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0월 22일 금요일

한자 景에 관한 단어는 모두 301개

한자 景에 관한 단어는 모두 30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景에 관한 단어는 모두 301개

  • 경 (景)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태인(泰仁), 해주(海州) 등이 현존한다.
  • 경 (景) : 무대의 같은 장에서 등장인물의 교체 따위로 변화가 일어나는 장면.
  • 가경 (佳景) : 빼어나게 아름다운 경치.
  • 강경 (江景) :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읍. 내포평야의 중심지로, 금강의 하류에 있으며 호남선의 중요한 철도역이다.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상공업ㆍ어업이 활발하다. 한때는 대구, 평양과 함께 우리나라의 3대 시장으로 유명하였다.
  • 경개 (景槪) :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 경관 (景觀) :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풍경.
  • 경광 (景光) :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 경교 (景敎) : 옛 중국에서 '네스토리우스교'를 이르던 말. 당나라 태종 9년(635)에 페르시아인에 의하여 중국에 전래되었다. (네스토리우스교: 네스토리우스가 창시한 기독교의 한 파. 그리스도의 신성(神性)과 인성(人性)의 불일치를 주장하여 이단시되었으나 교리는 페르시아를 거쳐 인도와 중국에까지 퍼졌다.)
  • 경기 (景氣) : 매매나 거래에 나타나는 호황ㆍ불황 따위의 경제 활동 상태.
  • 경릉 (景陵)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의 하나. 조선 헌종과 비(妃) 효현 왕후 및 계비(繼妃) 효정 왕후의 능이다.
  • 경릉 (景陵) : 황해북도 장풍군 대덕산리에 있는 고려 문종의 능.
  • 경명 (景命) : 임금의 명령을 이르던 말.
  • 경모 (景慕) : 우러러 사모함.
  • 경문 (景門) : 점술에서, 팔문(八門)의 하나. 구궁(九宮)의 하나인 화성(火星)이 본자리가 되는 길한 문이다.
  • 경물 (景物) :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경치.
  • 경번 (景樊) : '허난설헌'의 자. (허난설헌: 조선 중기의 시인(1563~1589). 본명은 초희(楚姬). 자는 경번(景樊). 난설헌은 호. 천재적인 시재(詩才)를 발휘하였으며, 특히 한시에 능하였다. 한시에 <유선시(遊仙詩)>, 가사 작품에 <규원가>, <봉선화가> 따위가 있고, 유고집에 ≪난설헌집≫이 있다.)
  • 경복 (景福) : 크나큰 복.
  • 경상 (景狀) : 좋지 못한 몰골.
  • 경상 (景象) :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 경색 (景色) : 정경이나 광경.
  • 경성 (景星) : 상서로운 별. 태평성대에 나타난다고 한다.
  • 경승 (景勝) : 경치가 좋음. 또는 그런 곳.
  • 경앙 (景仰) : 덕망이나 인품을 사모하여 우러러봄.
  • 경왕 (景王) : 발해의 제13대 왕(?~893?). 성은 대(大). 이름은 현석(玄錫). 중국 당나라 및 일본과 교역을 활발히 하였다. 재위 기간은 871~893?년이다.
  • 경운 (景雲) : 상서로운 구름.
  • 경조 (景祚) : 아주 크나큰 복.
  • 경종 (景宗) : 조선 제20대 왕(1688~1724). 이름은 윤(昀). 자는 휘서(輝瑞). 재임 기간 동안 노론과 소론이 대립하여 신임사화가 일어나는 등 당쟁이 절정을 이루었다. 재위 기간은 1720~1724년이다.
  • 경종 (景宗) : 고려 제5대 왕(955~981). 이름은 유(怞). 자는 장민(長民). 즉위 초에 전시과(田柴科)를 제정하는 등 의욕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뒤에 정사를 돌보지 않고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 재위 기간은 975~981년이다.
  • 경처 (景處) : 경치가 뛰어난 곳.
