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22일 월요일

한자 愞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한자 愞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愞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 나겁 (懦怯/愞怯) : '나겁하다'의 어근. (나겁하다: 마음이 약하고 겁이 많다.)
  • 나약 (懦弱/愞弱) : 의지가 굳세지 못함.
  • 나겁히 (懦怯히/愞怯히) : 마음이 약하고 겁이 많게.
  • 나약히 (懦弱히/愞弱히) : 굳세지 못한 의지로.
  • 나겁하다 (懦怯하다/愞怯하다) : 마음이 약하고 겁이 많다.
  • 나약하다 (懦弱하다/愞弱하다) : 의지가 굳세지 못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愞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個에 관한 단어는 모두 230개

한자 個에 관한 단어는 모두 23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個에 관한 단어는 모두 230개

  • 개 (個/箇/介) : 낱으로 된 물건을 세는 단위.
  • 각개 (各個) : 하나하나의 낱낱.
  • 개국 (個國) : 나라를 세는 단위.
  • 개년 (個年) : 해를 세는 단위. 주로 어떤 계획의 한정된 기간을 가리킬 때에 쓴다.
  • 개물 (個物) : 단일하고 독립적인 통일적 존재. 철학 사상의 발전 과정에서 이 통일성은 물질적ㆍ양적 측면, 또는 정신적ㆍ질적 측면 따위의 여러 관점에서 고찰되었다.
  • 개별 (個別) : 여럿 중에서 하나씩 따로 나뉘어 있는 상태.
  • 개성 (個性) : 다른 사람이나 개체와 구별되는 고유의 특성.
  • 개소 (個所) : 낱낱의 곳을 세는 단위.
  • 개수 (個數) : 한 개씩 낱으로 셀 수 있는 물건의 수효.
  • 개아 (個我) : 개별적인 사람으로서의 자아(自我).
  • 개안 (個眼) : 곤충을 비롯한 대부분의 절지동물의 겹눈을 이루는 하나하나의 단위가 되는 눈.
  • 개월 (個月) : 달을 세는 단위.
  • 개인 (個人) : 국가나 사회, 단체 등을 구성하는 낱낱의 사람.
  • 개조 (個條) : 낱낱의 조목을 세는 단위.
  • 개중 (個中) : 여럿이 있는 그 가운데.
  • 개체 (個體) : 전체나 집단에 상대하여 하나하나의 낱개를 이르는 말.
  • 개충 (個蟲) : 군체를 구성하는 동물의 한 구성원. 이끼벌레나 히드라충류, 해면동물 따위이다.
  • 개품 (個品) : 낱낱의 물품.
  • 기개 (幾個) : 몇 개.
  • 낱개 (낱個) : 여럿 가운데 따로따로인 한 개 한 개.
  • 단개 (單個) : 단 한 개.
  • 매개 (每個) : 하나하나마다. 또는 낱낱이.
  • 별개 (別個) : 관련성이 없이 서로 다름.
  • 여개 (餘個) : 나머지 또는 나머지의 것.
  • 진개 (眞個) : 참인 것.
  • 개개이 (個個이) : → 낱낱이. (낱낱이: 하나하나 빠짐없이 모두.)
  • 개개인 (個個人) : 한 사람 한 사람.
  • 개교회 (個敎會) : 기독교에서, 공동체가 되는 교파에 속하여 있는 개별적 교회당을 이르는 말.
  • 개별법 (個別法) : 개개의 상품 또는 제품에 대하여 개별적인 원가를 부여하는 원가 계산 방법.
  • 개별성 (個別性) : 사물이나 사람 또는 어떤 상황이나 현상이 각각 따로 지니고 있는 특성.
  • 개별자 (個別者) : 자연과 사회에 존재하는 개개의 사물이나 현상 또는 과정을 통틀어 이르는 말.
  • 개별적 (個別的) : 여럿 중에서 하나씩 따로 나뉘어 있는 것.
  • 개별탕 (個別湯) : 개개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설비를 갖춘 목욕탕.
