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0월 20일 수요일

한자 匱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한자 匱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匱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 곤궤 (困匱) : '곤궤하다'의 어근. (곤궤하다: 재력(財力)이 다하여 형편이 어렵다.)
  • 궤갈 (匱竭/匱渴) : 다하여 없어짐. 또는 없어져 다함.
  • 궤핍 (匱乏) : 다하여 없어짐. 또는 없어져 다함.
  • 핍궤 (乏匱) : 물자가 떨어짐.
  • 곤궤하다 (困匱하다) : 재력(財力)이 다하여 형편이 어렵다.
  • 궤갈하다 (匱竭하다/匱渴하다) : 다하여 없어지다. 또는 없어져 다하다.
  • 궤핍되다 (匱乏되다) : 다하여 없어지다.
  • 궤핍하다 (匱乏하다) : 다하여 없어지다. 또는 없어져 다하다.
  • 금궤요략 (金匱要略) : 중국 후한 때에, 장중경이 지었다고 전하는 의서(醫書). 주로 내과(內科)의 잡병(雜病)에 대한 치료법을 논한 것으로, 장중경의 ≪상한론≫과 함께 동양 의학의 원전으로 평가되며 처방학 및 치료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핍궤하다 (乏匱하다) : 물자가 떨어지다.


https://dict.wordrow.kr에서 匱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殉에 관한 단어는 모두 47개

한자 殉에 관한 단어는 모두 4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殉에 관한 단어는 모두 47개

  • 순 (殉) : '순하다'의 어근. (순하다: 목숨을 바치다.)
  • 순공 (殉公) : 공적(公的)인 것을 위하여 목숨을 바침.
  • 순교 (殉敎) : 모든 압박과 박해를 물리치고 자기가 믿는 신앙을 지키기 위하여 목숨을 바치는 일. 넓은 뜻으로는 주의나 사상을 위하여 죽는 경우에도 쓴다.
  • 순국 (殉國) :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침.
  • 순난 (殉難) : 국가나 사회가 위난(危難)에 처하여 의로이 목숨을 바침.
  • 순도 (殉道) : 정의나 도의를 위하여 목숨을 바침.
  • 순리 (殉利) : 이익만 좇다가 몸을 망침.
  • 순명 (殉名) : 명예를 얻기 위하여 또는 명예를 더럽히지 아니하기 위하여 목숨을 버림.
  • 순법 (殉法) : 정의나 도의를 위하여 목숨을 바침.
  • 순사 (殉死) :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침.
  • 순애 (殉愛) : 사랑을 위하여 모든 것을 바침.
  • 순열 (殉烈) : 충렬(忠烈)을 위하여 목숨을 바침. 또는 그런 사람.
  • 순의 (殉義) : 의(義)를 위하여 죽음.
  • 순장 (殉葬) : 한 집단의 지배층 계급에 속하는 사람이 죽었을 때 그 사람의 뒤를 따라 강제로 혹은 자진하여 산 사람을 함께 묻던 일. 또는 그런 장례법. 왕이나 귀족 등이 죽으면 첩, 신하, 종 등을 함께 묻었다.
  • 순절 (殉節) : 충절(忠節)이나 정절(貞節)을 지키기 위하여 죽음.
  • 순직 (殉職) : 직무를 다하다가 목숨을 잃음.
  • 순폭 (殉爆) : 어느 한 곳에서 화약이 폭발하였을 때에, 그것에 유발되어 그 장소에서 떨어진 곳에 있는 화약도 폭발하는 일.
  • 순교도 (殉敎圖) : 순교자의 순교 장면을 그린 그림.
  • 순교자 (殉敎者) : 순교한 사람.
  • 순국자 (殉國者) : 나라를 위하여 싸우다 목숨을 바친 사람.
  • 순난자 (殉難者) : 국가나 사회가 위난(危難)에 처하여 의로이 목숨을 바친 사람.
  • 순직자 (殉職者) : 직무를 다하다가 목숨을 잃은 사람.
  • 순하다 (殉하다) : 목숨을 바치다.
  • 순공하다 (殉公하다) : 공적(公的)인 것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다.
