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14일 화요일

한자 遇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4개

한자 遇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遇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4개

  • 객우 (客遇) : 손님으로서 대우함.
  • 경우 (境遇) : 사리나 도리.
  • 권우 (權遇) : 고려 말에서 조선 초의 학자(1363~1419). 초명은 원(遠). 자는 여보(慮甫)ㆍ중려(仲慮). 호는 매헌(梅軒). 조선 초기에 예문제학(藝文提學)을 지냈으며, 세종이 세자일 때에 경사(經史)를 가르쳤다.
  • 권우 (眷遇) : 임금이 신하를 특별히 사랑하여 후하게 대우함. 또는 그런 대우.
  • 궤우 (詭遇) : 사냥할 때 예법을 지키지 않고 짐승을 쏘아 맞히는 것으로,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명리(名利)나 지위를 얻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맹자≫<등문공하(滕文公下)>에서 유래한 말이다.
  • 기우 (奇遇) : 기이한 인연으로 만남.
  • 냉우 (冷遇) : 정성을 들이지 않고 아무렇게나 하는 대접.
  • 대우 (待遇) : 어떤 사회적 관계나 태도로 대하는 일.
  • 박우 (薄遇) : 박한 대우나 대접.
  • 봉우 (逢遇) : 우연히 만남. 또는 마주침.
  • 불우 (不遇) : 살림이나 처지가 딱하고 어려움.
  • 상우 (相遇) : 서로 만남.
  • 상우 (賞遇) : 잘못을 크게 뉘우친 죄수에게 상으로 주는 특별 대우. 면회나 편지 발송의 횟수, 작업 상여금의 할당, 식사의 반찬 따위를 늘려 준다.
  • 선우 (善遇) : 친절하게 잘 대접함.
  • 수우 (殊遇) : 특별한 대우.
  • 영우 (榮遇) : 영화롭게 대우함.
  • 예우 (禮遇) : 예의를 지키어 정중하게 대우함.
  • 우우 (優遇) : 후하게 대접함. 또는 그런 대접.
  • 우지 (遇知) : 남이 자신의 인격이나 재능을 알고 잘 대우함.
  • 우해 (遇害) : 이롭지 못한 일을 만남. 또는 살해를 당함.
  • 융우 (隆遇) : 융숭한 대우.
  • 은우 (恩遇) : 은혜로 대우함. 또는 그런 대우.
  • 일우 (一遇) : 한 번 만남. 또는 그런 기회.
  • 접우 (接遇) : 손님을 맞아들여 접대함.
  • 제우 (際遇) : 임금과 신하 사이에 뜻이 잘 맞음.
  • 조우 (遭遇) : 신하가 뜻에 맞는 임금을 만남.
  • 지우 (知遇) : 남이 자신의 인격이나 재능을 알고 잘 대우함.
  • 처우 (處遇) : 조처하여 대우함. 또는 그런 대우.
  • 총우 (寵遇) : 귀여워하고 사랑하여 특별히 대우함.
  • 치우 (値遇) : 마침 만남.
  • 특우 (特遇) : 특별히 대우함. 또는 특별한 대우.
  • 학우 (虐遇) : 잔학한 태도로 대함. 또는 그런 대우.
  • 혹우 (酷遇) : 혹독하게 대우함.
  • 회우 (會遇) : 한데 모여 만남.
  • 후우 (厚遇) : 아주 잘 대접함. 또는 그런 대접.
  • 강우성 (康遇聖) : 조선 선조 때의 역관(1581~?).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가 10년 만에 귀국하였다. 일본어와 일본 풍속에 밝아 왜학훈도가 되었으며, 일본과의 통상 외교 임무를 수행하였다. 현종 11년(1670)에 ≪첩해신어≫ 10권을 저술하였는데, 이 책은 숙종 4년(1678)부터 역과(譯科) 가운데 왜학(倭學) 시험 과목으로 사용되었다.
  • 경우극 (境遇劇) : 일정한 주인공을 설정하지 않고 등장하는 군중의 행동을 중심으로 하는 희곡. 독일의 극작가 하웁트만의 <해 뜨기 전>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 대우법 (待遇法) : 남을 높여서 말하는 법. 문장의 주체를 높이는 주체 높임법, 말을 듣는 상대편을 높이는 상대 높임법이 있다.