  • 개성적 (個性的) : 다른 사람이나 개체와 뚜렷이 구별되는.
  • 개성화 (個性化) : 개성적인 것이 되거나 개성적인 것으로 되게 함.
  • 개월법 (個月法) : 경관(京官)의 임기를 개월로 규정하던 법. 고려 시대에는 경관의 임기가 일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았으나, 조선 초기에 15개월로 정하여졌고, 세종 때에 30개월로 연장되었다.
  • 개인기 (個人技) : 개인의 기술. 특히 단체 경기를 하는 운동에서의 개인의 기량을 이른다.
  • 개인별 (個人別) : 개인마다의 갈래.
  • 개인사 (個人史) : 개인이 살아온 과정이나 겪어 온 일.
  • 개인상 (個人賞) : 개인에게 주는 상. 경연 대회, 경기 따위의 개인전에서 입상한 사람에게 준다.
  • 개인성 (個人性) : 다른 사람이나 개체와 구별되는 고유의 특성.
  • 개인세 (個人稅) : 개인이 번 소득에 대하여 물리는 세금.
  • 개인시 (個人時) : 어떤 자극에 대하여 개인마다 반응이 나타날 때까지 걸리는 시간.
  • 개인어 (個人語) : 어떤 개인이 일정한 시기에 사용하는 특정한 언어. 어떤 주어진 시기의 개인이 말하는 언어에 한정되는데, 한 개인의 언어 체계도 엄밀히 말하면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개인차가 있다는 관점에서 설정된 개념이다.
  • 개인적 (個人的) : 개인에 속하거나 관계되는 것.
  • 개인전 (個人展) : 한 개인의 작품만을 모아서 하는 전시.
  • 개인전 (個人戰) : 운동 경기에서, 개인끼리 승부를 겨루는 시합.
  • 개인차 (個人差) : 각 개인의 정신적ㆍ신체적 능력이나 특성의 차이.
  • 개인호 (個人壕) : 군인마다 제각기 쓸 수 있게 만든 참호.
  • 개조적 (個條的) : 하나하나의 조항을 따르는 것.
  • 개체군 (個體群) : 한곳에서 같이 생활하는 한 종의 생물 개체의 집단.
  • 개체적 (個體的) : 개체와 관련되거나 개체에 딸린 것.
  • 개체차 (個體差) : 같은 종류의 생물 집단에서, 공통 특성 속에서 볼 수 있는 각 개체가 지니는 차이.
  • 몰개성 (沒個性) : 어떤 대상에 마땅히 있어야 할 개성이 없는 상태.
  • 무개성 (無個性) : 개성이 없음.
  • 무한개 (無限個) : 대상이 되는 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무한한 일.
  • 백개일 (百個日) : 사람이 죽은 지 백 일째 되는 날. 이날에 불공을 드린다.
  • 수개월 (數個月) : 두서너 달. 또는 여러 달.
  • 유한개 (有限個) : 대상이 되는 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유한한 일.
  • 일개인 (一個人) : 한 사람의 개인.
  • 개개명창 (個個名唱) : 노래를 하는 사람마다 명창임을 이르는 말.
  • 개개복초 (個個服招) : 죄를 낱낱이 자백함.
  • 개개승복 (個個承服) : 지은 죄를 낱낱이 인정하고 자백함.
  • 개별검사 (個別檢査) : 한 사람씩 따로따로 하는 검사.
  • 개별난방 (個別暖房) : 개별적인 건물을 대상으로 하는 난방 방식.
  • 개인감정 (個人感情) : 집단이나 단체에 대하여 자신을 먼저 생각하는 마음.
  • 개인숭배 (個人崇拜) : 독재자를 우상화하고 떠받들어 모시는 일. 소련의 스탈린 비판에서 비롯된 말로, 주로 1인 독재 체제의 장기화에 따라 대중들에 대한 상징 조작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 개인업자 (個人業者) : 이윤을 목적으로 개인의 출자, 운영, 책임 아래 기업을 운영하거나 영업을 하는 사람.
  • 개인업주 (個人業主) : 이윤을 목적으로 개인의 출자, 운영, 책임 아래 기업을 운영하거나 영업을 하는 주인.