  • 경천 (景天) :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0cm 정도이며, 잎은 초록색이나 더러는 자줏빛을 띠는데, 두껍고 다닥다닥 어긋나서 기와를 포갠 것처럼 보인다. 가을에 잎 사이에서 20cm가량의 꽃줄기가 나와 피침 모양의 흰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핀다. 산속의 바위 위에 저절로 나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경취 (景趣) :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 경치 (景致) :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 경태 (景泰) : 중국 명나라 대종 때의 연호(1450~1456).
  • 경품 (景品) : 특정한 기간 동안 많은 상품을 팔고 손님의 호감을 얻기 위해, 일정한 액수 이상의 상품을 사는 손님에게 곁들여 주는 물품.
  • 경풍 (景風) : 뱃사람들의 은어로, '남풍'을 이르는 말. (남풍: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 경한 (景閑) : 고려 시대의 승려(1299~1374). 백운 화상(白雲和尙)이라고도 한다. 1370년에 공부선(工夫選)의 시관(試官)이 되었다. 저서에 세계 최고(最古)의 주자본(鑄字本)인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이 있다.
  • 경행 (景行) : 훌륭한 행실.
  • 경황 (景況) : 정신적ㆍ시간적인 여유나 형편.
  • 관경 (官景) : 신라의 장군(?~?). 927년 견훤이 침입하여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고려에 투항하여 고려 태조로부터 왕씨(王氏) 성을 하사받고 대승(大丞)이 되었다.
  • 광경 (光景) : 벌어진 일의 형편과 모양.
  • 근경 (近景) : 가까이 보이는 경치. 또는 가까운 데서 보는 경치.
  • 도경 (圖景) : 그림으로 그린 경치나 모양.
  • 도영 (倒影/倒景) : 해 질 무렵의 그림자.
  • 만경 (晩景) : 해 질 무렵의 경치.
  • 모경 (暮景) : 저녁때의 경치.
  • 미경 (美景) : 아름다운 경치.
  • 배경 (背景) : 뒤쪽의 경치.
  • 분경 (盆景) : 조그마한 정원.
  • 산경 (山景) : 산의 경치.
  • 서경 (敍景) : 자연의 경치를 글로 나타냄.
  • 서경 (曙景) : 동이 틀 무렵의 경치.
  • 석경 (夕景) : 저녁 햇빛의 그늘.
  • 설경 (雪景) : 눈이 내리거나 눈이 쌓인 경치.
  • 소경 (小景) : 자그마한 경치.
  • 소경 (韶景) : 화창한 봄 경치.
  • 숙경 (淑景) : 봄의 맑은 경치.
  • 승경 (勝景) : 뛰어난 경치.
  • 식경 (寔景) : 매우 좋은 경치.
  • 실경 (實景) : 실제의 경치나 광경.
  • 야경 (野景) : 들의 경치.
  • 야경 (夜景) : 밤의 경치.
  • 연경 (煙景) : 구름이나 연기 따위가 한가로이 어리어 있는 아름다운 경치.
  • 영종 (影從/景從) : 그림자처럼 따라다님.
  • 완경 (玩景) : 풍경 따위를 즐김.
  • 우경 (雨景) : 비가 올 때의 경치.
  • 원경 (遠景) : 멀리 보이는 경치. 또는 먼 데서 보는 경치.
  • 유경 (流景) : 해가 질 무렵의 경치.
  • 이경 (異景) : 색다른 풍경.
  • 일경 (一景) : 한 가지의 경치나 흥취.
  • 장경 (場景) : 그 장면의 광경.
  • 전경 (全景) : 한눈에 바라보이는 전체의 경치.
  • 전경 (前景) : 앞쪽에 보이는 경치.
  • 절경 (絕景) :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경치.
  • 점경 (點景) : 멀리 점점이 이루어진 경치.
  • 정경 (情景) : 사람이 처하여 있는 모습이나 형편.
  • 조경 (造景) : 경치를 아름답게 꾸밈.
  • 종경 (縱景) : 세로로 보이는 경치.
  • 주경 (主景) : 경치의 주된 풍경이나 대상. 원림 풍경의 경우에는 폭포, 못, 꽃밭 따위로 이루어진다.