  • 부대우 (不待遇) : 정성을 들이지 않고 아무렇게나 하는 대접.
  • 불우시 (不遇時) : 좋은 때를 만나지 못함.
  • 상우례 (相遇禮) : 신랑이나 신부가 처가나 시가의 친척과 정식으로 처음 만나 보는 예식.
  • 예우직 (禮遇職) : 천도교에서, 교회 원로들에게 대우하여 주는 직제. 임기가 없으며 교령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한다.
  • 우적가 (遇賊歌) : 신라 원성왕 때에, 영재(永才)가 지은 10구체 향가. 남악에 은거하러 가는 길에 도둑의 무리를 만나 이 노래를 불러 도둑들을 교화하여 불교에 귀의하게 만들었다는 내용으로 ≪삼국유사≫에 실려 있다.
  • 조우설 (遭遇說) : 태양 주위로 다른 항성이 가까이 지나가면서 강한 기조력을 미쳐 태양 외층의 물질이 분출되고, 이 물질이 분리ㆍ냉각되어 행성과 위성 따위가 형성되었다는, 태양계의 기원에 관한 가설. 미행성설과 조석설은 이 학설을 변용한 것이다.
  • 조우전 (遭遇戰) : 쌍방의 군대가 행군하다가 갑작스럽게 부딪쳐 벌이는 전투.
  • 객우하다 (客遇하다) : 손님으로서 대우하다.
  • 권우하다 (眷遇하다) : 임금이 신하를 특별히 사랑하여 후하게 대우하다.
  • 궤우하다 (詭遇하다) : (비유적으로)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명리(名利)나 지위를 얻다. 사냥할 때 예법을 지키지 않고 짐승을 쏘아 맞힌다는 뜻에서 나온 것으로, ≪맹자≫<등문공하(滕文公下)>에서 유래한 말이다.
  • 기우하다 (奇遇하다) : 기이한 인연으로 만나다.
  • 냉우하다 (冷遇하다) : 정성을 들이지 않고 아무렇게나 대접을 하다.
  • 대우하다 (待遇하다) : 예의를 갖추어 대하다.
  • 도년우사 (徒年遇赦) : 도형(徒刑)을 살던 죄수가 특사령을 받던 일.
  • 맹귀우목 (盲龜遇木) : 눈먼 거북이 우연히 뜬 나무를 붙잡았다는 뜻으로, 어려운 형편에 우연히 행운을 얻게 됨을 이르는 말.
  • 문법치우 (聞法値遇) : 불법(佛法)을 직접 들을 기회를 얻음.
  • 박우하다 (薄遇하다) : 박한 대우나 대접을 하다.
  • 봉우하다 (逢遇하다) : 우연히 만나다. 또는 마주치다.
  • 불우지탄 (不遇之歎/不遇之嘆) : 불우한 데 대한 한탄.
  • 불우하다 (不遇하다) : 살림이나 처지가 딱하고 어렵다.
  • 사람대우 (사람待遇) : 사람에게 적합한 예의를 차려서 대하여 주는 일.
  • 상우하다 (賞遇하다) : 잘못을 크게 뉘우친 죄수에게 상으로 특별 대우를 해 주다. 면회나 편지 발송의 횟수, 작업 상여금의 할당, 식사의 반찬 따위를 늘려 준다.
  • 상우하다 (相遇하다) : 서로 만나다.
  • 선우하다 (善遇하다) : 친절하게 잘 대접하다.
  • 영우하다 (榮遇하다) : 영화롭게 대우하다.
  • 예우하다 (禮遇하다) : 예의를 지키어 정중하게 대우하다.
  • 우우하다 (優遇하다) : 후하게 대접하다.
  • 우해하다 (遇害하다) : 이롭지 못한 일을 만나다. 또는 살해를 당하다.
  • 은우하다 (恩遇하다) : 은혜로 대우하다.
  • 전관예우 (前官禮遇) : 장관급 이상의 고위 관직에 있었던 사람에게 퇴임 후에도 재임 때와 같은 예우를 베푸는 일.
  • 접우하다 (接遇하다) : 손님을 맞아들여 접대하다.
  • 제우하다 (際遇하다) : 임금과 신하 사이에 뜻이 잘 맞다.
  • 조우하다 (遭遇하다) : 신하가 뜻에 맞는 임금을 만나다.