  • 개인연금 (個人年金) : 생명 보험 회사나 신탁 은행이 개인에게 상품으로 판매하는 연금 지불형의 보험이나 신탁. 개인이 보험 회사나 은행에 일정액을 불입한 후 일정한 나이가 되면 해마다 일정액을 지급받는다.
  • 개인영업 (個人營業) : 개인이 단독으로 경영하는 영업.
  • 개인위생 (個人衛生) : 개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위생.
  • 개인의식 (個人意識) : 뒤르켐의 사회학 용어로, 개인이 가지는 심리적ㆍ생리적 표상을 이르는 말. 이것이 모여서 집합 표상을 이룬다고 한다.
  • 개인잡지 (個人雜紙) : 개인이 원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쓰고 편집에서 발행까지 맡는 잡지.
  • 개인주의 (個人主義) : 사회의 모든 제도에 있어서 개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태도.
  • 개인택시 (個人taxi) : 회사 조직이 아닌 개인이 관리하고 경영하는 택시.
  • 개인행동 (個人行動) : 개인의 목적이나 용무를 위하여 전체에서 떨어져 혼자서 따로 하는 행동.
  • 개체결합 (個體結合) : 둘 이상의 살아 있는 동물체가 신체의 일부에서 서로 붙어 있는 상태. 허리가 한데 붙어서 나오는 쌍둥이의 경우 따위이다.
  • 개체주의 (個體主義) : 개체, 곧 개별적 존재를 가장 으뜸이 되는 것으로 보고, 보편 또는 전체를 파생적인 것으로 보는 태도. 실천의 영역에서는 개인주의라고 한다.
  • 몰개성적 (沒個性的) : 뚜렷한 개성이 없는 것.
  • 무개성적 (無個性的) : 개성이 없는.
  • 불량개소 (不良個所) : 어떤 물건에 있는 흠집이나 나쁜 곳.
  • 사개대승 (四個大乘) : 불교를 크게 네 개의 종파로 나눈 것. 화엄종, 천태종, 진언종, 선종이다.
  • 개성화되다 (個性化되다) : 개성적인 것이 되다.
  • 개성화하다 (個性化하다) : 개성적인 것이 되다. 또는 개성적인 것으로 되게 하다.
  • 개인플레이 (個人play) : 운동 경기 따위에서, 전체적으로 협력하지 않고 떨어져 따로 움직이는 일.
  • 개개복초하다 (個個服招하다) : 죄를 낱낱이 자백하다.
  • 개개승복하다 (個個承服하다) : 지은 죄를 낱낱이 인정하고 자백하다.
  • 개인영웅주의 (個人英雄主義) : 자기만 잘났다고 하면서 조직과 집단에 복종하지 않고 군중을 무시하며 독단적으로 행동하는 사상 관점. 또는 그런 행동.
  • 개수불 임금 (個數拂賃金) : 노동 시간의 장단에 관계없이 생산량에 따라 치르는 임금.
  • 개인적 공권 (個人的公權) : 국민이 국가에 대하여 가지는 공법상의 권리. 개인적인 이익만을 위한 것이 아니므로 그 포기가 인정되지 않는다.
  • 개체군 밀도 (個體群密度) : 같은 종류에 속하는 생물의 단위 공간당 개체 수. 이것이 높으면 생존 경쟁이 심해져 개체 수를 감소하는 힘이 작용한다.
  • 개체군 분포 (個體群分布) : 특정 기간 동안의 동물ㆍ식물 개체군의 공간적인 분포.
  • 사회적 개성 (社會的個性) : 한 사회가 다른 사회에 비하여 독특하게 가지고 있는 특성. 국민성, 지방색, 가풍 따위가 있다.
  • 창작적 개성 (創作的個性) : 예술 작품에서 표현되는 창작자의 사상적 입장과 태도. 예술적 견해와 문화 수준, 감정과 정서 따위가 결합하여 나타나는 개성이다.
  • 개인용 계산기 (個人用計算器) : 개인이 혼자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용량을 가진 소형 계산기.
  • 개인용 컴퓨터 (個人用computer) : 개인이 이용하도록 만들어진 소형 컴퓨터. 데이터 처리 능력에 따라 8비트, 16비트, 32비트, 64비트로 나누어지며, 소기업의 사무 자동화, 개인의 정보 처리 따위에 쓰인다.
  • 개인적 쾌락설 (個人的快樂說) : 개인적ㆍ주관적 쾌락만이 의지와 행위의 기준이 된다고 주장하는 학설.
  • 개체군 생태학 (個體群生態學) : 개체군의 생태를 연구하는 학문.


