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31일 토요일

봉의천대: 縫衣淺帶

봉의천대 (縫衣淺帶) : 꿰맨 옷과 엷은 띠라는 뜻으로, 유학자(儒學者)의 옷의 의미에서 그런 행세를 한 사람인 학자나 문인(文人) 등의 의미로 사용됨.



縫衣淺帶 한자 뜻 풀이

  • 縫(꿰맬 봉) : 궤매다, 솔기, 바느질함, 합치다, 결합함. 떨어진 곳을 꿰맨다는 의미. 逢(봉)은 발음
  • 衣(옷 의) : 옷, 싸는 것, 이끼, 깃털, 살갗. 상의(上衣)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본래 '웃옷[저고리]'의 의미였는데, 후에 옷의 대표성으로 사용됨. 하의 치마는 '상(裳)'
  • 淺(얕을 천) : 얕다, 적다, 수량(水量)이 적다, 지식이나 견식 따위가 깊지 아니하다, 색깔이 엷다. 물의 깊이가 얕다는 의미
  • 帶(띠 대) : 띠, 띠다, 차다, 두르다, 데리다. 두르거나 동여매는 '띠'의 의미에서 후에 띠처럼 '너비가 좁고 기다랗게 되어 있는 장소'의 의미까지 확대됨


[帶] 띠 대 (띠, 띠다, 차다, 두르다, 데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무풍지대 획순 이미지 무풍지대(無風地帶) : (1)바람이 불지 아니하는 지역. (2)다른 곳의 재난이나 번거로움이 미치지 아니하는 평화롭고 안전한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없을 무) (: 바람 풍) (: 땅 지) (: 띠 대) ]
  • 봉의천대(縫衣淺帶) : 꿰맨 옷과 엷은 띠라는 뜻으로, 유학자(儒學者)의 옷의 의미에서 그런 행세를 한 사람인 학자나 문인(文人) 등의 의미로 사용됨. [ (: 꿰맬 봉) (: 옷 의) (: 얕을 천) (: 띠 대) ]
  • 대솔하인(帶率下人) : (1)높은 사람을 모시고 다니는 하인. (2)하인을 거느림. [ (: 띠 대) (: 거느릴 솔) (: 아래 하) (: 사람 인) ]
  • 행상대경(行常帶經) : 나다닐 때 늘 경서를 가진다는 뜻으로, 학문에 열심히 노력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갈 행) (: 항상 상) (: 띠 대) (: 지날 경) ]
  • 착건속대(着巾束帶) : 건을 쓰고 띠를 두른다는 뜻으로, 관복을 갖추어 입음을 이르는 말. [ (: 붙을 착) (: 수건 건) (: 묶을 속) (: 띠 대) ]

[淺] 얕을 천 (얕다, 적다, 수량(水量)이 적다, 지식이나 견식 따위가 깊지 아니하다, 색깔이 엷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학비재 획순 이미지 천학비재(淺學菲才) : 학문이 얕고 재주가 변변치 않다는 뜻으로, 자기 학식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 (: 얕을 천) (: 배울 학) (: 엷을 비) (: 재주 재) ]
  • 연천몰각(年淺沒覺) : '연천몰각하다'의 어근. [ (: 얕을 천) (: 빠질 몰) (: 깨달을 각) ]
  • 산면분음양수성이천심(山面分陰陽水聲易淺深) : 산면은 그늘과 볕을 나누고, 물소리는 얕고 깊음을 바꿈. [ (: 메 산) (: 낯 면) (: 나눌 분) (: 응달 음) (: 볕 양) (: 물 수) (: 소리 성) (: 쉬울 이) (: 얕을 천) (: 깊을 심) ]
  • 미측심천(未測深淺) : 아직 깊고 얕은 것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심해(深海)이나 사정(事情), 사람의 자질(資質) 등에 대해서 이르는 표현. [ (: 아닐 미) (: 잴 측) (: 깊을 심) (: 얕을 천) ]
  • 천작저창(淺酌低唱) : 알맞게 술을 마시고 작은 소리로 노래를 부름. 스스로 만족하여 흥겹게 여가를 즐기는 모습을 이른다. [ (: 얕을 천) (: 따를 작) (: 낮을 저) (: 부를 창) ]