  • 지우지감 (知遇之感) : 자기의 인격이나 학식을 알아 잘 대우하여 준 데 대한 고마운 마음.
  • 지우지은 (知遇之恩) : 자기의 인격이나 학식을 알아 잘 대우하여 준 은혜.
  • 지우하다 (知遇하다) : 남이 자신의 인격이나 재능을 알고 잘 대우하다.
  • 처우하다 (處遇하다) : 조처하여 대우하다.
  • 천재일우 (千載一遇) : 천 년 동안 단 한 번 만난다는 뜻으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를 이르는 말.
  • 총우하다 (寵遇하다) : 귀여워하고 사랑하여 특별히 대우하다.
  • 치우하다 (値遇하다) : 마침 만나다.
  • 토매인우 (土昧人遇) : 야만인 대우.
  • 특우하다 (特遇하다) : 특별히 대우하다.
  • 학우하다 (虐遇하다) : 잔학한 태도로 대하다.
  • 혹우하다 (酷遇하다) : 혹독하게 대우하다.
  • 회우하다 (會遇하다) : 한데 모여 만나다.
  • 후우하다 (厚遇하다) : 아주 잘 대접하다.
  • 보은기우록 (報恩奇遇錄) : 조선 후기의 한글 소설. 마음이 착한 위연청(魏延靑)이 위기에 처한 백 소저(白小姐)를 구해 주고 아름다운 인연을 맺었는데, 뒷날 연청이 위급한 처지에 놓였을 때 백 소저의 도움으로 소생하여 과거에 급제하고 벼슬에 나아가 행복하게 잘 살았다는 내용이다.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부대우하다 (不待遇하다) : 정성을 들이지 않고 아무렇게나 대접을 하다.
  • 불우시하다 (不遇時하다) : 좋은 때를 만나지 못하다.
  • 상우례하다 (相遇禮하다) : 신랑이나 신부가 처가나 시가의 친척과 정식으로 처음 만나는 예식을 치르다.
  • 사람대우하다 (사람待遇하다) : 사람에게 적합한 예의를 차려서 대하여 주다.
  • 경우의 수 (境遇의數) : 어떤 시행에서 특정한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가짓수. 한 개의 주사위를 던져서 홀수의 눈이 나올 경우는 1, 3, 5의 세 가지이므로, 이때의 경우의 수는 3이다.
  • 내국민 대우 (內國民待遇) : 국내의 여러 가지 활동 사항에 대하여 다른 나라 사람을 자기 나라 사람과 동등하게 대우함.
  • 내국인 대우 (內國人待遇) : 국내의 여러 가지 활동 사항에 대하여 다른 나라 사람을 자기 나라 사람과 동등하게 대우함.
  • 불이익 대우 (不利益待遇) : 특정 근로자가 노동조합에 가입했거나 노동조합을 결성하려 했다는 이유 따위로 고용자가 그 근로자를 불리하게 대우하는 일. 부당 행위로서 금지되어 있다.
  • 자국민 대우 (自國民待遇) : 국내의 여러 가지 활동 사항에 대하여 다른 나라 사람을 자기 나라 사람과 동등하게 대우함.
  • 최혜국 대우 (最惠國待遇) : 통상 조약이나 항해 조약을 체결한 나라가 상대국에 대하여 가장 유리한 혜택을 받는 나라와 동등한 대우를 하는 일.
  • 기국별 차별 대우 (旗國別差別待遇) : 자국 해운의 보호와 육성을 목적으로 외국의 배와 차별 대우를 하는 해운 정책의 하나. 법률 및 그 밖의 방법에 의하여 외국선에 대해서 차별 대우를 한다.
  • 자국민 대우 제도 (自國民待遇制度) : 자기 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에게 자기 나라의 국민과 같은 권리를 주는 제도.
  • 경우 비극 (境遇悲劇) : 주인공이 외부의 사회 환경에 의하여 어쩔 수 없이 몰락하여 불행해지는 과정을 그린 비극.
  • 균등 처우 (均等處遇) : 사용자가 근로자의 성별이나 국적, 신앙, 사회적 신분에 관계없이 임금이나 그 밖의 근로 조건에 대하여 균등하게 대우하는 일.


https://dict.wordrow.kr에서 遇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帚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한자 帚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帚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 기취 (箕帚) : 쓰레받기와 비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반추 (飯帚) : 밥을 푸는 도구. 나무, 놋쇠, 스테인리스강,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며 숟가락과 모양이 비슷하나 더 크다.