  • 순교하다 (殉敎하다) : 모든 압박과 박해를 물리치고 자기가 믿는 신앙을 지키기 위하여 목숨을 바치다. 넓은 뜻으로는 주의나 사상을 위하여 죽는 일에도 쓴다.
  • 순국선열 (殉國先烈) :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윗대의 열사.
  • 순국열사 (殉國烈士) :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쳐 장렬히 싸운 사람.
  • 순국의거 (殉國義擧) : 나라나 정의를 위하여 목숨을 바쳐서 거사하는 일.
  • 순국하다 (殉國하다) :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치다.
  • 순난하다 (殉難하다) : 국가나 사회가 위난(危難)에 처하여 의로이 목숨을 바치다.
  • 순도하다 (殉道하다) : 정의나 도의를 위하여 목숨을 바치다.
  • 순리하다 (殉利하다) : 이익만 좇다가 몸을 망치다.
  • 순명하다 (殉名하다) : 명예를 얻기 위하여 또는 명예를 더럽히지 아니하기 위하여 목숨을 버리다.
  • 순법하다 (殉法하다) : 정의나 도의를 위하여 목숨을 바치다.
  • 순사하다 (殉死하다) :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치다.
  • 순애하다 (殉愛하다) : 사랑을 위하여 모든 것을 바치다.
  • 순열하다 (殉烈하다) : 충렬(忠烈)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다.
  • 순의하다 (殉義하다) : 의(義)를 위하여 죽다.
  • 순장되다 (殉葬되다) : 한 집단의 지배층 계급에 속하는 사람이 죽었을 때 그 사람의 뒤를 따라 강제로 혹은 자진하여 산 사람이 함께 묻히다. 왕이나 귀족 등이 죽으면 첩, 신하, 종 등을 함께 묻었다.
  • 순장하다 (殉葬하다) : 한 집단의 지배층 계급에 속하는 사람이 죽었을 때 그 사람의 뒤를 따라 강제로 혹은 자진하여 산 사람을 함께 묻다. 왕이나 귀족 등이 죽으면 첩, 신하, 종 등을 함께 묻었다.
  • 순절하다 (殉節하다) : 충절(忠節)이나 정절(貞節)을 지키기 위하여 죽다.
  • 순직하다 (殉職하다) : 직무를 다하다가 목숨을 잃다.
  • 흠정승조순절제신록 (欽定勝朝殉節諸臣錄) : 중국 명나라의 만력(萬曆) 이후 멸망에 이르기까지 왕사(王事)에 순절한 충신들의 실록. 청나라 고종 41년(1776)에 서혁덕(舒赫德) 등이 황제의 명에 따라 편찬하였다.
  • 순국선열의 날 (殉國先烈의날) : 국권 회복을 위하여 헌신한 순국선열의 독립 정신과 희생정신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 그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제정한 날. 11월 17일이다.
  • 순교자 성월 (殉敎者聖月) : 순교자를 기리며, 그들의 굳은 신앙을 본받고 순교 정신을 이어받으려고 힘쓰는 달. 양력 9월이다.
  • 순교 복자 (殉敎福者) : 순교자 가운데 그 행적이 뚜렷하여 모든 신자의 공경을 받을 사람으로 교회에서 인준한 순교자.
  • 강도 순절인 (江都殉節人) : 병자호란 때에 강화도에서 청나라에 대항하여 싸우다 전사했거나 자결한 사람들을 기리어 나라에서 내린 칭호. 숙종 27년(1701)에 김창협이 이들의 사적을 모아 ≪강도충렬록(江都忠烈錄)≫을 만들었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殉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善에 관한 단어는 모두 491개

한자 善에 관한 단어는 모두 491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善에 관한 단어는 모두 491개

  • 선 (善) : 올바르고 착하여 도덕적 기준에 맞음. 또는 그런 것.
  • 개선 (改善) : 잘못된 것이나 부족한 것, 나쁜 것 따위를 고쳐 더 좋게 만듦.
  • 객선 (客善) : 석가모니가 출세하여 처음으로 가르친 삼귀의, 계율 따위의 선.
  • 겸선 (兼善) : 자기 자신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도 감화하여 착하게 함.
  • 계선 (戒善) : 계(戒)를 지키는 선근(善根). 전생(前生)에 오계(五戒)를 지키면 이번 생에 인간 세상에 태어나고, 전생에 십선(十善)을 행하면 국왕이 되는 것 따위를 이른다.
