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1월 9일 월요일

각산진비: 各散盡飛

각산진비 (各散盡飛) : 저마다 따로 흩어져 모두 가 버림.



各散盡飛 한자 뜻 풀이

  • 各(각각 각) : 각각, 여러, 제각기, 따로따로. 발이 어느 지역을 향해 가고 있는 것에서 개별적인 행위에서 '각각'의 의미를 생성함
  • 散(흩을 산) : 흩다, 비틀거리다, 절룩거림, 흩어지다, 따로따로 떨어지다. 쪼개서 나누어 놓은 고깃덩이라는 의미에서 '흩어지다'는 의미 생성
  • 盡(다할 진) : 다하다, 진력(盡力)하다, 정성, 죄다, 멋대로. 손에 솔 같은 것을 잡고 그릇[皿]을 닦는 모습에서 '모두 끝났다'는 의미를 생성. 가운데 점 네 개는 불[火]의 모양이 아님
  • 飛(날 비) : 날다, 날리다, 높다, 빠르다, 새.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하는 것. '白'이 발음


[各] 각각 각 (각각, 여러, 제각기, 따로따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각자위심 획순 이미지 각자위심(各自爲心) : 제각기 마음을 달리 먹음. 또는 그 마음. [ (: 각각 각) (: 스스로 자) (: 할 위) (: 마음 심) ]
  • 각방거처(各房居處) : 부부 또는 가족이 한집에 살면서 각각 딴 방에서 생활함. [ (: 각각 각) (: 방 방) (: 있을 거) (: 머무를 처) ]
  • 각산진비(各散盡飛) : 저마다 따로 흩어져 모두 가 버림. [ (: 각각 각) (: 흩을 산) (: 다할 진) (: 날 비) ]
  • 동상각몽(同床各夢) : 같은 침상(寢床)에서 서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1) 겉으로는 같이 행동(行動)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 생각을 함을 이르는 말 (2) 비유적(比喩的)으로, 같은 입장(立場)ㆍ일인 데도 목표(目標)가 저마다 다름을 일컫는 말(3) 기거(起居)를 함께 하면서 서로 다른 생각을 함. [ (: 한가지 동) (: 상 상) (: 각각 각) (: 꿈 몽) ]

[散] 흩을 산 (흩다, 비틀거리다, 절룩거림, 흩어지다, 따로따로 떨어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류운산 획순 이미지 풍류운산(風流雲散) : 바람이 불어 구름을 흩어 버린다는 뜻으로, 자취도 없이 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바람 풍) (: 흐를 류) (: 구름 운) (: 흩을 산) ]
  • 산화(散華) : (1) 꽃같이 진다는 뜻으로 꽃다운 목숨이 전장(戰場) 등(等)에서 죽는 것 (2) 부처에게 공양(供養)하기 위(爲)하여 꽃을 뿌리는 일. [ (: 흩을 산) (: 빛날 화) ]
  • 각산진비(各散盡飛) : 저마다 따로 흩어져 모두 가 버림. [ (: 각각 각) (: 흩을 산) (: 다할 진) (: 날 비) ]
  • 사비팔산(四飛八散) : 사방팔방으로 날리어 이리저리 흩어짐. [ (: 넉 사) (: 날 비) (: 여덟 팔) (: 흩을 산) ]
  • 투한치산(投閑置散) : 한가함에 던지고 산만함에 두다는 뜻으로, 한산(閑散)한 자리에 몸을 두고 있어 요직(要職)에 오르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던질 투) (: 한가할 한) (: 둘 치) (: 흩을 산) ]

[盡] 다할 진 (다하다, 진력(盡力)하다, 정성, 죄다, 멋대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신진화멸 획순 이미지 신진화멸(薪盡火滅) :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불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 (: 섶나무 신) (: 다할 진) (: 불 화) (: 멸망할 멸) ]
  • 무진장(無盡藏) : (1)다함이 없이 굉장히 많음. (2)덕이 넓어 끝이 없음. 닦고 닦아도 다함이 없는 법의(法義)를 이른다. [ (: 없을 무) (: 다할 진) (: 감출 장) ]
  • 고진감래(苦盡甘來) :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을 이르는 말. [ (: 쓸 고) (: 다할 진) (: 달 감) (: 올 래) ]
  • 산진수궁(山盡水窮) : 산이 막히고 물줄기가 끊어져 더 갈 길이 없다는 뜻으로, 막다른 경우에 이름을 이르는 말. [ (: 메 산) (: 다할 진) (: 물 수) (: 다할 궁) ]
  • 진일지력(盡日之力) : 종일토록 맡은 일에 부지런히 쓰는 힘. [ (: 다할 진) (: 날 일) (: 갈 지) (: 힘 력) ]