  • 중경 (中景) : 근경과 원경 사이의 중간 정도에서 보이는 경치.
  • 즉경 (卽景) : 그 자리에서 보는 광경이나 눈앞의 경치.
  • 진경 (眞景) : 생활 따위의 실제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진경 (珍景) : 진귀한 경치나 구경거리.
  • 참경 (慘景) : 끔찍하고 비참한 광경.
  • 추경 (秋景) : 가을의 경치.
  • 춘경 (春景) : 봄철의 경치.
  • 치경 (致景) : 썩 좋은 경치.
  • 토경 (兔景) : 달에서 비쳐 오는 빛.
  • 퇴경 (頹景) : 쇠퇴한 모양.
  • 팔경 (八景) : 어떤 지역에서 뛰어나게 아름다운 여덟 군데의 경치. 중국의 샤오샹(瀟湘) 팔경에서 유래하였으며, 우리나라에는 관동 팔경ㆍ단양 팔경 따위가 있다.
  • 풍경 (風景) :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 하경 (夏景) : 여름 경치.
  • 호경 (好景) : 좋은 경치.
  • 화경 (化景) : 불교를 믿음.
  • 화경 (化景) : 변화하는 경치.
  • 화경 (華景) : 음력 2월을 달리 이르는 말.
  • 활경 (活景) : 생기 있게 움직이는 광경.
  • 후경 (後景) : 후일의 경황.
  • 후경 (侯景) : 중국 남조 시대 양나라의 장군(503~552). 자는 만경(萬景). 처음에 북위에서 벼슬을 하였으나 양나라의 무제(武帝)에게 투항하였으며, 후에 반역하여 스스로 한제(漢帝)라고 칭하다가 곧 왕승변(王僧辨)에게 패하였다.
  • 강경선 (江景線) : 호남선 채운역에서 분기하여 동남쪽으로 연무대에 이르는 철도. 1958년 5월에 개통되었다. 길이는 5.8km.


https://dict.wordrow.kr에서 景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朶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한자 朶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朶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 타 (朶) : 꽃송이나 꽃가지를 세는 단위.
  • 고타 (古朶) : 긴 막대기 끝에 마늘 모양의 둥근 쇠를 붙인 무기. 둥근 쇠붙이를 은으로 도금한 은골타(銀骨朶), 표범의 가죽으로 싼 표골타(豹骨朶), 곰의 가죽으로 싼 웅골타(熊骨朶)가 있다. 병기(兵器)였으나 나중에는 의장용으로 쓰였다.
  • 골타 (骨朶) : 긴 막대기 끝에 마늘 모양의 둥근 쇠를 붙인 무기. 둥근 쇠붙이를 은으로 도금한 은골타(銀骨朶), 표범의 가죽으로 싼 표골타(豹骨朶), 곰의 가죽으로 싼 웅골타(熊骨朶)가 있다. 병기(兵器)였으나 나중에는 의장용으로 쓰였다.
  • 만타 (萬朶) : 수많은 꽃송이.
  • 이타 (耳朶) : 귓바퀴의 아래쪽에 붙어 있는 살.
  • 화타 (花朶) : 꽃이 핀 가지.
  • 백운타 (白雲朶) : 꽃이 희며 꽃잎이 크고 두꺼운 국화.
  • 은골타 (銀骨朶) : 긴 막대기 끝에 마늘 모양의 둥근 쇠를 은으로 도금하여 붙인 무기. 병기(兵器)였으나 나중에는 의장용으로 쓰였다.
  • 홍운타 (紅雲朶) : 빛이 붉고 두꺼운 국화.
  • 백운타회 (白雲朶膾) : 백운타의 꽃잎을 넣어서 만든 육회나 생선회.