  • 공선 (共善) : 공동의 선.
  • 권선 (勸善) : 착한 일을 하도록 권장함.
  • 극선 (極善) : 마음씨나 행동이 더할 수 없이 착하고 고움.
  • 기선 (琦善) : 중국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1854). 자는 원무(元撫)ㆍ소목(少穆). 아편 전쟁을 전후하여 흠차 대신이 되어 영국과 교섭하였다. 태평천국 운동을 토벌하던 중에 전사하였다.
  • 달선 (達善) : 선(善)에 이름.
  • 덕선 (德善) : 덕행과 선행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도선 (導善) : 대한 제국 때에, 임금의 명으로 임명한 종인 학교의 벼슬.
  • 도선 (徒善) : 성품이 착하기만 하고 일을 주선하거나 변통하는 재주가 없음.
  • 독선 (獨善) : 남을 돌보지 아니하고 자기 한 몸의 처신만을 온전하게 함.
  • 만선 (萬善) : 온갖 착한 일.
  • 벌선 (伐善) : 자기의 선행이나 장점을 뽐냄.
  • 불선 (不善) : 착하지 아니함.
  • 사선 (詐善) : 뒤로는 못된 짓을 하면서 겉으로만 착한 체함.
  • 사선 (四善) : 예전에, 중국에서 관리의 성적을 매기는 네 가지 표준인 덕행, 청신(淸愼), 공평, 근면을 통틀어 이르던 말.
  • 삼선 (三善) : 세 가지의 착한 일. 부모에 대한 효도, 임금에 대한 충의, 장유(長幼)에 대한 예절을 이른다.
  • 상선 (上善) : 가장 뛰어난 선.
  • 선가 (善價) : 후하고 좋은 값.
  • 선가 (善歌) : 국악에서, 가곡을 잘 부르는 사람을 이르는 말.
  • 선감 (善感) : 잘 감동함.
  • 선강 (善綱) : 봉불(奉佛)이나 점안식을 거행할 때와 부단염불이나 만일(萬日) 공양을 할 때에, 불상의 손에 걸어 매는 오색실로 된 줄. 한끝을 불당 밖으로 내보내 여러 사람에게 붙잡게 하여 불연(佛緣)을 맺게 한다.
  • 선견 (善見) : 색계(色界)에 있는 사선천(四禪天)의 일곱째 하늘. 선정(禪定)을 닦는 데 장애가 없어서 시방(十方)을 훤히 볼 수 있는 곳이다.
  • 선경 (善驚) : 잘 놀라면서 늘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해하는 증상.
  • 선계 (善計) : 뛰어난 계획이나 좋은 대책.
  • 선공 (善功) : 좋은 결과를 낳는 공덕.
  • 선공 (善恐) : 공포증이 자주 나타나는 병증. 주로 담이 허하거나 심신ㆍ간ㆍ위가 상해서 온다.
  • 선과 (善果) : 좋은 과보(果報). 선행에 대한 훌륭한 보답을 이른다.
  • 선교 (善巧) : 중생을 교화하는 수단과 방법이 아주 빼어남.
  • 선교 (善交) : 잘 사귐.
  • 선교 (善敎) : 좋은 교훈.
  • 선궁 (善弓) : 활을 잘 쏨. 또는 그런 사람.
  • 선권 (善權) : 훌륭한 수단이나 방편.
  • 선근 (善根) : 좋은 과보를 낳게 하는 착한 일.
  • 선기 (善騎) : 말을 잘 탐. 또는 그런 사람.
  • 선기 (善飢) : 배가 자주 고픈 증상. 주로 위열(胃熱)로 인하여 생기며 소갈이 있을 때에 나타난다.
  • 선남 (善男) : 성품이 착한 남자.
  • 선녀 (善女) : 성품이 착한 여자.
  • 선대 (善待) : 친절하게 잘 대접함.
  • 선덕 (善德) : 착한 마음씨나 바르고 착한 행동.
  • 선도 (善道) : 선업(善業)에 대한 인과응보(因果應報)로 중생이 태어나는 곳. 인간과 천상의 2취(趣) 또는 인간과 천상, 아수라의 3취(趣)를 이른다.
