) : 새가 날개를 놀리지 아니하고 미끄러지듯이 날다.
  • 회상하다 (回翔하다) : 빙빙 돌며 날아다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翔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悻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한자 悻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悻에 관한 단어는 모두 7개

  • 행역 (悻逆) : 사람으로서 마땅히 하여야 할 도리에 어긋나고 순리를 거슬러 불순함.
  • 행행 (悻悻) : 성이 발끈 나서 자리를 박차고 떠나는 모양.
  • 행역질 (悻逆질) : 흉악하고 불순한 짓.
  • 행행연 (悻悻然) : '행행연하다'의 어근. (행행연하다: 성이 발끈 나서 자리를 박차고 떠나는 태도가 쌀쌀하다.)
  • 행행히 (悻悻히) : 성이 발끈 나서 자리를 박차고 떠나는 모양.
  • 행역하다 (悻逆하다) : 사람으로서 마땅히 하여야 할 도리에 어긋나고 순리를 거슬러 불순하다.
  • 행행연하다 (悻悻然하다) : 성이 발끈 나서 자리를 박차고 떠나는 태도가 쌀쌀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悻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鈐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한자 鈐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鈐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 검도 (鈐韜) : 세모창의 자루, 칼집, 활집을 통틀어 이르는 말.
  • 검새 (鈐璽) : 임금의 옥새를 찍음.
  • 검속 (鈐束) : 엄중하게 단속함.
  • 검인 (鈐印) : 관청에서 쓰는 도장을 찍음.
  • 도검 (韜鈐) : 군사를 지휘하여 전쟁을 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병서에 있는 ≪육도(六韜)≫와 <옥검편(玉鈐篇)>에서 한 자씩 따온 말이다.
  • 검인관 (鈐印官) : 조선 시대에, 과거(科擧)에서 글을 지어 올린 종이에 도장을 찍는 임무를 맡아보던 벼슬아치.
  • 동검구 (銅鈐口) : 구리로 도자기의 아가리를 싸서 물리는 꾸밈새.
  • 검새하다 (鈐璽하다) : 임금의 옥새를 찍다.
  • 검속하다 (鈐束하다) : 엄중하게 단속하다.
  • 검인하다 (鈐印하다) : 관청에서 쓰는 도장을 찍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鈐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鴆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한자 鴆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鴆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 짐 (鴆) : 중국 남방 광둥(廣東)에서 사는, 독이 있는 새. 몸의 길이는 21~25cm이며, 몸은 붉은빛을 띤 흑색, 부리는 검은빛을 띤 붉은색, 눈은 검은색이다. 뱀을 잡아먹는데 온몸에 독기가 있어 배설물이나 깃이 잠긴 음식물을 먹으면 즉사한다고 한다.
  • 짐독 (鴆毒) : 짐새의 깃에 있는 맹렬한 독. 또는 그 기운.
  • 짐살 (鴆殺) : 짐주(鴆酒)를 먹여 사람을 죽임.
  • 짐새 (鴆새) : 중국 남방 광둥(廣東)에서 사는, 독이 있는 새. 몸의 길이는 21~25cm이며, 몸은 붉은빛을 띤 흑색, 부리는 검은빛을 띤 붉은색, 눈은 검은색이다. 뱀을 잡아먹는데 온몸에 독기가 있어 배설물이나 깃이 잠긴 음식물을 먹으면 즉사한다고 한다.
  • 짐시 (鴆弑) : 짐주(鴆酒)를 먹여 사람을 죽임.
  • 짐주 (鴆酒/酖酒) : 짐독(鴆毒)을 섞은 술.
  • 짐살되다 (鴆殺되다) : 짐주(鴆酒)로 사람이 죽임을 당하다.
  • 짐살하다 (鴆殺하다) : 짐주(鴆酒)를 먹여 사람을 죽이다.
  • 짐시하다 (鴆弑하다) : 짐주(鴆酒)를 먹여 사람을 죽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鴆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