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5일 수요일

한자 瘡에 관한 단어는 모두 177개

한자 瘡에 관한 단어는 모두 17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瘡에 관한 단어는 모두 177개

  • 창 (瘡) : 피부에 나는 질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심하면 고름이 생기고 짓무른다.
  • 감창 (疳瘡) : 매독으로 음부(陰部)에 부스럼이 생기는 병.
  • 개창 (疥瘡) : '옴'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옴: 옴진드기가 기생하여 일으키는 전염 피부병.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사이, 겨드랑이 따위의 연한 살에서부터 짓무르기 시작하여 온몸으로 퍼진다. 몹시 가렵고 헐기도 한다.)
  • 골창 (骨瘡) : 골저(骨疽)에서 근육이 썩어 문드러져 죽은 뼈가 드러난 증상. 진물이 계속 나오면서 잘 아물지 않는다.
  • 과창 (瘑瘡) : 팔과 다리에 대칭으로 생기는 피부병.
  • 구창 (灸瘡) : 쑥으로 뜸을 뜬 자리가 헐어서 생긴 부스럼.
  • 구창 (口瘡) : 입안에 나는 부스럼.
  • 금창 (金瘡) : 칼, 창, 화살 따위로 생긴 상처.
  • 기창 (起瘡) : 천연두를 앓을 때 부르터서 곪음.
  • 나창 (癩瘡) : 나병 환자의 살갗에 생기는 부스럼 같은 멍울.
  • 낭창 (狼瘡) : 결핵성 피부병의 하나. 허약한 소년에게 많이 나타나는 병으로, 얼굴 특히 코를 중심으로 좌우에 대칭으로 생긴다. 몸통ㆍ목ㆍ사지(四肢)에도 발생하는데, 결절(結節)ㆍ궤양(潰瘍)ㆍ흉터 따위의 특이한 변화가 나타난다.
  • 냉창 (冷瘡) : 바람과 찬 기운에 접촉하여 생기는 헌데. 아프지도 가렵지도 않으면서 오랫동안 낫지 않는다.
  • 농창 (膿瘡) : 종기 따위가 오래되어서 살 속 깊이 헐고 표면에는 고름이 고이거나 딱지가 앉는 부스럼.
  • 뇌창 (腦瘡) : 정수리에 난 부스럼.
  • 누창 (漏瘡) : 피부에 잔구멍이 생기어 고름이 나는 부스럼. 흔히 목덜미, 겨드랑이의 사이에 발생하는데, 치료 시기를 놓치면 한열(寒熱)이 나기도 한다.
  • 독창 (禿瘡) : 머리에 생기는 피부병의 하나. 군데군데 둥글고 붉은 반점이 생기고 나중에는 머리털이 빠진다.
  • 독창 (毒瘡) : 독기가 있는 악성 종기나 큰 부스럼.
  • 동창 (凍瘡) : 추위에 몸의 일부가 얼어서 생기는 피부의 손상. 트고 심하게 가렵고 아프며 손발이나 얼굴 따위의 노출 부위에 주로 생긴다.
  • 두창 (頭瘡) : 머리에 나는 부스럼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두창 (痘瘡) : '천연두'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천연두: 천연두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급성의 법정 전염병. 열이 몹시 나고 온몸에 발진(發疹)이 생겨 딱지가 저절로 떨어지기 전에 긁으면 얽게 된다. 전염력이 매우 강하며 사망률도 높으나, 최근 예방 주사로 인해 연구용으로만 그 존재가 남아 있다.)
  • 등창 (등瘡) : 등에 나는 큰 부스럼.
  • 면창 (面瘡) : 얼굴에 난 헌데.
  • 모창 (毛瘡) : 수염 부위의 모공이 곪아 부스럼이나 붉은 응어리가 생기는 일.
  • 반창 (瘢瘡) : 상처의 흔적.
  • 배창 (背瘡) : 등에 나는 큰 부스럼.
  • 비창 (鼻瘡) : 콧구멍 속에 생기는 부스럼.
  • 비창 (疿瘡) : 땀띠가 심해져서 곪아 헌 데서 생긴 피부병.
  • 빈창 (鬢瘡) : 살쩍 주위에 나는 부스럼.