[縫] 꿰맬 봉 (궤매다, 솔기, 바느질함, 합치다, 결합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봉의천대 획순 이미지 봉의천대(縫衣淺帶) : 꿰맨 옷과 엷은 띠라는 뜻으로, 유학자(儒學者)의 옷의 의미에서 그런 행세를 한 사람인 학자나 문인(文人) 등의 의미로 사용됨. [ (: 꿰맬 봉) (: 옷 의) (: 얕을 천) (: 띠 대) ]
  • 미봉책(彌縫策) : 눈가림만 하는 일시적인 꾀나 방법. [ (: 두루 미칠 미) (: 꿰맬 봉) (: 꾀 책) ]
  • 천의무봉(天衣無縫) : (1)천사의 옷은 꿰맨 흔적이 없다는 뜻으로, 일부러 꾸민 데 없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우면서 완전함을 이르는 말. ≪태평광기≫의 곽한(郭翰)의 이야기에 나오는 말로, 주로 시가(詩歌)나 문장에 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2)세상사에 물들지 아니한 어린이와 같은 순진함을 이르는 말. (3)완전무결하여 흠이 없음을 이르는 말. [ (: 하늘 천) (: 옷 의) (: 없을 무) (: 꿰맬 봉) ]

[衣] 옷 의 (옷, 싸는 것, 이끼, 깃털, 살갗)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녹의사자 획순 이미지 녹의사자(綠衣使者) : 푸른 옷을 입은 사자(使者)라는 뜻으로, 앵무새의 다른 명칭. [ (: 옷 의) (使: 부릴 사) (: 놈 자) ]
  • 칭체재의(稱體裁衣) : 몸에 맞추어서 옷을 만든다는 뜻으로, 사람에 따라 그 경우에 맞도록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일컬을 칭) (: 몸 체) (: 마를 재) (: 옷 의) ]
  •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모문 획순 이미지 모문(母文) : 띠로 지붕을 인 문이란 뜻으로, '초라한 집'의 일컬음. [ (: 어미 모) (: 글월 문) ]
  • 화관모속(華菅茅束) : 솔새를 물에 적셔 왕골자리를 짤 때는 띠로 묶어야 한다는 뜻으로, 부부(夫婦)는 서로 떨어져서는 안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빛날 화) (: 골풀 관) (: 띠 모) (: 묶을 속) ]
  • 봉의천대(縫衣淺帶) : 꿰맨 옷과 엷은 띠라는 뜻으로, 유학자(儒學者)의 옷의 의미에서 그런 행세를 한 사람인 학자나 문인(文人) 등의 의미로 사용됨. [ (: 꿰맬 봉) (: 옷 의) (: 얕을 천) (: 띠 대) ]
  • 수간모옥(數間茅屋) : 몇 칸 안 되는 작은 초가. [ (: 셀 수) (: 틈 간) (: 띠 모) (: 집 옥) ]
  • 착건속대(着巾束帶) : 건을 쓰고 띠를 두른다는 뜻으로, 관복을 갖추어 입음을 이르는 말. [ (: 붙을 착) (: 수건 건) (: 묶을 속) (: 띠 대) ]

[옷]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녹의사자 획순 이미지 녹의사자(綠衣使者) : 푸른 옷을 입은 사자(使者)라는 뜻으로, 앵무새의 다른 명칭. [ (: 옷 의) (使: 부릴 사) (: 놈 자) ]
  • 칭체재의(稱體裁衣) : 몸에 맞추어서 옷을 만든다는 뜻으로, 사람에 따라 그 경우에 맞도록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일컬을 칭) (: 몸 체) (: 마를 재) (: 옷 의) ]
  • 목후이관(沐猴而冠) : 원숭이가 관을 썼다는 뜻으로, 의관(衣冠)은 갖추었으나 사람답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머리감을 목) (: 원숭이 후) (: 말 이을 이) (: 갓 관) ]
  • 피갈회옥(被褐懷玉) : 거친 옷을 입었으나 속에는 옥을 지녔다는 뜻으로, 지덕을 갖춘 사람이 세상에 알려지려고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이불 피) (: 털옷 갈) (: 품을 회) (: 구슬 옥) ]
  • 해의포화(解義抱火) : 옷을 벗고 불을 안는다는 뜻으로, 재난(災難)을 자초함을 이르는 말. [ (: 풀 해) (: 옳을 의) (: 안을 포) (: 불 화) ]

