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16일 목요일

한자 羘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한자 羘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羘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 양 (羘) : 소의 위(胃)를 고기로 이르는 말.
  • 양간 (羘肝) : 소의 양과 간.
  • 양선 (羘膳) : 소의 양을 얇게 썰어서 녹말을 묻혀 기름에 지진 음식.
  • 양즙 (羘汁) : 소의 양(羘)을 잘게 썰어 끓이거나 볶아서 짜낸 물. 몸을 보신하는 데 효과가 있다.
  • 양집 (羘집) : → 양즙. (양즙: 소의 양(羘)을 잘게 썰어 끓이거나 볶아서 짜낸 물. 몸을 보신하는 데 효과가 있다.)
  • 양초 (羘炒) : 소의 양을 볶아 만든 음식.
  • 양회 (羘膾) : 소의 양을 썰어서 회로 먹는 음식.
  • 양간회 (羘肝膾) : 소의 양과 간을 날로 잘게 썬 음식.
  • 양볶이 (羘볶이) : 소의 양을 볶아 만든 음식.
  • 양저냐 (羘저냐) : 소의 양(羘)을 저며서 소금을 뿌린 다음에 밀가루를 묻히고 달걀 푼 것을 씌워 기름에 지진 저냐.
  • 양찌끼 (羘찌끼) : 소의 양에서 양즙을 짜고 남은 찌꺼기.
  • 양서리목 (羘서리목) : 소의 양을 잘게 에어 양념에 버무린 다음 꼬챙이에 꿰어 재었다가 구워 낸 음식.
  • 양전유아 (羘煎油兒) : 궁중에서, '양저냐'를 이르던 말. (양저냐: 소의 양(羘)을 저며서 소금을 뿌린 다음에 밀가루를 묻히고 달걀 푼 것을 씌워 기름에 지진 저냐.)
  • 양찌끼찌개 (羘찌끼찌개) : 양즙을 짜고 남은 찌꺼기로 끓인 찌개.


https://dict.wordrow.kr에서 羘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鐋에 관한 단어는 모두 15개

한자 鐋에 관한 단어는 모두 15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鐋에 관한 단어는 모두 15개

  • 개탕 (開鐋) : 인방이나 문틀에 미닫이나 미세기 창문을 끼우는 홈.
  • 변탕 (邊鐋) : 목재의 가장자리를 곧게 밀어 내거나 모서리를 턱지게 깎아 내는 대패.
  • 개탕홈 (開鐋홈) : 개탕대패로 판 홈.
  • 골변탕 (골邊鐋) : 재목에 오목한 골을 파는 데 쓰는 대패.
  • 변탕질 (邊鐋질) : 목재의 가장자리를 곧게 밀어 내거나 모서리를 턱지게 깎아 내는 일.
  • 변탕홈 (邊鐋홈) : 변탕으로 파낸 홈.
  • 개탕대패 (開鐋대패) : 인방이나 문틀에 미닫이나 미세기 창문을 끼우는 홈을 파는 데 쓰는 대패.
  • 개탕붙임 (開鐋붙임) : 은촉을 은촉홈에 끼워서 두 널빤지를 마주 잇는 일.
  • 개탕쪽매 (開鐋쪽매) : 은촉을 은촉홈에 끼워서 두 널빤지를 마주 잇는 일.
  • 반턱변탕 (半턱邊鐋) : 재목의 한옆을 반턱이 지게 깎는 대패. 목재 마구리를 깎아 틈새 없는 맞춤이 되게 하는 데에 쓴다.
  • 변탕대패 (邊鐋대패) : 목재의 가장자리를 곧게 밀어 내거나 모서리를 턱지게 깎아 내는 대패.
  • 변탕붙임 (邊鐋붙임) : 변탕질한 두 널빤지를 서로 맞붙이는 일. 외벽을 널로 마감할 때 쓴다.
  • 변탕쪽매 (邊鐋쪽매) : 널의 옆을 두께의 반만큼 턱지게 깎아서 서로 반턱이 겹치게 물리는 널 깔기.
  • 변탕질하다 (邊鐋질하다) : 목재의 가장자리를 곧게 밀어 내거나 모서리를 턱지게 깎아 내다.
  • 변탕붙임하다 (邊鐋붙임하다) : 변탕질한 두 널빤지를 서로 맞붙이다. 외벽을 널로 마감할 때 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鐋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揀에 관한 단어는 모두 34개

한자 揀에 관한 단어는 모두 3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揀에 관한 단어는 모두 34개