  • 소추 (梳帚) : 빗살 사이에 낀 때를 빼는 솔.
  • 우추 (羽帚) : 날짐승의 깃으로 만든 빗자루.
  • 폐추 (弊帚/敝帚) : 닳아 빠진 비라는 뜻으로, 분수에 넘게 자만심이 강한 사람을 이르는 말.
  • 기취첩 (箕帚妾) : 쓰레받기와 비를 잡는 여자라는 뜻으로, 아내가 스스로를 낮추어 이르는 말.
  • 폐추유고 (敝帚遺稿) : 조선 현종 때에, 폐추 임홍량(任弘亮)의 시문집. 시(詩), 서(書), 잡저, 서(序), 발(跋), 상량문(上樑文), 제문(祭文) 따위를 수록하였다. 고종 5년(1868)에 간행하였다. 4권 2책.
  • 폐추천금 (弊帚千金) : 닳아 빠진 비를 천금같이 여긴다는 뜻으로, 자기의 분수를 모름을 이르는 말.


https://dict.wordrow.kr에서 帚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冤에 관한 단어는 모두 78개

한자 冤에 관한 단어는 모두 7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冤에 관한 단어는 모두 78개

  • 번원 (煩冤) : 자꾸 들볶거나 번거롭게 굴어 괴롭고 귀찮음.
  • 설원 (雪冤) : 원통한 사정을 풀어 없앰.
  • 소원 (訴冤) : 억울한 일을 당하여 관(官)에 하소연함.
  • 신원 (伸冤) : 가슴에 맺힌 원한을 풀어 버림.
  • 억원 (抑冤) : '억원하다'의 어근. (억원하다: 억울하고 원통하다.)
  • 업원 (業冤) : 전생에서 지은 죄로 말미암아 이승에서 받는 괴로움.
  • 원계 (冤繫) : 죄 없이 잡혀 갇힘. 또는 그런 사람.
  • 원굴 (冤屈) : '원굴하다'의 어근. (원굴하다: 원통한 누명을 써서 억울하다.)
  • 원귀 (冤鬼) : 원통하게 죽어 한을 품고 있는 귀신.
  • 원루 (冤淚) : 원통하여 흘리는 눈물.
  • 원분 (冤忿) : '원분하다'의 어근. (원분하다: 원통하고 분하다.)
  • 원사 (冤死) : 원통하게 죽음. 또는 그런 죽음.
  • 원상 (冤傷) : 억울한 죄에 걸린 사람을 불쌍히 여기고 슬퍼함.
  • 원소 (冤訴) : 불복하여 재심을 청함.
  • 원수 (冤囚) : 억울한 누명을 쓴 죄수.
  • 원액 (冤厄) : 원통한 재앙으로 입은 불행.
  • 원억 (冤抑) : '원억하다'의 어근. (원억하다: 원통한 누명을 써서 억울하다.)
  • 원업 (冤業) : 과거 또는 전세(前世)에 뿌린 악(惡)의 씨.
  • 원열 (冤熱) : 열이 몹시 심하여 속이 답답하고 괴로운 증상.
  • 원옥 (冤獄) : 죄 없이 억울하게 옥에 갇힘.
  • 원왕 (冤枉) : '원왕하다'의 어근. (원왕하다: 원통한 누명을 써서 억울하다.)
  • 원정 (冤情) : 억울한 죄로 겪은 고통스러운 생각.
  • 원죄 (冤罪) : 억울하게 뒤집어쓴 죄.
  • 원통 (冤痛) : 분하고 억울함.
  • 원형 (冤刑) : 죄를 짓지 않았는데도 받는 억울한 형벌.
  • 원혼 (冤魂) : 분하고 억울하게 죽은 사람의 넋.
  • 지원 (至冤) : 지극히 원통함.
  • 칭원 (稱冤) : 원통함을 들어서 말함.
  • 통원 (痛冤) : 분하고 억울함.
  • 포원 (抱冤) : 원한을 품음.
  • 해원 (解冤) : 원통한 마음을 풂.
  • 호원 (呼冤) : 원통함을 하소연함.
  • 무원록 (無冤錄) : 중국 원나라의 왕여가 1308년에 지은 법의학서. 송나라의 ≪세원록(洗冤錄)≫과 ≪평원록(平冤錄)≫ 따위를 참고하였다.