  • 선창 (癬瘡) : 백선균에 의하여 일어나는 피부병. 마른버짐, 진버짐 따위가 있는데 주로 얼굴에 생긴다.
  • 설창 (舌瘡) : 혓줄기 옆으로 희고 푸른 물집을 이루는 종기. 점차 커지면 달걀만 하게 되어 별로 아프지는 않으나 말하기가 거북하여진다.
  • 성창 (成瘡) : 상처가 부스럼으로 됨.
  • 소창 (小瘡) : 조그마한 부스럼.
  • 순창 (脣瘡) : 입술이 갈라지는 병.
  • 습창 (濕瘡) : 다리에 나는 부스럼. 심하게 아프지 않고 잘 아물지도 않는데, 흔히 비만인 사람에게 나타난다.
  • 악창 (惡瘡) : 고치기 힘든 부스럼.
  • 안창 (雁瘡) : 겨울철과 봄철에 청장년의 손발의 등과 바닥에 홍반성 낭창, 구진, 두드러기 따위가 나타나는 증상. 해마다 기러기가 올 때 생기고, 갈 때쯤 낫는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 여창 (癘瘡) : '나병'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나병: 나병균(癩病菌)에 의하여 감염되는 만성 전염병. 피부에 살점이 불거져 나오거나 반점 같은 것이 생기고 그 부분의 지각(知覺)이 마비되며 눈썹이 빠지고 손발이나 얼굴이 변형되며 눈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
  • 염창 (膁瘡) : '허구리'를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허구리: 허리 좌우의 갈비뼈 아래 잘쏙한 부분.)
  • 와창 (蝸瘡) : 손가락이나 발가락 사이가 아프고 가려워서 긁으면 헐고 진물이 나는 습진.
  • 와창 (臥瘡) : '압력궤양'의 전 용어. (압력 궤양: 병으로 오랜 시간을 누워 지내는 환자의 엉덩이나 등이 개개어서 생기는 부스럼.)
  • 완창 (頑瘡) : 넓적다리 안쪽이 곪아 터지고 속에서 버섯 같은 군살이 나와 잘 낫지 아니하는 병증.
  • 욕창 (褥瘡) : 병으로 오랜 시간을 누워 지내는 환자의 엉덩이나 등이 개개어서 생기는 부스럼.
  • 음창 (陰瘡) : 여자의 음부에 나는 부스럼.
  • 이창 (耳瘡) : 귀에 생긴 부스럼.
  • 자창 (疵瘡) : 단단하고 뿌리가 깊으며 형태가 못과 같은 부스럼. 열독이 모여 쌓여서 생기는데, 처음에는 좁쌀만 하게 생겼다가 급속히 퍼지며 통증이 심하다.
  • 장창 (杖瘡) : 예전에, 장형(杖刑)이나 고문으로 매를 맞은 자리에 난 헌데를 이르던 말.
  • 저창 (疽瘡) : 등에 난 부스럼.
  • 적창 (赤瘡) : '홍역'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홍역: 홍역 바이러스가 비말 감염에 의하여 일으키는 급성 전염병. 1~6세의 어린이에게 많고 봄철에 많다. 잠복기는 약 10일로, 감기와 비슷한 증상으로 시작하여 입안 점막에 작은 흰 반점이 생기고 나중에는 온몸에 좁쌀 같은 붉은 발진이 돋는다. 한 번 앓으면 다시 걸리지 않는다.)
  • 전창 (箭瘡) : 화살에 맞아 생긴 큰 부스럼.
  • 정창 (疔瘡) : 비교적 증세가 위중한 여러 부스럼.
  • 제창 (臍瘡) : 어린아이의 배꼽에 부스럼이 나는 병.
  • 좌창 (痤瘡) : 털구멍 부위가 염증을 일으켜서 생기는 발진. 특히 사춘기 남녀의 얼굴, 가슴 따위에 나타나는 것은 여드름이라고 한다.
  • 지창 (胝瘡) : 병으로 오래 누워 있어서 바닥에 닿는 부위가 기혈 순환의 장애로 허는 증상.
  • 창구 (瘡口) : 부스럼이나 종기가 터져서 생긴 구멍.
  • 창기 (瘡氣) : 매독(梅毒)의 기운.