  • 간선 (揀選) : 가려서 뽑음.
  • 간택 (揀擇) : 분간(分揀)하여 선택함.
  • 분간 (分揀) : 사물이나 사람의 옳고 그름, 좋고 나쁨 따위와 그 정체를 구별하거나 가려서 앎.
  • 삼간 (三揀) : 임금이나 왕자, 왕녀 따위의 배우자가 될 사람을 세 번에 걸쳐 고르던 일. 또는 그 세 번째 간택.
  • 연전 (揀箭) : 활쏘기를 배울 때, 무겁에 떨어진 화살을 주워 오는 일. 활량들이 돌아가면서 한다.
  • 요간 (料簡/料揀) : 헤아려 뽑음.
  • 재간 (再揀) : 임금이나 왕자, 왕녀 따위의 배우자가 될 사람을 두 번째로 고르던 일. 또는 그 두 번째 간택.
  • 초간 (初揀) : 임금이나 왕자, 왕녀 따위의 배우자가 될 사람을 첫 번째로 고르던 일. 또는 그 첫 번째 간택.
  • 태간 (汰揀) : 가려 뽑음.
  • 간택령 (揀擇令) : 조선 시대에, 임금ㆍ왕자ㆍ왕녀의 배우자를 고른다는 명령.
  • 삼간택 (三揀擇) : 임금이나 왕자, 왕녀 따위의 배우자가 될 사람을 세 번에 걸쳐 고르던 일. 또는 그 세 번째 간택.
  • 연전길 (揀箭길) : 무겁에 떨어진 화살을 주우러 다니는 길.
  • 연전대 (揀箭隊) : 활쏘기 시합을 할 때, 한 사람당 화살 하나씩을 거두어 섞어서 구성하고자 하는 패의 수만큼 화살을 차례로 땅에 던져 그 화살의 임자들이 한 무리가 되게 짠 패.
  • 연전동 (揀箭童) : 무겁에 떨어진 화살을 주워 오는 일을 맡아서 하는 아이.
  • 연전띠 (揀箭띠) : 활쏘기 시합을 할 때, 한 사람당 화살 하나씩을 거두어 섞어서 구성하고자 하는 패의 수만큼 화살을 차례로 땅에 던져 그 화살의 임자들이 한 무리가 되게 짠 패.
  • 재간택 (再揀擇) : 임금이나 왕자, 왕녀 따위의 배우자가 될 사람을 두 번째로 고르던 일. 또는 그 두 번째 간택.
  • 초간택 (初揀擇) : 임금이나 왕자, 왕녀 따위의 배우자가 될 사람을 첫 번째로 고르던 일. 또는 그 첫 번째 간택.
  • 간선하다 (揀選하다) : 가려서 뽑다.
  • 간택되다 (揀擇되다) : 분간(分揀)되어 선택되다.
  • 간택하다 (揀擇하다) : 분간(分揀)하여 선택하다.
  • 물간사전 (勿揀赦前) : 특별 사면도 받지 못할 무거운 죄.
  • 분간되다 (分揀되다) : 사물이나 사람의 옳고 그름, 좋고 나쁨 따위와 그 정체가 구별되거나 가려져서 알게 되다.
  • 분간하다 (分揀하다) : 죄지은 형편을 보아서 용서하다.
  • 삼간하다 (三揀하다) : 임금이나 왕자, 왕녀 따위의 배우자가 될 사람을 세 번에 걸쳐 고르다.
  • 요간하다 (料簡하다/料揀하다) : 헤아려 뽑다.
  • 재간하다 (再揀하다) : 임금이나 왕자, 왕녀 따위의 배우자가 될 사람을 두 번째로 고르다.
  • 태간하다 (汰揀하다) : 가려 뽑다.
  • 삼간택하다 (三揀擇하다) : 임금이나 왕자, 왕녀 따위의 배우자가 될 사람을 세 번에 걸쳐 고르다.
  • 연전띠내기 (揀箭띠내기) : 제각기 표를 한 화살을 사원(射員)들로부터 하나씩 거두어 섞어서, 구성하고자 하는 패의 수대로 사정(射亭)의 뜰에 하나씩 차례로 던져 패를 가르고, 상띠로부터 차례로 활을 쏘아 가장 적게 맞힌 편인 하띠가 화살을 주워 오도록 하는 내기.
  • 재간택하다 (再揀擇하다) : 임금이나 왕자, 왕녀 따위의 배우자가 될 사람을 두 번째로 고르다.
  • 초간택하다 (初揀擇하다) : 임금이나 왕자, 왕녀 따위의 배우자가 될 사람을 첫 번째로 고르다.
  • 금고 분간 (禁錮分揀) : 벼슬아치의 취임 금지 처분을 해제하던 일.
  • 분간 어미 (分揀語尾) : 같은 뜻을 나타내면서 자음과 모음 뒤에서 각각 다른 꼴로 쓰이는 어미. '가니', '잡으니'에서 '-니', '-으니' 따위이다.
  • 분간 보조 어간 (分揀補助語幹) : 같은 뜻을 나타내면서 자음과 모음 뒤에서 각각 다른 꼴로 쓰이는 선어말 어미를 이르는 말. '가시니', '잡으시니'에서 '-시-', '-으시-' 따위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揀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