  • 원분가 (冤憤歌) : 조선 중기에, 홍섬(洪暹)이 지은 가사. 김안로의 전횡(專橫)을 탄핵하다가 흥양으로 귀양 간 원통한 심정을 읊은 것이다.
  • 원억히 (冤抑히) : 원통한 누명을 써서 억울하게.
  • 원통히 (冤痛히) : 분하고 억울하게.
  • 고신원루 (孤臣冤淚) : 임금의 신임이나 사랑을 받지 못하는 외로운 신하의 원통한 눈물.
  • 공인칭원 (貢人稱冤) : 조선 후기에, 공인이 정해진 공물값으로는 채산이 안 맞아 더 달라고 청원하던 일.
  • 구구원정 (區區冤情) : 이런저런 억울한 사정.
  • 번원하다 (煩冤하다) : 자꾸 들볶거나 번거롭게 굴어 괴롭고 귀찮다.
  • 설분신원 (雪憤伸冤) : 가슴에 맺힌 원한을 풀어 버리고 창피스러운 일을 씻어 버림.
  • 설원하다 (雪冤하다) : 원통한 사정을 풀어 없애다.
  • 소원하다 (訴冤하다) : 억울한 일을 당하여 관(官)에 하소연하다.
  • 수절원사 (守節冤死) : 절개를 지키다 원통하게 죽음.
  • 신원설치 (伸冤雪恥) : 가슴에 맺힌 원한을 풀어 버리고 창피스러운 일을 씻어 버림.
  • 신원하다 (伸冤하다) : 가슴에 맺힌 원한을 풀어 버리다.
  • 억원하다 (抑冤하다) : 억울하고 원통하다.
  • 원계하다 (冤繫하다) : 죄 없이 잡혀 갇히다.
  • 원굴하다 (冤屈하다) : 원통한 누명을 써서 억울하다.
  • 원분하다 (冤忿하다) : 원통하고 분하다.
  • 원사하다 (冤死하다) : 원통하게 죽다.
  • 원상하다 (冤傷하다) : 억울한 죄에 걸린 사람을 불쌍히 여기고 슬퍼하다.
  • 원소하다 (冤訴하다) : 억울함을 호소하다.
  • 원억하다 (冤抑하다) : 원통한 누명을 써서 억울하다.
  • 원옥살이 (冤獄살이) : 죄 없이 억울하게 옥에 갇혀 지내는 생활.
  • 원왕하다 (冤枉하다) : 원통한 누명을 써서 억울하다.
  • 원통하다 (冤痛하다) : 분하고 억울하다.
  • 장하원귀 (杖下冤鬼) : 억울한 누명으로 곤장을 맞고 죽은 원통한 귀신.
  • 지원극통 (至冤極痛) : 지극히 원통함.
  • 지원지통 (至冤至痛) : 지극히 원통함.
  • 지하원혼 (地下冤魂) : 원통하게 죽은 사람의 혼령.
  • 철지지원 (徹地之冤) : 하늘에 사무치는 크나큰 원한.
  • 철천지원 (徹天之冤) : 하늘에 사무치는 크나큰 원한.
  • 칭원하다 (稱冤하다) : 원통함을 들어서 말하다.
  • 통원하다 (痛冤하다) : 분하고 억울하다.
  • 포원절사 (抱冤節士) : 원한을 품고 절개를 지키는 선비.
  • 포원하다 (抱冤하다) : 원한을 품다.
  • 해원하다 (解冤하다) : 원통한 마음을 풀다.
  • 호원하다 (呼冤하다) : 원통함을 하소연하다.
  • 낙송자칭원 (落訟者稱冤) : 송사에 진 사람이 원통함을 들어 말한다는 뜻으로, 지거나 잘못한 사람이 억지 변명을 늘어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증수무원록 (增修無冤錄) : 중국 원나라 왕여가 1308년에 지은 ≪무원록≫을 우리나라에서 증수한 책. 조선 세종 때 왕명에 따라 최치운(崔致雲)이 주를 달고, 영조 때 구윤명(具允明)과 김취하(金就夏)가 다시 보태어 정조 20년(1796)에 간행하였다. 2권 1책.