[문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견석백마 획순 이미지 견석백마(堅石白馬) :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문인 공손룡이 논한 궤변. 단단하고 흰 돌은 눈으로 보아 흰 것은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아 단단한 것은 알 수 있으나 빛이 흰지는 모르므로, 단단한 돌과 흰 돌은 동시에 성립하는 개념이 아니라고 하였다. [ (: 굳을 견) (: 돌 석) (: 흰 백) (: 말 마) ]
  • 녹만창전(綠滿窓前) : 창 앞에 푸르름이 가득하다 뜻으로, (1) 창가에 초목(草木)이 푸르게 우거진 모양(模樣)으로 초여름의 경관(景觀) (2) 있는 그대로의 자연(自然)을 즐기려는 문인(文人)의 심경(心境)을 나타낸 것. [ (滿: 찰 만) (: 창 창) (: 앞 전) ]
  • 봉의천대(縫衣淺帶) : 꿰맨 옷과 엷은 띠라는 뜻으로, 유학자(儒學者)의 옷의 의미에서 그런 행세를 한 사람인 학자나 문인(文人) 등의 의미로 사용됨. [ (: 꿰맬 봉) (: 옷 의) (: 얕을 천) (: 띠 대) ]

[사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 획순 이미지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귀신 귀) (: 서로 상) (: 반 반) ]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사용]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우문현답 획순 이미지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 어리석을 우) (: 물을 문) (: 어질 현) (: 대답할 답) ]
  •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 (: 눈 설) (: 위 상) (: 더할 가) (: 서리 상) ]
  • 옹산화병(甕算畵餠) :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독 옹) (: 셈할 산) (: 그림 화) (: 떡 병) ]
  • 양두색이(兩豆塞耳) : 두 콩으로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콩알 두 알로도 귀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처럼 조그마한 것이 큰 지장을 초래함을 비유하여 주로 마음이 물욕에 가려지면 도리를 분별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콩 두) (: 막을 색) (: 귀 이) ]

[의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공전절후(空前絶後)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 빌 공) (: 앞 전) (: 끊을 절) (: 뒤 후) ]
  • 우이독경(牛耳讀經) :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소 우) (: 귀 이) (: 읽을 독) (: 지날 경) ]
  • 백불일실(百不一失)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 일백 백) (: 아니 불) (: 한 일) (: 잃을 실) ]

[학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학비재 획순 이미지 천학비재(淺學菲才) : 학문이 얕고 재주가 변변치 않다는 뜻으로, 자기 학식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 (: 얕을 천) (: 배울 학) (: 엷을 비) (: 재주 재) ]
  • 도학선생(道學先生) : 도덕의 이론에만 밝고 실제의 세상일에는 어두운, 융통성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 길 도) (: 배울 학) (: 먼저 선) (: 날 생) ]
  • 고려삼은(高麗三隱) : 고려 말기에, 유학자로 이름난 세 사람. 포은(圃隱) 정몽주, 목은(牧隱) 이색, 야은(冶隱) 길재를 이른다. 야은 길재 대신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을 포함하기도 한다. [ (: 높을 고) (: 고울 려) (: 석 삼) (: 숨을 은) ]
  • 아자시술(蛾子時術) : 나방의 새끼는 작은 벌레이지만 때로는 그 어미가 하는 일을 배워 흙을 물어다 작은 개미둑을 이루고 나중에는 큰 개미둑을 이룬다는 뜻으로, 학자(學者)가 쉼 없이 학문(學問)을 닦아 큰 도(道)를 성취(成就)함을 이르는 말. [ (: 나방 아) (: 아들 자) (: 때 시) (: 꾀 술) ]
  • 여말삼은(麗末三隱) : 고려 말기에, 유학자로 이름난 세 사람. 포은(圃隱) 정몽주, 목은(牧隱) 이색, 야은(冶隱) 길재를 이른다. 야은 길재 대신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을 포함하기도 한다. [ (: 끝 말) (: 석 삼) (: 숨을 은) ]

[유학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고려삼은 획순 이미지 고려삼은(高麗三隱) : 고려 말기에, 유학자로 이름난 세 사람. 포은(圃隱) 정몽주, 목은(牧隱) 이색, 야은(冶隱) 길재를 이른다. 야은 길재 대신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을 포함하기도 한다. [ (: 높을 고) (: 고울 려) (: 석 삼) (: 숨을 은) ]
  • 여말삼은(麗末三隱) : 고려 말기에, 유학자로 이름난 세 사람. 포은(圃隱) 정몽주, 목은(牧隱) 이색, 야은(冶隱) 길재를 이른다. 야은 길재 대신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을 포함하기도 한다. [ (: 끝 말) (: 석 삼) (: 숨을 은) ]
  • 봉의천대(縫衣淺帶) : 꿰맨 옷과 엷은 띠라는 뜻으로, 유학자(儒學者)의 옷의 의미에서 그런 행세를 한 사람인 학자나 문인(文人) 등의 의미로 사용됨. [ (: 꿰맬 봉) (: 옷 의) (: 얕을 천) (: 띠 대)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