  • 선도 (善途) : 선근(善根)을 닦는 길.
  • 선도 (善導) : 올바르고 좋은 길로 이끎.
  • 선도 (善導) : 중국 당나라 때의 승려(613~681). 속성은 주(朱). 중국 정토교의 대성자이다. 저서에 ≪관무량수경소(觀無量壽經疏)≫, ≪왕생예찬(往生禮讚)≫, ≪반주찬(般周讚)≫ 따위가 있다.
  • 선량 (善良) : 행실이나 성질이 착함.
  • 선리 (善吏) : 선량한 관리.
  • 선린 (善鄰) : 이웃하고 있는 지역 또는 나라와 사이좋게 지냄. 또는 그런 이웃.
  • 선망 (善忘) : 잊어버리기를 잘함.
  • 선모 (善謀) : 뛰어난 계획이나 좋은 대책.
  • 선묘 (善苗) : 좋은 묘목. 또는 튼튼한 묘목.
  • 선미 (善美) : 선(善)과 미(美)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선민 (善民) : 선량한 백성.
  • 선방 (善防) : 잘 막아 냄.
  • 선법 (善法) : 도리에 맞고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방법.
  • 선변 (善辯) : 말을 능숙하게 잘함. 또는 그 말.
  • 선변 (善變) : 성질이나 행실 또는 사물이나 형편이 전보다 좋게 변함.
  • 선보 (善報) : 좋은 과보(果報). 선행에 대한 훌륭한 보답을 이른다.
  • 선본 (善本) : 좋은 과보를 낳게 하는 착한 일.
  • 선본 (善本) : 보존 상태가 좋거나, 본문의 계통이 오랜 희귀한 책.
  • 선부 (善否) : 좋음과 나쁨.
  • 선사 (善士) : 선행이 있는 인사(人士).
  • 선사 (善射) : 총이나 활 따위를 잘 쏨.
  • 선사 (善寫) : 글씨를 잘 씀.
  • 선사 (善事) : 윗사람을 잘 섬김.
  • 선산 (善散) : 돈을 적절하게 잘 씀.
  • 선상 (善祥) : 운수가 좋을 조짐.
  • 선서 (善書) : 글씨를 잘 씀. 또는 그 글씨.
  • 선서 (善逝) : 여래 십호(如來十號)의 하나. 잘 가신 분이라는 뜻으로, '부처'를 달리 이르는 말이다. 피안(彼岸)에 가서 다시는 이 세상에 돌아오지 않는다고 하여 이렇게 이른다. (부처: 불도를 깨달은 성인., 부처의 형상을 표현한 상. 나무ㆍ돌ㆍ쇠ㆍ흙 따위로 만든, 부처의 소상(塑像)이나 화상(畫像)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석가모니'의 다른 이름. (석가모니: 불교의 개조. 과거칠불의 일곱째 부처로, 세계 4대 성인의 한 사람이다. 기원전 624년에 지금의 네팔 지방의 카필라바스투성에서 슈도다나와 마야 부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29세 때에 출가하여 35세에 득도하였다. 그 후 녹야원에서 다섯 수행자를 교화하는 것을 시작으로 교단을 성립하였다. 45년 동안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하다가 80세에 입적하였다.))
  • 선선 (鄯善) : 중국 한나라ㆍ위나라 때에, 서역 여러 나라 가운데 지금의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뤄부포호에 있던 나라. 많은 고분과 유적이 발견되었다.
  • 선성 (善性) : 착한 성질.
  • 선소 (善所) : 인계(人界)나 천상(天上) 또는 여러 부처의 정토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선속 (善俗) : 좋은 풍속.
  • 선수 (善手) : 솜씨가 남보다 뛰어난 사람.
  • 선신 (善神) : 정법(正法)을 지키며 사람에게 선을 베풀어 이롭게 하는 신.
  • 선심 (善心) : 선량한 마음.
  • 선악 (善惡) : 착한 것과 악한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선어 (善語) : 말을 잘함.
  • 선언 (善言) : 교훈이 될 만한 좋은 말.
  • 선업 (善業) : 삼성업의 하나. 착한 일을 이른다.
  • 선연 (善緣) : 좋은 인연.