https://dict.wordrow.kr에서 個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睦에 관한 단어는 모두 31개

한자 睦에 관한 단어는 모두 3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睦에 관한 단어는 모두 31개

  • 목 (睦)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사천(泗川) 하나뿐이다.
  • 공목 (恭睦) : 공손하고 화목함.
  • 돈목 (敦睦) : 일가친척이 사이가 좋고 화목함.
  • 목족 (睦族) : 동족(同族) 또는 친족(親族)끼리 화목하게 지냄.
  • 불목 (不睦) : 서로 사이가 좋지 아니함.
  • 즙목 (輯睦) : '집목'의 원말. (집목: 서로 뜻이 맞고 정다움.)
  • 집목 (輯睦) : 서로 뜻이 맞고 정다움.
  • 친목 (親睦) : 서로 친하여 화목함.
  • 화목 (和睦) : 서로 뜻이 맞고 정다움.
  • 돈목히 (敦睦히) : 정이 두텁고 화목하게.
  • 목낭청 (睦郎廳) : 춘향전에 나오는 인물에 빗대어, 자기 주견 없이 이래도 응 저래도 응 하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목대흠 (睦大欽) : 조선 중기의 문신(1575~1638). 자는 탕경(湯卿). 호는 다산(茶山)ㆍ죽오(竹塢). 1605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광주 목사ㆍ공조 참판ㆍ부승지 등을 지냈다.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시문에 뛰어났다. 저서에 시문집 ≪다산집≫이 있다.
  • 집목히 (輯睦히) : 서로 뜻이 맞고 정답게.
  • 친목감 (親睦感) : 서로 친하여 화목한 느낌.
  • 친목계 (親睦契) : 친목을 도모하기 위한 계.
  • 친목회 (親睦會) : 친목을 도모하기 위한 모임.
  • 화목제 (和睦祭) : 구약 시대에, 하나님에게 동물 제물을 바쳐 하나님과 사람과의 관계를 화목하게 하려고 행하던 제사.
  • 공목하다 (恭睦하다) : 공손하고 화목하다.
  • 돈목지의 (敦睦之誼) : 두텁고 화목한 정.
  • 돈목하다 (敦睦하다) : 정이 두텁고 화목하다.
  • 목낭청조 (睦郎廳調) : 어름어름하면서 얼버무리는 말씨.
  • 목족하다 (睦族하다) : 동족(同族) 또는 친족(親族)끼리 화목하게 지내다.
  • 불목하다 (不睦하다) : 서로 사이가 좋지 아니하다.
  • 상하화목 (上下和睦) : 상하가 서로 뜻이 맞아 정답게 지냄.
  • 정의돈목 (情誼敦睦) : 정의가 두텁고 화목함.
  • 집목하다 (輯睦하다) : 서로 뜻이 맞고 정답다.
  • 친목하다 (親睦하다) : 서로 친하여 화목하다.
  • 화목하다 (和睦하다) : 서로 뜻이 맞고 정답다.
  • 상하화목하다 (上下和睦하다) : 상하가 서로 뜻이 맞아 정답게 지내다.
  • 정의돈목하다 (情誼敦睦하다) : 정의가 두텁고 화목하다.
  • 화목 제물 (和睦祭物) : 죄로 인하여 깨어진, 피조물과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하여 바치는 제물.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예수를 이른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睦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葳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한자 葳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葳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 박위 (朴葳) : 고려 말기ㆍ조선 초기의 장군(?~1398). 이성계를 따라 위화도 회군에 참여하여 최영 일파를 몰아냈다. 양광도 절도사로서 왜구를 정벌하는 데에 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 위유 (葳蕤) : '위유하다'의 어근. (위유하다: 초목이 많고 우거지다.)
  • 자위 (紫葳) : 능소화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높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우상 복엽이다. 여름에 깔때기 모양의 누르스름한 꽃이 피고 열매는 네모진 삭과(蒴果)로 가을에 익는다. 정원수(庭園樹)로 심는다. 중국이 원산지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 위령선 (葳靈仙/威靈仙) : 큰꽃으아리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풍습(風濕)을 없애고 담을 삭이며 기를 잘 돌게 하고 아픔을 멈추게 함으로써 관절 증상과 마비 증상을 치료하는 데 쓴다.
  • 위유하다 (葳蕤하다) : 초목이 많고 우거지다.
  • 큰위령선 (큰葳靈仙) : 미나리아재빗과의 낙엽 활엽 덩굴성 나무. 잎은 마주나며 5~7개의 작은 잎으로 된 우상 복엽으로 작은 잎은 달걀 모양인데 톱니가 없다. 여름에 흰 단성화(單性花)가 취산(聚繖) 모양의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가을에 익는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우리나라 특산 분류군으로 속리산, 남산, 금강산 등지에 분포한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葳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饒에 관한 단어는 모두 42개

한자 饒에 관한 단어는 모두 42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饒에 관한 단어는 모두 42개