https://dict.wordrow.kr에서 朶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藜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개

한자 藜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藜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개

  • 여갱 (藜羹) : 명아주로 끓인 국이라는 뜻으로, 맛없고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여곽 (藜藿) : 명아주 잎과 콩잎이라는 뜻으로, 아주 변변치 못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여로 (藜蘆)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속이 비었다. 잎은 촘촘히 어긋나고 평행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게 넓은 타원형이고 아랫부분은 줄기를 감싸고 있다. 7~8월에 연한 황백색의 꽃이 줄기 끝에 원뿔 모양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뿌리줄기에는 독이 있어 농업용 살충제 또는 한약재로 쓴다. 산속의 그늘진 습지에서 자라는데 한국, 동부 시베리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여장 (藜杖) : 명아줏대로 만든 지팡이.
  • 여철 (藜鐵) : 끝이 송곳처럼 뾰족한 네 개의 발을 가진 쇠못. 도둑이나 적을 막기 위하여 흩어 두었다.
  • 여회 (藜灰) : 명아주를 불에 태운 재. 어루러기나 혹을 없애는 데 쓴다.
  • 질려 (蒺藜) : 남가샛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우상 복엽이다. 여름에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핀다. 꽃과 뿌리, 씨는 약용한다. 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데 한국, 인도,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청려 (靑藜) : 명아줏대로 만든 지팡이.
  • 백질려 (白蒺藜) : 꽃이 흰 남가새.
  • 연려실 (燃藜室) : '이긍익'의 호. (이긍익: 조선 후기의 학자(1736~1806). 자는 장경(長卿). 호는 완산(完山)ㆍ연려실(燃藜室). 소론의 한 사람으로, 당론을 강력히 주장하여 노론(老論)이 집권하자 여러 번 귀양을 갔다. 실학을 제창하였고 고증학파 학자로서도 유명하다. 저작(著作)은 대부분 유실되고 ≪연려실기술≫만 남아 있다.)
  • 자질려 (紫蒺藜) : '남가새'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남가새: 남가샛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우상 복엽이다. 여름에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핀다. 꽃과 뿌리, 씨는 약용한다. 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데 한국, 인도,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질려자 (蒺藜子) : 말린 남가새의 열매. 간기(肝氣)가 몰려서 옆구리가 아픈 데나 두통, 눈병, 피부 가려움증에 쓴다.
  • 질려철 (蒺藜鐵) : 끝이 송곳처럼 뾰족한 네 개의 발을 가진 쇠못. 도둑이나 적을 막기 위하여 흩어 두었다.
  • 질려포 (蒺藜砲) : 마름쇠가 든 탄환(彈丸)을 내쏘던 화포(火砲). 전략적으로 중요한 길에 탄환을 쏘아 마름쇠를 뿌려서 적병(敵兵)의 공격을 막았다.
  • 참여로 (참藜蘆)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5미터 정도이며, 박새와 비슷하나 여로의 꽃이 달린 것이 다르다. 8~9월에 검은 자주색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뿌리와 줄기는 약용한다. 산의 숲속에서 자라는데 제주도와 중부 이북에 분포한다.
  • 철질려 (鐵蒺藜) : 끝이 송곳처럼 뾰족한 네 개의 발을 가진 쇠못. 도둑이나 적을 막기 위하여 흩어 두었다.
  • 청려장 (靑藜杖) : 명아줏대로 만든 지팡이.
  • 긴잎여로 (긴잎藜蘆)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0~100cm이며, 잎은 주로 아래쪽에 달리는데 위로 갈수록 좁아진다.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는 화서를 이루고 열매는 타원형의 삭과(蒴果)를 맺는다. 강원, 황해 등지에 분포한다.
  • 나도여로 (나도藜蘆)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모양은 여로와 비슷하며 독이 있다. 뿌리줄기는 약용하며, 높은 산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의 북부 지방에 분포한다.
  • 소질려포 (小蒺藜砲) : 타원 모양으로 생긴 불화살. 폭발하면서 수많은 마름쇠를 날려 보낸다.
  • 여곽지복 (藜藿之福) : 명아주 잎과 콩잎을 먹는 복이라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반찬을 즐기며 욕심 없이 검소하고 마음 편히 사는 복을 이르는 말.