  • 황천해원경 (黃泉解冤經) : 무당이나 점을 치는 맹인(盲人)이 읊는 경문의 하나. 죽은 이의 영혼이 좋은 곳으로 가도록 하는 뜻을 지닌다.
  • 설분신원하다 (雪憤伸冤하다) : 가슴에 맺힌 원한을 풀어 버리고 창피스러운 일을 씻어 버리다.
  • 수절원사하다 (守節冤死하다) : 절개를 지키다 원통하게 죽다.
  • 원옥살이하다 (冤獄살이하다) : 죄 없이 억울하게 옥에 갇혀 지내는 생활을 하다.
  • 지원극통하다 (至冤極痛하다) : 지극히 원통하다.
  • 지원지통하다 (至冤至痛하다) : 지극히 원통하다.
  • 증수무원록언해 (增修無冤錄諺解) : 조선 정조 14년(1790)에 서유린이 왕명에 따라 ≪증수무원록≫을 번역한 책. 본문에 한글로 토를 달고 각 구절 끝에 국한문 혼용의 번역과 해설을 붙였다. 정조 16년(1792)에 간행하였다. 3권 2책.


https://dict.wordrow.kr에서 冤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涉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7개

한자 涉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涉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7개

  • 간섭 (干涉) : 직접 관계가 없는 남의 일에 부당하게 참견함.
  • 경섭 (經涉) : 여러 곳을 두루 거쳐 지나감.
  • 과섭 (過涉) : 강이나 내를 건넘.
  • 관섭 (關涉) : 어떤 일에 참견하고 간섭함.
  • 교섭 (交涉) :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하여 서로 의논하고 절충함.
  • 도섭 (渡涉) : 물을 건넘.
  • 도섭 (徒涉) : 물을 걸어서 건넘.
  • 등섭 (登涉) : 산에 오르고 물을 건넘.
  • 박섭 (博涉) : 널리 사물을 견문함.
  • 발섭 (跋涉) : 산을 넘고 물을 건너 길을 감.
  • 방섭 (傍涉) : 다른 분야의 책을 섭렵함.
  • 보섭 (步涉) : 길을 걷고 물을 건넘.
  • 섭라 (涉羅) : 삼국 시대에 제주도에 있던 나라. 백제, 신라, 고려의 각 조(朝)에 속했다가 고려 숙종 10년(1105)에 고려의 한 군현이 되었다.
  • 섭력 (涉歷) : 물을 건너고 산을 넘는다는 뜻으로, 여러 경험을 많이 함을 이르는 말.
  • 섭렵 (涉獵) : 물을 건너 찾아다닌다는 뜻으로, 많은 책을 널리 읽거나 여기저기 찾아다니며 경험함을 이르는 말.
  • 섭세 (涉世) : 세상을 살아감.
  • 섭수 (涉水) : 물을 건넘.
  • 섭외 (涉外) : 연락을 취하여 의논함.
  • 섭위 (涉危) : 위험을 무릅씀.
  • 섭의 (涉疑) : '섭의하다'의 어근. (섭의하다: 확실하지가 아니하여 믿지 못할 만한 데가 있다.)
  • 섭험 (涉險) : 위험을 무릅씀.
  • 열섭 (閱涉) : 조사하여 살펴봄.
  • 월섭 (越涉) : 물을 건넘.
  • 잠섭 (潛涉) : 강이나 호수 따위를 몰래 건넘.
  • 제섭 (濟涉) : 물을 건넘.
  • 참섭 (參涉) : 어떤 일에 끼어들어 간섭함.
  • 통섭 (通涉) : 사물에 널리 통함.
  • 횡섭 (橫涉) : 함부로 건넘.
  • 간섭계 (干涉計) :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빛의 파장ㆍ굴절률ㆍ길이ㆍ스펙트럼의 미세 구조 따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계기. 보통 하나의 광원(光源)에서 나오는 빛을 둘 또는 그 이상으로 나누어 제각기 다른 경로를 거치게 한 다음 다시 모았을 때에 생기는 간섭무늬를 관측한다.
  • 간섭권 (干涉圈) : 편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광물의 얇은 조각을 관찰할 때에 볼 수 있는 광물 특유의 상.
  • 간섭상 (干涉像) : 편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광물의 얇은 조각을 관찰할 때에 볼 수 있는 광물 특유의 상.