  • 민요 (民饒) : '민요하다'의 어근. (민요하다: 백성의 살림이 넉넉하다.)
  • 부요 (富饒) : '부요하다'의 어근. (부요하다: 재물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다.)
  • 비요 (肥饒) : 땅이 걸고 기름짐.
  • 여요 (餘饒) : 흠뻑 많아서 넉넉함.
  • 옥요 (沃饒) : '옥요하다'의 어근. (옥요하다: 땅이 기름져서 산물이 많다.)
  • 요거 (饒居) : 넉넉하게 삶.
  • 요과 (饒窠) : 생기는 것이 많은 벼슬자리.
  • 요다 (饒多) : '요다하다'의 어근. (요다하다: 넉넉하고 많다.)
  • 요대 (饒貸) : 너그러이 용서함.
  • 요민 (饒民) : 살림이 넉넉한 백성.
  • 요부 (饒富) : '요부하다'의 어근. (요부하다: 살림이 넉넉하다.)
  • 요설 (饒舌) : 쓸데없이 말을 많이 함.
  • 요실 (饒實) : '요실하다'의 어근. (요실하다: 살림이 넉넉하다.)
  • 요익 (饒益) : 자비로운 마음으로 중생에게 넉넉하게 이익을 줌. 또는 그 이익.
  • 요족 (饒足) : '요족하다'의 어근. (요족하다: 살림이 넉넉하다.)
  • 요축 (饒축) : 살림이 넉넉한 사람들.
  • 요호 (饒戶) : 살림이 넉넉한 집.
  • 초요 (稍饒) : '초요하다'의 어근. (초요하다: 살림이 조금 펴서 넉넉하다.)
  • 풍요 (豐饒) : 흠뻑 많아서 넉넉함.
  • 요부히 (饒富히) : 살림이 넉넉하게.
  • 요설가 (饒舌家) : 쓸데없이 자꾸 지껄이기를 잘하는 사람.
  • 풍요히 (豐饒히) : 흠뻑 많아서 넉넉하게.
  • 단불요대 (斷不饒貸) : 단연코 용서하지 아니함.
  • 민요하다 (民饒하다) : 백성의 살림이 넉넉하다.
  • 부요하다 (富饒하다) : 재물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다.
  • 비요하다 (肥饒하다) : 땅이 걸고 기름지다.
  • 여요하다 (餘饒하다) : 흠뻑 많아서 넉넉함이 있다.
  • 옥요하다 (沃饒하다) : 땅이 기름져서 산물이 많다.
  • 요거하다 (饒居하다) : 넉넉하게 살다.
  • 요다하다 (饒多하다) : 넉넉하고 많다.
  • 요대하다 (饒貸하다) : 너그러이 용서하다.
  • 요부하다 (饒富하다) : 살림이 넉넉하다.
  • 요설쟁이 (饒舌쟁이) : 쓸데없이 자꾸 지껄이기를 잘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요설하다 (饒舌하다) : 쓸데없이 말을 많이 하다.
  • 요실하다 (饒實하다) : 살림이 넉넉하다.
  • 요익하다 (饒益하다) : 자비로운 마음으로 중생에게 넉넉하게 이익을 주다.
  • 요족하다 (饒足하다) : 살림이 넉넉하다.
  • 초요하다 (稍饒하다) : 살림이 조금 펴서 넉넉하다.
  • 풍요롭다 (豐饒롭다) : 흠뻑 많아서 넉넉함이 있다.
  • 풍요하다 (豐饒하다) : 흠뻑 많아서 넉넉함이 있다.
  • 단불요대하다 (斷不饒貸하다) : 단연코 용서하지 아니하다.
  • 풍요의 바다 (豐饒의바다) : 지구에서 볼 때, 달 표면의 서쪽에 있는 남북 약 1,000km, 동서 70km의 낮고 평탄한 부분을 이르는 말. '고요의바다' 서남쪽에 있다. (고요의 바다: 지구에서 볼 때 달 표면의 동쪽, 적도보다는 약간 북쪽에 있는 평탄하고 낮은 부분을 이르는 말. 1969년에 미국의 우주선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하여 인류 최초로 발을 디딘 곳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饒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潯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한자 潯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潯에 관한 단어는 모두 5개

  • 수심 (水潯) : 바다, 강, 못 따위와 같이 물이 있는 곳의 가장자리.
  • 심양 (潯陽) : 중국 당나라 때 양쯔강(揚子江) 부근 주장(九江)에 설치하였던 군 및 현. 현재의 장시성(江西省) 북쪽에 있다.
  • 심주 (潯州) : → 쉰저우. (쉰저우: '구이핑'의 옛 이름. (구이핑: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에 있는 도시. 주장강(珠江江) 중류 뱃길의 요지이며, 광시의 곡창 지대이다.))
  • 쉰양강 (Xunyang[潯陽]江) : 양쯔강(揚子江)의 한 지류. 장시성(江西省) 북부, 주장강(九江江) 부근을 흐른다.
  • 심양강 (潯陽江) : → 쉰양강. (쉰양강: 양쯔강(揚子江)의 한 지류. 장시성(江西省) 북부, 주장강(九江江) 부근을 흐른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潯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