  • 연려실기술 (燃藜室記述) : 조선 정조 때에 이긍익이 펴낸 역사책. 조선 태조 이래 현종까지의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400여 가지에 달하는 야사(野史)에서 자료를 수집ㆍ분류하여 사견(私見)이 섞이지 않은 공정한 필치로 엮었다. 59권 42책.


https://dict.wordrow.kr에서 藜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栱에 관한 단어는 모두 34개

한자 栱에 관한 단어는 모두 3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栱에 관한 단어는 모두 34개

  • 공계 (栱枅) : 가로로 걸친 보.
  • 공아 (栱牙) : 신라 때에, 공포(栱包)를 구성하던 방법의 하나. 구조가 주삼포형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나 실제적인 구조는 알려져 있지 않다.
  • 공포 (栱包/貢包) : 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나무쪽.
  • 두공 (枓栱/枓工/杜空) : 공청(空廳), 불벽에 장화반 대신으로 쓰는 나무.
  • 박공 (牔栱/欂栱) : 박공지붕의 옆면 지붕 끝머리에 '∧' 모양으로 붙여 놓은 두꺼운 널빤지.
  • 제공 (提栱/諸貢) : 첨차와 살미가 층층이 짜인 공포.
  • 초공 (草栱/草工) : 큰 규모의 목조 건축물에서, 도리가 좌우로 구르지 아니하도록 기둥 위와 도리 사이에 설치하는 기둥 받침. 풀잎 무늬를 새겨 넣는다.
  • 화공 (花栱) : 꽃무늬를 새긴 두공(枓栱).
  • 귀제공 (귀提栱) : 귀기둥 위에 짜인 제공.
  • 단익공 (單翼栱) : 촛가지 하나로 꾸민 공포.
  • 단입공 (單入栱) : 촛가지 하나로 꾸민 공포.
  • 박공각 (牔栱刻) : 박공 끝에 새김질하여 꾸민 무늬.
  • 박공널 (牔栱널) : 박공지붕의 옆면 지붕 끝머리에 '∧' 모양으로 붙여 놓은 두꺼운 널빤지.
  • 박공못 (牔栱못) : 박공에 박는 큰 못.
  • 박공벽 (牔栱壁) : 박공처마 밑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벽.
  • 박공집 (牔栱집) : 박공지붕으로 된 집.
  • 박공판 (牔栱板) : 박공지붕의 옆면 지붕 끝머리에 '∧' 모양으로 붙여 놓은 두꺼운 널빤지.
  • 삼제공 (三提栱) : 공포에서 이제공 위에 짜인 셋째 제공.
  • 심제공 (心提栱) : 귀제공에서 기둥 중심선의 수직면에 짜인 제공.
  • 이제공 (二提栱) : 주삼포 집 기둥에 덧붙이는 쇠서받침. 오포(五包)와 칠포(七包) 집에는 각각 삼제공, 사제공이라고 한다.
  • 초제공 (初提栱) : 제공 가운데 제일 밑에 짜인 첨차와 살미의 한 층. 주삼포의 집에는 기둥 위에 초방(初枋)과 교차하여 짜고, 삼포 이상의 집에는 기둥머리 위에 장화반과 교차하여 짠다.
  • 까치박공 (까치牔栱) : 팔작집 용마루의 양쪽 머리에 'ㅅ' 자 모양으로 붙인 널빤지.
  • 박공마루 (牔栱마루) : 지붕마루에서, 박공에 나란하게 처마까지 경사가 지게 하여 내린 마루.
  • 박공지붕 (牔栱지붕) : 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이 용마루까지 측면 벽이 삼각형으로 된 지붕.
  • 박공처마 (牔栱처마) : 박공벽 바깥으로 내민 처마.
  • 부른박공 (부른牔栱) : 중간이 위로 휘어 오른 박공. 부른지붕에 쓴다.
  • 욱은박공 (욱은牔栱) : 삼각형의 박공널 밑면이 곡선으로 휜 박공.
  • 삼출목 제공 (三出目提栱) : 귀제공의 기둥 중심에서 세 번째로 내민 제공.
  • 이출목 제공 (二出目提栱) : 기둥 중심으로부터 두 번 또는 두 번째로 나앉은 출목의 제공.