  • 창독 (瘡毒) : 부스럼의 독기.
  • 창반 (瘡瘢) : 부스럼이 났던 자국이나, 칼에 다친 흉터.
  • 창병 (瘡病) : 피부에 나는 질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심하면 고름이 생기고 짓무른다.
  • 창약 (瘡藥) : 부스럼에 쓰는 약.
  • 창양 (瘡瘍) : 몸 겉에 생기는 여러 가지 외과적 질병과 피부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창유 (瘡痏) : 몸을 다쳐서 부상을 입은 자리.
  • 창이 (創痍/瘡痍) : 병기(兵器)에 다친 상처라는 뜻으로, 전쟁으로 인한 파괴를 이르는 말.
  • 창종 (瘡腫) : 헌데가 생겨서 부은 것.
  • 창질 (瘡疾) : 피부에 나는 질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심하면 고름이 생기고 짓무른다.
  • 창흔 (瘡痕) : 부스럼이 났던 자국이나, 칼에 다친 흉터.
  • 칠창 (漆瘡) : 옻독이 올라 생기는 급성 피부병.
  • 한창 (汗瘡) : 여름에 땀을 많이 흘리고 씻지 아니하여서 피부에 생기는 여드름 모양의 종기. 살이 찐 사람에게 많다.
  • 한창 (寒瘡) : 고양이 눈 모양과 비슷하게 생기는 부스럼. 구진, 두드러기, 물집 따위의 두 가지 이상의 피진이 손발에 대칭성으로 나타나면서 열이 나고, 아픔ㆍ가려움 따위의 증상이 나타난다.
  • 합창 (合瘡) : 종기나 상처에 새살이 돋아나서 아묾.
  • 화창 (火瘡) : 불에 데어서 생긴 상처.
  • 감갑창 (嵌甲瘡) : 발톱을 깎다가 손상된 피부나, 작은 신발을 오래 신어서 압박을 받은 발톱 부위에 생기는 부스럼.
  • 감닉창 (疳䘌瘡) : 감병(疳病)의 하나. 비위가 허약해져 위장에 습열이 몰리고, 이것이 위아래로 영향을 주어 입과 잇몸, 항문 따위가 붓고 헐게 된다.
  • 갑저창 (甲疽瘡) : 발톱을 깎다가 손상된 피부나, 작은 신발을 오래 신어서 압박을 받은 발톱 부위에 생기는 부스럼.
  • 계안창 (鷄眼瘡) : '티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티눈: 손이나 발에 생기는 사마귀 비슷한 굳은살. 누르면 속의 신경이 자극되어 아프다.)
  • 곡취창 (穀觜瘡) : 분으로 인한 중독으로 여자의 얼굴에 생기는 여드름과 같은 부스럼.
  • 골저창 (骨疽瘡) : 뼈에 생긴 악성 종기.
  • 구감창 (口疳瘡) : 습열(濕熱)이 있거나 입안이 불결할 때, 입안이 헐고 터지는 병.
  • 구문창 (口吻瘡) : 입술에 생긴 종기. 주로 입가가 헐며, 진물이 난다.
  • 구설창 (口舌瘡) : 입안과 혀가 헐어서 해어지는 병.
  • 금창산 (金瘡散) : 칼, 창, 화살 따위로 생긴 상처에 바르는 약. 석회를 나무나 풀의 줄기와 잎에 섞어 이겨서 만든다.
  • 금창약 (金瘡藥) : 칼, 창, 화살 따위로 생긴 상처에 바르는 약. 석회를 나무나 풀의 줄기와 잎에 섞어 이겨서 만든다.
  • 나두창 (癩頭瘡) : 위장 계통의 열 때문에 머리에 나는 부스럼. 모양이 나병과 비슷하다.
  • 나력창 (瘰癧瘡) : 나력이 심하여 곪아 터진 헌데.
  • 난의창 (爛依瘡) : 태어난 지 30일 안에 갓난아이의 온몸에 좁쌀 같은 벌건 점이 돋는 병.
  • 내감창 (內疳瘡) : 위 기능의 장애로 입안 윗잇몸에 나는 부스럼.
  • 냉감창 (冷疳瘡) : 영양 부족으로 입가에 난 부스럼이 점점 퍼져 뼈까지 침범하는 어린아이의 병.
