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31일 토요일

노갑을이: 怒甲乙移

노갑을이 (怒甲乙移) : 갑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을에게 옮긴다는 뜻으로, 어떠한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애꿎은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을 이르는 말.



怒甲乙移 한자 뜻 풀이

  • 怒(성낼 노) : 성내다, 성, 힘쓰다, 꾸짖다, 세차다. 화가 나고 성이 난다는 의미. 奴(노)는 발음. '恕(서: 용서하다)'와 자형 구별에 유의
  • 甲(갑옷 갑) : 갑옷, 첫째 천간(天干), 거북의 등딱지, 껍질, 무장한 병사. 초목의 처음 나오는 모양이라서 씨의 '껍질'로 인해 '갑옷', 처음이라서 '천간의 첫 번째' 등의 의미 파생
  • 乙(새 을) : 새, 둘째 천간(天干), 둘째, 굽어지다, 표하다. 구부러진 풀싹의 의미에서 '굽다'는 뜻 생성. 제비(을)과 유사해 '새'의 뜻으로도 표현함. 10간의 두 번째에 해당
  • 移(옮을 이) : 옮다, 여유가 있다, 크다, 느직함, 옷의 품이 큼. 곡물을 많이 생산해서 운반한다는 뜻으로 '옮기다'는 의미 생성


[乙] 새 을 (새, 둘째 천간(天干), 둘째, 굽어지다, 표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을선녀 획순 이미지 태을선녀(太乙仙女) : 하늘에 있는 선녀. [ (: 클 태) (: 새 을) (: 신선 선) (: 여자 녀) ]
  • 노갑을이(怒甲乙移) : 갑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을에게 옮긴다는 뜻으로, 어떠한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애꿎은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을 이르는 말. [ (: 성낼 노) (: 갑옷 갑) (: 새 을) (: 옮을 이) ]
  • 을축갑자(乙丑甲子) : 육십갑자에서 갑자 다음에 을축이 오게 되어 있는데 을축이 먼저 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 제대로 되지 아니하고 순서가 뒤바뀜을 이르는 말. [ (: 새 을) (: 소 축) (: 갑옷 갑) (: 아들 자) ]
  • 갑남을녀(甲男乙女) : 갑이란 남자와 을이란 여자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 [ (: 갑옷 갑) (: 사내 남) (: 새 을) (: 여자 녀) ]
  • 갑론을박(甲論乙駁) : 여러 사람이 서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며 상대편의 주장을 반대하며 말함. [ (: 갑옷 갑) (: 의논할 론) (: 새 을) (: 얼룩말 박) ]

[怒] 성낼 노 (성내다, 성, 힘쓰다, 꾸짖다, 세차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노발충관 획순 이미지 노발충관(怒髮衝冠) : 노하여 일어선 머리카락이 관을 추켜올린다는 뜻으로, 몹시 성이 난 모양을 이르는 말. [ (: 성낼 노) (: 터럭 발) (: 찌를 충) (: 갓 관) ]
  • 노기등천(怒氣登天) : '노기등천하다'의 어근. [ (: 성낼 노) (: 기운 기) (: 오를 등) (: 하늘 천) ]
  • 초목노생(草木怒生) : 봄이 되어 초목이 싱싱하게 싹이 틈. [ (: 풀 초) (: 나무 목) (: 성낼 노) (: 날 생) ]
  • 선거노마(鮮車怒馬) : 좋은 수레와 힘센 말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고울 선) (: 수레 거) (: 성낼 노) (: 말 마) ]
  • 중노난범(衆怒難犯) :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 (: 무리 중) (: 성낼 노) (: 어려울 난) (: 범할 범) ]

[甲] 갑옷 갑 (갑옷, 첫째 천간(天干), 거북의 등딱지, 껍질, 무장한 병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수갑산 획순 이미지 삼수갑산(三水甲山) :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 (: 석 삼) (: 물 수) (: 갑옷 갑) (: 메 산) ]
  • 노갑을이(怒甲乙移) : 갑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을에게 옮긴다는 뜻으로, 어떠한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애꿎은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을 이르는 말. [ (: 성낼 노) (: 갑옷 갑) (: 새 을) (: 옮을 이) ]
  • 을축갑자(乙丑甲子) : 육십갑자에서 갑자 다음에 을축이 오게 되어 있는데 을축이 먼저 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 제대로 되지 아니하고 순서가 뒤바뀜을 이르는 말. [ (: 새 을) (: 소 축) (: 갑옷 갑) (: 아들 자) ]
  • 화갑(華甲) :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 (: 빛날 화) (: 갑옷 갑) ]
  • 갑남을녀(甲男乙女) : 갑이란 남자와 을이란 여자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 [ (: 갑옷 갑) (: 사내 남) (: 새 을) (: 여자 녀) ]