  • 익공식 두공 (翼工式枓栱) : 포벽이 없고 기둥 사이에 두공 대신 화반이 놓이는 건물 양식. 경쾌한 느낌을 주며, 누각이나 정자에 많이 쓰인다.
  • 일출목 제공 (一出目提栱) : 기둥의 중심선에서 한 줄 또는 첫 번째로 내민 제공.
  • 박공 장식 (牔栱裝飾) : 좌우 박공이 맞닿는 곳에 보강과 장식을 겸하여 박아 대는 철물.
  • 출목 제공 (出目提栱) : 기둥 중심선에서 내밀어 짜인 제공.
  • 포식 두공 (包式枓栱) : 공포로 장식한 두공. 익공식 두공보다 무게가 있고 장중한 느낌을 준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栱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訶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개

한자 訶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訶에 관한 단어는 모두 28개

  • 가릉 (訶陵) : 9~10세기 무렵에 지금의 인도네시아 자바의 중부 지역에 있었던 나라. 중국 당나라에 자주 조공을 바쳤다.
  • 가자 (訶子) : 가리륵의 열매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오래된 설사, 기침, 분변혈(糞便血), 대하(帶下) 따위에 쓴다.
  • 마가 (摩訶) : → 마하. (마하: '위대함', '뛰어남', '많음'의 뜻을 나타내는 말.)
  • 마하 (摩訶) : '위대함', '뛰어남', '많음'의 뜻을 나타내는 말.
  • 저가 (詆訶) : 성내어 나무라거나 꾸짖음.
  • 가려륵 (訶黎勒) : 사군자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15~30미터이며, 잎은 길고 둥글다. 꽃은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초가을에 갈색의 핵과(核果)를 맺는다. 열매는 한방에서 '가자'라 하여 이질이나 가래에 약으로 쓰이고 재목은 가구를 만드는 데에 쓰인다. 인도 북부와 미얀마가 원산지이고 인도, 중국, 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 가리륵 (訶梨勒) : 사군자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15~30미터이며, 잎은 길고 둥글다. 꽃은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초가을에 갈색의 핵과(核果)를 맺는다. 열매는 한방에서 '가자'라 하여 이질이나 가래에 약으로 쓰이고 재목은 가구를 만드는 데에 쓰인다. 인도 북부와 미얀마가 원산지이고 인도, 중국, 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 마하살 (摩訶薩) : '보살'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 (보살: 부처가 전생에서 수행하던 시절, 수기를 받은 이후의 몸., 위로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 불교의 이상적 수행자상., 삼승(三乘)의 하나. 보살이 큰 서원(誓願)을 세워 위로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 중생을 교화하는 교법을 이른다., 여자 신도(信徒)를 높여 이르는 말., 머리를 깎지 않고 절에서 사는 여자 신도., '고승'(高僧)을 높여 이르는 말. (고승: 계위(階位)가 높은 승려., 덕이 높은 승려., 출가한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 마하연 (摩訶衍) : 중생을 제도하여 부처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불교. 그 교리, 이상, 목적이 모두 크고 깊으며 그것을 받아들이는 중생의 능력도 큰 그릇이라 하여 이렇게 이른다. 소승을 비판하면서 일어난 유파로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가 이에 속한다.
  • 사바하 (娑婆訶) : 원만한 성취라는 뜻으로, 진언의 끝에 붙여 그 내용이 이루어지기를 구하는 말.
  • 마하가라 (摩訶迦羅) : 삼전신의 하나. 삼보(三寶)를 지켜 먹을 것을 넉넉하게 하는 신을 이른다. 검은 두건을 쓰고 망치를 들었으며, 쌀자루를 둘러메고 쌀가마니 위에 서 있는 모습이다.
  • 마하가섭 (摩訶迦葉) : '마하카시아파'의 음역어. (마하카시아파: 석가모니의 10대 제자의 한 사람(?~?). 욕심이 적고 엄격한 계율로 두타(頭陀)를 행하였고 교단의 우두머리로 존경을 받았다.)