  • 간섭색 (干涉色) : 두 백색광이 간섭할 때, 명암의 조건이 파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광파의 조성(組成)이 바뀌어 나타나는 빛깔. 비눗방울이나 수면에 퍼진 기름 막 따위에 나타나는 빛깔 따위이다.
  • 간섭설 (干涉說) : 정보의 기억이 망각의 원인에 관련된다는 이론. 전에 습득한 정보가 현재의 정보 습득에 간섭하여 망각이 일어난다는 내용이다.
  • 간섭성 (干涉性) : 두 개 이상의 파동이 서로 간섭할 수 있는 성질.
  • 간섭음 (干涉音) : 진동수가 비슷한 둘 이상의 음파가 서로 어울려서 생기는 소리. 주기적으로 세어졌다 약해졌다 한다.
  • 간섭자 (干涉者) : 직접 관계가 없는 남의 일에 쓸데없이 참견하는 사람.
  • 간섭파 (干涉波) : 대기 아래층에서 반사되어 도달한 전파와 직접 도달한 직접파가 서로 간섭을 일으켜 나타나는 전파.
  • 간섭호 (干涉縞) : 빛의 간섭 현상에 의하여 생기는 동심원 모양으로 된 흑백의 줄무늬. 단색광(單色光)에서는 흑백의 무늬가 나타나며, 백색광(白色光)에서는 무지개 빛깔의 무늬가 나타난다.
  • 교섭국 (交涉局) : 구한말에, 외무아문 외부(外部)에 속하여 외국과의 교섭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 내교섭 (內交涉) : 정식 절차에 의한 공식적 교섭 전에 상대편의 의사를 미리 알아보기 위하여 비공식적으로 가지는 교섭.
  • 반섭조 (般涉調) : 통일 신라 시대 이후에, 대금ㆍ중금ㆍ소금의 악곡에 쓰던 조(調)를 이르는 말.
  • 불간섭 (不干涉) : 간섭하지 아니함.
  • 섭금류 (涉禽類) : 다리, 목, 부리가 모두 길어서 물속에 있는 물고기나 벌레 따위를 잡아먹는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두루미, 백로, 해오라기 따위가 있다.
  • 섭수금 (涉水禽) : 섭금류의 새.
  • 섭수조 (涉水鳥) : 섭금류의 새.
  • 염상섭 (廉想涉) : 소설가(1897~1963). 본명은 상섭(尙燮). 호는 횡보(橫步)ㆍ제월(霽月). ≪폐허≫의 창간 동인으로, 1921년 ≪개벽≫에 단편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발표하는 등 처음에는 자연주의적 경향을 띠었으나 후에는 사실주의 계열의 작품을 썼다. 작품에 <만세전>, <삼대>, <임종>, <두 파산> 따위가 있다.
  • 재교섭 (再交涉) : 한 번 교섭한 일이 잘되지 아니하여 다시 교섭함.
  • 간섭무늬 (干涉무늬) : 빛의 간섭 현상에 의하여 생기는 동심원 모양으로 된 흑백의 줄무늬. 단색광(單色光)에서는 흑백의 무늬가 나타나며, 백색광(白色光)에서는 무지개 빛깔의 무늬가 나타난다.
  • 간섭하다 (干涉하다) : 직접 관계가 없는 남의 일에 부당하게 참견하다.
  • 경섭하다 (經涉하다) : 여러 곳을 두루 거쳐 지나가다.
  • 과섭하다 (過涉하다) : 강이나 내를 건너다.
  • 관섭하다 (關涉하다) : 어떤 일에 참견하고 간섭하다.
  • 교섭되다 (交涉되다) : 어떤 일이 이루어지도록 의논되고 절충되다.
  • 교섭하다 (交涉하다) :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하여 서로 의논하고 절충하다.
  • 도섭하다 (徒涉하다) : 물을 걸어서 건너다.
  • 도섭하다 (渡涉하다) : 물을 건너다.
  • 등섭하다 (登涉하다) : 산에 오르고 물을 건너다.
  • 막후교섭 (幕後交涉) :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하게 은밀히 하는 교섭.
  • 무력간섭 (武力干涉) : 남의 나라 내정에 무력으로 간섭함. 또는 그런 간섭.
  • 무불간섭 (無不干涉) : 함부로 참견하고 간섭하지 않는 일이 없음.
  • 무사불섭 (無事不涉) : 천도교에서, 한울님은 간섭하지 않는 일이 없음을 이르는 말.