  • 선용 (善用) : 알맞게 쓰거나 좋은 일에 씀.
  • 선우 (善遇) : 친절하게 잘 대접함.
  • 선우 (善友) : 착하고 어진 벗.
  • 선월 (善月) : 선(善)을 닦고 계(戒)를 지키는 음력 정월, 5월, 9월의 삼재월(三齋月).
  • 선유 (善柔) : '선유하다'의 어근. (선유하다: 마음이 착하고 곰상스러우나 줏대가 없다.)
  • 선음 (善飮) : 술을 잘 마심.
  • 선의 (善醫) : 병을 잘 고쳐 이름난 의원이나 의사.
  • 선의 (善意) : 착한 마음.
  • 선인 (善人) : 선량한 사람.
  • 선인 (善因) : 좋은 과보를 낳게 하는 착한 일.
  • 선자 (善者) : 착한 사람.
  • 선재 (善哉) : 한문 투의 글에서, '매우 좋구나'의 뜻으로 쓰는 말.
  • 선재 (善財) : 화엄경의 입법 계품(入法界品)에 나오는 젊은 구도자의 이름.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53명의 선지식을 차례로 찾아갔는데, 마지막으로 보현보살을 만나 진리의 세계에 들어갔다고 한다.
  • 선전 (善戰) : 있는 힘을 다하여 잘 싸움.
  • 선정 (善正) : 이치에 맞고 옳은 일.
  • 선정 (善政) : 백성을 바르고 어질게 잘 다스리는 정치.


https://dict.wordrow.kr에서 善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苣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한자 苣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苣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 거승 (苣蕂/苣勝/巨勝) : 빛깔이 검은 참깨.
  • 거와 (苣萵) :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경엽은 어긋나고 근생엽은 큰 타원형이다. 초여름에 연누런빛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작은 수과(瘦果)를 맺는다. 잎은 쌈을 싸서 먹는다. 유럽이 원산지로 전 세계에 분포한다.
  • 야거 (野苣) : 게스네리아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줄기의 높이는 6~12cm이며, 잎은 달걀 모양으로 담뱃잎과 비슷하다. 여름에 담자색 꽃이 꽃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긴 삭과(蒴果)이다. 어린잎은 먹거나 위장약으로 쓴다.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일본과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와거 (萵苣) :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경엽은 어긋나고 근생엽은 큰 타원형이다. 초여름에 연누런빛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작은 수과(瘦果)를 맺는다. 잎은 쌈을 싸서 먹는다. 유럽이 원산지로 전 세계에 분포한다.
  • 편거 (褊苣) : 게스네리아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줄기의 높이는 6~12cm이며, 잎은 달걀 모양으로 담뱃잎과 비슷하다. 여름에 담자색 꽃이 꽃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긴 삭과(蒴果)이다. 어린잎은 먹거나 위장약으로 쓴다.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일본과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거승주 (苣蕂酒) : 술의 하나. 참깨를 약간 볶아 생강과 생용뇌(生龍腦)를 섞고, 다시 볶아 찧어서 가루로 만들어 술에 담근 뒤에 우려 만든다.
  • 와거병 (萵苣餠) : 상추의 잎을 넣고 만든 떡.
  • 와거자 (萵苣子) : 상추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이뇨(利尿), 치루(痔漏), 하혈(下血), 젖분비 따위에 쓴다.
  • 와거포 (萵苣包) : 상추 잎에 고추장, 된장 따위와 함께 밥을 싼 음식.


https://dict.wordrow.kr에서 苣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統에 관한 단어는 모두 579개

한자 統에 관한 단어는 모두 57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統에 관한 단어는 모두 579개

  • 통 (統) : 시간 층서 분류 단위의 하나. 지질 시대 가운데 세(世)에 퇴적한 지층을 이른다.
  • 통 (統) : 조선 시대에 둔, 민가의 편제 단위. 다섯 집을 한 단위로 하였다가, 고종 32년(1895)에는 열 집을 한 단위로 하였다.
  • 가통 (家統) : 집안의 계통이나 내림.
  • 계통 (繼統) : 임금의 계통(系統)을 이음.
  • 계통 (系統) : 일정한 체계에 따라 서로 관련되어 있는 부분들의 통일적 조직.