  • 마하마야 (摩訶摩耶) : 석가모니의 어머니. 인도 카필라바스투(Kapilavastu)의 슈도다나의 왕비로, 석가모니를 낳고 7일 후에 죽었다.
  • 마하지관 (摩訶止觀) : 천태종에서 법화경을 주석한 책. 3대 주석서의 하나로, 중국 수나라 개황(開皇) 14년(594)에 형주(荊州) 옥천사(玉泉寺)에서 지의(智顗) 대사가 강설한 것을 제자 관정(灌頂)이 필기한 책이다. 20권.
  • 저가하다 (詆訶하다) : 헐뜯어 비방하다.
  • 하리제모 (訶利帝母/訶梨帝母) : 해산과 유아 양육을 맡은 신. 만 명의 자식을 두고도 늘 남의 어린아이를 잡아먹으므로 석가모니가 그의 막내아들을 숨겨 놓고 훈계하여 귀의하도록 하였다. 어린아이를 품고 석류를 쥐고 있는 모습이다.
  • 마하가라천 (摩訶迦羅天) : 삼전신의 하나. 삼보(三寶)를 지켜 먹을 것을 넉넉하게 하는 신을 이른다. 검은 두건을 쓰고 망치를 들었으며, 쌀자루를 둘러메고 쌀가마니 위에 서 있는 모습이다.
  • 마하바라다 (摩訶波羅多) : 고대 인도의 대서사시. 카우라바스족(Kauravas族)의 백 형제와 판다바스족(Pandavas族) 다섯 형제 사이의 전쟁 이야기로, 힌두교도들의 종교ㆍ철학ㆍ정치ㆍ법률 등의 근본 성전(聖典)으로 존숭을 받는다.
  • 마하발특마 (摩訶鉢特摩) : 팔한 지옥의 하나. 심한 추위로 몸이 얼어 터져서 붉은 연꽃처럼 된다고 하는 지옥이다.
  • 석마하연론 (釋摩訶衍論) : 인도의 나가르주나가 지은 ≪대승기신론≫의 주석서. 후진(後秦)의 벌제마다(筏提摩多)가 번역하였다고 전한다. 10권.
  • 마하만다라화 (摩訶曼陀羅華) : 가짓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1~2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다. 6~7월에 깔때기 모양의 흰 꽃이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한 개씩 피고, 열매는 둥근 삭과(蒴果)로 가시 같은 돌기가 많고 10월에 익으며 깨알 같은 흰색 종자가 있다. 씨와 잎은 독이 있으며 약용한다.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 마하만주사화 (摩訶曼珠沙華) : 천상에 핀다는 붉은빛의 커다란 꽃. 보는 사람의 마음을 평온하게 한다고 한다.
  • 마하분다리화 (摩訶芬陀利華) : 크고 흰 연꽃. 천축(天竺)의 아누달지에 피어난다고 하며 희귀한 꽃의 뜻으로 쓴다.
  • 마하반야 석론 (摩訶般若釋論) : 나가르주나가 산스크리트 원전의 ≪대품반야경≫에 대하여 주석한 책. 대승 불교의 백과사전적 저작이다.
  • 마하반야 바라밀경 (摩訶般若波羅蜜經) : 인도의 승려 쿠마라지바가 홍시(弘始) 6년(404)에 대반야 바라밀다경의 제2분(401~478권)을 따로 번역한 경전. 모든 법이 다 같다는 이치를 밝힌 것으로 '대품반야경'이라고도 한다. 27권. (대품반야경: 모두 27권으로 된 반야경.)
  • 마하반야 바라밀다 (摩訶般若波羅蜜多) : 넓고 큰 지혜로 피안의 경지에 이름.
  • 마하반야 바라밀경 석론 (摩訶般若波羅蜜經釋論) : 나가르주나가 산스크리트 원전의 ≪대품반야경≫에 대하여 주석한 책. 대승 불교의 백과사전적 저작이다.
  • 마하반야 바라밀다 심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요점을 간결하게 설명한 짧은 경전. 당나라 현장이 번역한 것으로 260자로 되어 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訶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