  • 냉정창 (冷疔瘡) : 처음에는 좁쌀 같은 것이 솟아 점점 곪아서 퍼져 들어가다가 나중에는 살과 뼈에까지 퍼지는 악성 부스럼.
  • 농과창 (膿窠瘡) : 습진, 땀띠 따위가 세균 감염으로 곪은 것.
  • 농포창 (膿疱瘡) : 피부에 작은 물집이 생겼다가 곧 속에 고름이 차는 병.
  • 누정창 (漏睛瘡) : 눈자위에 부스럼이 나서 곪아 터지는 병.
  • 대풍창 (大風瘡) : '나병'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나병: 나병균(癩病菌)에 의하여 감염되는 만성 전염병. 피부에 살점이 불거져 나오거나 반점 같은 것이 생기고 그 부분의 지각(知覺)이 마비되며 눈썹이 빠지고 손발이나 얼굴이 변형되며 눈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
  • 동란창 (凍爛瘡) : 겨울에 살이 얼어 터서 생긴 염증.
  • 두풍창 (痘風瘡) : 천연두를 앓은 뒤에 살갗에 염증이 생겨서 가렵고 진물이 흐르는 병.
  • 두풍창 (頭風瘡) : 머리에 생긴 습진.
  • 마도창 (馬刀瘡) : '나력창'을 달리 이르는 말. 곪아 터져 헌데가 말조개 모양과 같은 데서 나온 말이다. (나력창: 나력이 심하여 곪아 터진 헌데.)
  • 만신창 (滿身瘡) : 온몸에 퍼진 부스럼.
  • 면화창 (綿花瘡) : 목화송이가 터지듯이 퍼지는 부스럼을 이르는 말.
  • 묘안창 (猫眼瘡) : 고양이 눈 모양과 비슷하게 생기는 부스럼. 구진, 두드러기, 물집 따위의 두 가지 이상의 피진이 손발에 대칭성으로 나타나면서 열이 나고, 아픔ㆍ가려움 따위의 증상이 나타난다.
  • 반창고 (絆瘡膏) : 연고나 붕대 따위를 피부에 붙이기 위하여, 점착성 물질을 발라서 만든 헝겊이나 테이프 따위.


https://dict.wordrow.kr에서 瘡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愷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한자 愷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愷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 개제 (愷悌/豈弟/愷弟) : '개제하다'의 어근. (개제하다: 용모가 단아하고 기상이 화평하다.)
  • 팔개 (八愷) : 중국 전설에 나오는 고양씨(高陽氏)의 여덟 재자(才子). 창서(蒼舒), 퇴개(隤敱), 도연(檮戭), 대림(大臨), 방강(尨降), 정견(庭堅), 중용(仲容), 숙달(叔達)을 이른다.
  • 고개지 (顧愷之) : 중국 동진(東晉)의 문인ㆍ화가(?~?). 자는 장강(長康). 육조(六朝)의 삼대가(三大家) 가운데 한 사람으로, 초상화와 옛 인물을 잘 그렸으며, 대상이 지니고 있는 생명 또는 정신의 표현을 중시하였다. 작품에 <여사잠도(女史箴圖)>, 화론(畫論)에 <화운대산기(畫雲臺山記)> 따위가 있다.
  • 요중개 (廖仲愷) : → 랴오중카이. (랴오중카이: 중국의 정치가(1877~1925). 랴오청즈의 아버지로, 중국 국민당의 좌파 지도자이다. 신해혁명 이후 쑨원(孫文)이 이끄는 혁명 전쟁에 참가하였으며, 국민당 우파에게 살해되었다. 저서에 ≪랴오중카이집≫이 있다.)
  • 개제하다 (愷悌하다/豈弟하다/愷弟하다) : 용모가 단아하고 기상이 화평하다.
  • 팔원팔개 (八元八愷) : 여덟 명의 얌전한 사람과 여덟 명의 선량한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고대 중국 전설에 나오는 전욱(顓頊) 고양씨(高陽氏)의 여덟 재자(才子)와 제곡(帝嚳) 고신씨(高辛氏)의 여덟 재자(才子)를 이르던 말에서 유래한다. 요순(堯舜) 때의 사람이라는 설도 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愷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