  • 국통 (國統) : 신라 때에, 국왕의 고문으로서 불교 정책의 총책임을 맡아보던 승직(僧職). 진흥왕 12년(551)에 고구려에서 온 혜량 법사(惠亮法師)를 처음으로 임명하였다.
  • 국통 (國統) : 임금의 혈통.
  • 군통 (郡統) : 신라 때, 각 군(郡)의 교단(敎團)을 지도ㆍ감독하던 중의 벼슬. 주통(州統) 9명을 포함하여 모두 18명으로 구성하였다.
  • 대통 (大統) : 임금의 계통.
  • 도통 (道統) : 도학(道學)을 전하는 계통.
  • 도통 (都統) : 모두 합한 셈.
  • 도통 (都統) : 중국 남북조 시대에, 문하성 지의국(至衣局)에 속한 무관.
  • 법통 (法統) : 불법의 전통.
  • 법통 (法統) : 법의 계통이나 전통.
  • 선통 (宣統) : 중국 청나라 선통제 때의 연호(年號). 1909년부터 1911년까지 사용했다.
  • 성통 (聖統) : 임금의 혈통이나 계통.
  • 세통 (世統) : 대대로 이어 내려오는 혈통.
  • 수통 (垂統) : 좋은 전통을 자손에게 남김.
  • 승통 (承統) : 종가(宗家)의 대를 이음.
  • 승통 (僧統) : 승군(僧軍)을 통솔하는 일을 맡아 하던 승직(僧職).
  • 신통 (神統) : 신의 계통.
  • 얼통 (孼統) : 첩 소생의 혈통.
  • 영통 (領統) : 통솔하여 거느림.
  • 왕통 (王統) : 왕위를 계승하는 정통.
  • 운통 (韻統) : 중국의 여러 종류의 운서(韻書)에 체계화되어 있는 운자(韻字)의 계통. 동자 운통(東字韻統), 강자 운통(江字韻統) 따위가 있다.
  • 윤통 (閏統) : 정통(正統)이 아닌 계통.
  • 일통 (一統) : 나누어진 것들을 합쳐서 하나의 조직ㆍ체계 아래로 모이게 함.
  • 작통 (作統) : 조선 시대에, 민호(民戶)를 몇 개씩 묶어 한 통(統)으로 편제하던 일. 유민(流民)의 발생을 규제하고 각종 조세(租稅)의 납부를 독려하는 한편, 천주교와 동학을 금지하고 교도(敎徒)를 색출하는 데에 활용되었다.
  • 적통 (嫡統) : 적자 자손의 계통.
  • 전통 (全統) : 있는 전부.
  • 전통 (典統) : 맡아서 다스림.
  • 전통 (傳統) : 어떤 집단이나 공동체에서, 지난 시대에 이미 이루어져 계통을 이루며 전하여 내려오는 사상ㆍ관습ㆍ행동 따위의 양식.
  • 정통 (正統) : 중국 명나라 영종 때의 연호(1436~1449).
  • 정통 (正統) : 바른 계통.
  • 제통 (帝統) : 제왕의 계통.
  • 종통 (宗統) : 종가(宗家) 맏아들의 혈통.
  • 주통 (州統) : 신라 때에, 주(州) 안의 여러 사원에 대한 감독을 맡아보던 승직(僧職). 9주(州)에 한 사람씩 모두 9명을 두었다.
  • 천통 (天統) : 발해 개국 2년에 고왕이 쓴 연호.
  • 천통 (天統) : 천도(天道)의 강기(綱紀).
  • 체통 (體統) : 관리로서의 체면.
  • 총통 (總統) : 전체를 하나로 묶어 거느리고 다스림.
  • 통각 (統覺) : 경험이나 인식을 자기의 의식 속으로 종합하고 통일하는 작용.
  • 통감 (統監) : 정치나 군사의 모든 일을 통솔하고 감독함. 또는 그런 사람.
  • 통계 (統計) : 한데 몰아서 어림잡아 계산함.
  • 통곡 (統穀) : 조선 시대에, 통제사 군영의 곡식을 이르던 말.