  • 무장간섭 (武裝干涉) : 남의 나라 내정에 무력으로 간섭함. 또는 그런 간섭.
  • 박섭하다 (博涉하다) : 여러 가지 책을 널리 많이 읽다.
  • 발섭하다 (跋涉하다) : 산을 넘고 물을 건너 길을 가다.
  • 방섭하다 (傍涉하다) : 다른 분야의 책을 섭렵하다.
  • 보섭하다 (步涉하다) : 길을 걷고 물을 건너다.
  • 섭력하다 (涉歷하다) : 여러 경험을 많이 하다. 물을 건너고 산을 넘는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섭렵하다 (涉獵하다) : 많은 책을 널리 읽거나 여기저기 찾아다니며 경험하다. 물을 건너 찾아다닌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섭세하다 (涉世하다) : 세상을 살아가다.
  • 섭수하다 (涉水하다) : 물을 건너다.
  • 섭외하다 (涉外하다) : 연락을 취하여 의논하다.
  • 섭위하다 (涉危하다) : 위험을 무릅쓰다.
  • 섭의하다 (涉疑하다) : 확실하지가 아니하여 믿지 못할 만한 데가 있다.
  • 섭험하다 (涉險하다) : 위험을 무릅쓰다.
  • 승위섭험 (乘危涉險) : 위태롭고 험난함을 무릅씀.
  • 여세무섭 (與世無涉) : 세상일과 상관이 없음. 또는 세상일에 관여하지 않음.
  • 열섭하다 (閱涉하다) : 조사하여 살펴보다.
  • 월섭하다 (越涉하다) : 물을 건너다.
  • 잠섭하다 (潛涉하다) : 강이나 호수 따위를 몰래 건너다.
  • 제섭하다 (濟涉하다) : 물을 건너다.
  • 참섭하다 (參涉하다) : 어떤 일에 끼어들어 간섭하다.
  • 통섭하다 (通涉하다) : 사물에 널리 통하다.
  • 횡섭하다 (橫涉하다) : 함부로 건너다.
  • 내교섭하다 (內交涉하다) : 정식 절차에 의한 공식적 교섭 전에 상대편의 의사를 미리 알아보기 위하여 비공식적으로 교섭하다.
  • 불간섭주의 (不干涉主義) : 민사 소송법에서, 소송 자료의 수집에 법원이 간섭하거나 협력하지 않는 원칙.
  • 불간섭하다 (不干涉하다) : 간섭하지 아니하다.
  • 재교섭되다 (再交涉되다) : 한 번 교섭된 일이 잘되지 아니하여 다시 교섭되다.
  • 재교섭하다 (再交涉하다) : 한 번 교섭한 일이 잘되지 아니하여 다시 교섭하다.
  • 무력간섭하다 (武力干涉하다) : 남의 나라 내정에 무력으로 간섭하다.
  • 무불간섭하다 (無不干涉하다) : 함부로 참견하고 간섭하지 않는 일이 없다.
  • 승위섭험하다 (乘危涉險하다) : 위태롭고 험난함을 무릅쓰다.
  • 여세무섭하다 (與世無涉하다) : 세상일에 관여하지 않다.
  • 독판교섭통상사무 (督辦交涉通商事務) : 구한말에,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으뜸 벼슬. 고종 19년(1882)에 설치하였다.
  • 협판교섭통상사무 (協辦交涉通商事務) : 구한말에 둔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버금 벼슬.
  •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 구한말에, 외교와 통상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 고종 19년(1882)에 통리아문을 고친 것인데, 고종 22년(1885)에 그 기능을 의정부로 옮겼다.
  • 비간섭성 빛 (非干涉性빛) : 위상이 전혀 맞지 않는 빛. 빛의 결이 맞지 않아 간섭을 일으킬 수 없는 빛이다.
  • 바이러스 간섭 (virus干涉) : 먼저 어떤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바이러스에 대하여 감염이 억제되는 현상.
  • 비간섭성 산란 (非干涉性散亂) : 입사파의 위상과 산란파의 위상 사이에 아무런 관계가 없고 서로 간섭성이 없는 산란.
  • 비간섭성 파동 (非干涉性波動) : 일정한 위상 관계가 없는 파동. 파동의 결이 맞지 않아 간섭을 일으킬 수 없는 파동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涉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