[飛] 날 비 (날다, 날리다, 높다, 빠르다, 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혼비중천 획순 이미지 혼비중천(魂飛中天)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 넋 혼) (: 날 비) (: 가운데 중) (: 하늘 천) ]
  • 암중비약(暗中飛躍) : 어둠 속에서 날고 뛴다는 뜻으로, 남들 모르게 맹렬히 활동함을 이르는 말. [ (: 어두울 암) (: 가운데 중) (: 날 비) (: 뛸 약) ]
  • 수여비봉(首如飛蓬) : 머리가 날리는 쑥대 같다는 뜻으로, 머리털의 흐트러진 모양을 쑥의 흐트러진 모양에 견주어 이르는 말. [ (: 머리 수) (: 같을 여) (: 날 비) (: 쑥 봉) ]
  • 무족지언비천리(無足之言飛千里) : 발없는 말이 천리까지 날아간다는 뜻으로, 말이란 순식간에 멀리 퍼져 나감으로 조심하라는 뜻. [ (: 없을 무) (: 발 족) (: 갈 지) (: 말씀 언) (: 날 비) (: 일천 천) (: 마을 리) ]
  • 여조삭비(如鳥數飛) : 새가 하늘을 날기 위해 자주 날갯짓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배우기를 쉬지 않고 끊임없이 연습하고 익힘. [ (: 같을 여) (: 새 조) (: 자주 삭) (: 날 비) ]

[각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불언이신 획순 이미지 천불언이신(天不言而信) : 하늘은 말하지 않아도 믿는다는 뜻으로, 하늘은 그 행하는 바가 떳떳하여 틀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 (: 하늘 천) (: 아니 불) (: 말씀 언) (: 말 이을 이) (: 믿을 신) ]
  • 시시각각(時時刻刻) : 각각의 시각. [ (: 때 시) (: 때 시) (: 새길 각) (: 새길 각) ]
  • 각산진비(各散盡飛) : 저마다 따로 흩어져 모두 가 버림. [ (: 각각 각) (: 흩을 산) (: 다할 진) (: 날 비) ]

[각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자유방임 획순 이미지 자유방임(自由放任) : (1)각자의 자유에 맡겨 간섭하지 아니함. (2)경제 정책에서, 국가의 간섭을 제한하고 사유 재산과 기업의 자유 활동을 지지하는 주장. [ (: 스스로 자) (: 말미암을 유) (: 놓을 방) (: 맡길 임) ]
  • 각산진비(各散盡飛) : 저마다 따로 흩어져 모두 가 버림. [ (: 각각 각) (: 흩을 산) (: 다할 진) (: 날 비) ]
  • 걸견폐요(桀犬吠堯) : 걸왕의 개가 요임금을 향하여 짖는다는 뜻으로, 각자 자기의 주인에게 충성을 다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악인의 앞잡이가 선량한 사람을 공격함을 비유하기도 한다. ≪사기(史記)≫의 <회음후전(淮陰侯傳)>에 나오는 말이다. [ (: 횃대 걸) (: 개 견) (: 짖을 폐) (: 요임금 요) ]

[버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잠종비적 획순 이미지 잠종비적(潛蹤秘跡) : 자취를 감추고 흔적을 숨긴다는 뜻으로, 종적을 아주 감추어 버림을 이르는 말. [ (: 잠길 잠) (: 자취 종) (: 숨길 비) (: 자취 적) ]
  • 헐가방매(歇價放賣) : 헐값으로 마구 팔아 버림. [ (: 쉴 헐) (: 값 가) (: 놓을 방) (: 팔 매) ]
  • 전초제근(剪草除根) : 풀을 베고 뿌리를 캐내다는 뜻으로, 즉 미리 폐단(弊端)의 근본(根本)을 없애 버림. [ (: 벨 전) (: 풀 초) (: 덜 제) (: 뿌리 근) ]
  • 대의멸친(大義滅親) : 큰 도리를 지키기 위하여 부모나 형제도 돌아보지 않음. [ (: 큰 대) (: 옳을 의) (: 멸망할 멸) (: 친할 친) ]
  • 호래척거(呼來斥去) : 사람을 오라고 불러 놓고 곧바로 내쫓음. [ (: 부를 호) (: 올 래) (: 물리칠 척) (: 갈 거) ]

[의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공전절후(空前絶後)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 빌 공) (: 앞 전) (: 끊을 절) (: 뒤 후)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