[移] 옮을 이 (옮다, 여유가 있다, 크다, 느직함, 옷의 품이 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우공이산 획순 이미지 우공이산(愚公移山) :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집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대대로 산의 흙을 파서 나르겠다고 하여 이에 감동한 하느님이 산을 옮겨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말이다. [ (: 어리석을 우) (: 공변될 공) (: 옮을 이) (: 메 산) ]
  • 하우불이(下愚不移) : 아주 어리석고 못난 사람의 기질은 변하지 아니함. [ (: 아래 하) (: 어리석을 우) (: 아니 불) (: 옮을 이) ]
  • 중력이산(衆力移山) : 많은 사람의 힘은 산을 옮길 수 있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힘을 합하면 산도 옮길 수 있을 정도의 힘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의미. [ (: 무리 중) (: 힘 력) (: 옮을 이) (: 메 산) ]
  • 습속이성(習俗移性) : 습관과 풍속이 성질을 옮긴다는 뜻으로, 습관과 풍속은 마침내 그 사람의 성질을 바꾸어 놓음을 이르는 말. [ (: 익힐 습) (: 풍속 속) (: 옮을 이) (: 성품 성) ]
  • 이천역일(移天易日) : 하늘을 옮기고 해를 바꾼다는 뜻으로, 정권을 빼앗음을 이르는 말. [ (: 옮을 이) (: 하늘 천) (: 바꿀 역) (: 날 일) ]

[관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문외한 획순 이미지 문외한(門外漢) : (1)어떤 일에 직접 관계가 없는 사람. (2)어떤 일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 [ (: 문 문) (: 바깥 외) (: 한수 한) ]
  • 화조사(花鳥使) : 남녀 사이의 애정에 관계되는 일을 심부름하여 주는 사람. [ (: 꽃 화) (: 새 조) (使: 부릴 사) ]
  • 혈맥상통(血脈相通) : (1)핏줄이 서로 통함. 곧 혈육의 관계가 있음을 이른다. (2)서로 잘 조화되고 어울림. [ (: 피 혈) (: 맥 맥) (: 서로 상) (: 통할 통) ]

[사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 획순 이미지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귀신 귀) (: 서로 상) (: 반 반) ]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노여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중노난범 획순 이미지 중노난범(衆怒難犯) :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 (: 무리 중) (: 성낼 노) (: 어려울 난) (: 범할 범) ]
  • 역린(逆鱗) : 임금의 노여움을 이르는 말. 용의 턱 아래에 거꾸로 난 비늘을 건드리면 용이 크게 노하여 건드린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한비자≫의 <세난편(說難編)>에서 유래한다. [ (: 거스를 역) (: 비늘 린) ]
  • 노갑을이(怒甲乙移) : 갑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을에게 옮긴다는 뜻으로, 어떠한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애꿎은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을 이르는 말. [ (: 성낼 노) (: 갑옷 갑) (: 새 을) (: 옮을 이) ]
  • 노갑이을(怒甲移乙) : 갑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을에게 옮긴다는 뜻으로, 어떠한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애꿎은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을 이르는 말. [ (: 성낼 노) (: 갑옷 갑) (: 옮을 이) (: 새 을) ]
  • 적원심노(積怨深怒) : 오래 쌓이고 쌓인 원망과 마음속 깊이 맺힌 노여움. [ (: 쌓을 적) (: 원망할 원) (: 깊을 심) (: 성낼 노) ]

[딴사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노갑을이 획순 이미지 노갑을이(怒甲乙移) : 갑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을에게 옮긴다는 뜻으로, 어떠한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애꿎은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을 이르는 말. [ (: 성낼 노) (: 갑옷 갑) (: 새 을) (: 옮을 이) ]
  • 노갑이을(怒甲移乙) : 갑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을에게 옮긴다는 뜻으로, 어떠한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애꿎은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을 이르는 말. [ (: 성낼 노) (: 갑옷 갑) (: 옮을 이) (: 새 을) ]
  • 환탈(換奪) : (1)뼈대를 바꾸어 끼고 태를 바꾸어 쓴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2)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 [ (: 바꿀 환) (: 빼앗을 탈) ]
  • 환골(換骨) : (1)뼈대를 바꾸어 낀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2)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 (3)도가(道家)에서, 인간이 속골(俗骨)을 선골(仙骨)로 바꾸어 몸에 털이 난다는 뜻으로, 신선이 되는 일을 이르는 말. [ (: 바꿀 환) (: 뼈 골) ]
  • 환골탈태(換骨奪胎) : (1)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 (2)뼈대를 바꾸어 끼고 태를 바꾸어 쓴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중국 남송의 승려 혜홍(惠洪)의 <냉재야화(冷齋夜話)>에 나오는 말이다. [ (: 바꿀 환) (: 뼈 골) (: 빼앗을 탈) (: 아이밸 태)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