  • 통곤 (統閫) : 임진왜란 때에, 경상ㆍ전라ㆍ충청 세 도의 수군을 통솔하는 일을 맡아보던 무관 벼슬. 또는 그 벼슬아치. 선조 26년(1593)에 설치하여 이순신을 임명하였다.
  • 통관 (統管) : 여러 부문을 통일하여 관할함.
  • 통괄 (統括) : 낱낱의 일을 한데 묶어서 잡음.
  • 통기 (統紀) : 통일하는 규칙.
  • 통기 (統記) : 조선 시대에, 통별 민호의 상황을 기록한 장부.
  • 통독 (統督) : 모두 관할하여 감독함.
  • 통량 (統涼) : 경상남도 통영에서 만든 갓의 양태.
  • 통령 (統領) : 조선 시대에, 조운선 10척을 거느리던 무관 벼슬.
  • 통리 (統理) : 일체를 통할하여 거느림. 또는 그런 사람.
  • 통사 (統辭) : 생각이나 감정을 말과 글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고 있는 것이 원칙이나 때로 이런 것이 생략될 수도 있다. 글의 경우, 문장의 끝에 '.', '?', '!' 따위의 문장 부호를 찍는다. '철수는 몇 살이니?', '세 살.', '정말?' 따위이다.
  • 통서 (統緖) : 한 갈래로 이어 온 계통.
  • 통섭 (統攝) : 전체를 도맡아 다스림.
  • 통속 (統屬) : 일정한 통제 아래에 속함. 또는 소속하는 일.
  • 통솔 (統率) : 무리를 거느려 다스림.
  • 통수 (統帥) : 부하를 통솔하는 장수.
  • 통수 (統首) : 조선 시대에 둔, 민가 조직인 통의 우두머리. 통주를 고친 것이다.
  • 통어 (統御) : 거느려서 제어함.
  • 통업 (統業) : 나라를 다스리는 일.
  • 통영 (統營) : 통제하고 경영함.
  • 통영 (統營) : 경상남도 남해안 중앙부에 있는 시. 한려 해상 국립 공원의 중심지이며 원근해 어업 기지가 있는 항구 도시로, 갓과 나전 칠기가 유명하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충무시와 통영군이 합쳐져 신설되었다. 면적은 238.02㎢.
  • 통일 (統一) : 여러 가지 잡념을 버리고 마음을 한곳으로 모음.
  • 통장 (統長) : 행정 구역의 단위인 통(統)을 대표하여 일을 맡아보는 사람.
  • 통장 (統將) : 조선 시대에 둔, 무예별감의 으뜸 벼슬.
  • 통재 (統裁/統宰) : 통솔하여 재결(裁決)함.
  • 통제 (統制) : 일정한 방침이나 목적에 따라 행위를 제한하거나 제약함.
  • 통주 (統主) : 조선 시대에 둔, 민호의 편제 단위인 통의 책임자. 뒤에 통수(統首)로 고쳤다.
  • 통치 (統治) : 나라나 지역을 도맡아 다스림.
  • 통칭 (統稱) : 통틀어 가리킴. 또는 그런 이름.
  • 통토 (統土) : 국토를 통치하는 일.
  • 통할 (統轄) : 모두 거느려 다스림.
  • 통합 (統合) : 아동 및 학생의 생활 경험을 중심으로 학습을 종합하고 통일함. 또는 그런 일.
  • 통호 (統戶) : 통(統)과 호(戶)를 아울러 이르는 말.
  • 통환 (統還) : 조선 후기에, 통을 단위로 환곡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던 제도.
  • 학통 (學統) : 학문의 계통이나 계파.
  • 혈통 (血統) : 같은 핏줄의 계통.
  • 홍통 (洪統) : 황제의 계통이나 혈통.
  • 황통 (皇統) : 황제의 계통이나 혈통.
  • 계통도 (系統圖) : 사물의 계통 관계를 나타낸 그림.
  • 계통론 (系統論) : 언어 상호 간의 친족 관계를 밝혀 언어의 기원을 캐는 학문.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 계통보 (系統譜) : 계통을 밝혀 적은 책.
  • 계통성 (系統性) : 동일한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성질.
  • 계통수 (系統樹) : 진화에 의한 생물의 유연관계를 나무에 비유하여 나타낸 그림.
  • 계통적 (系統的) : 일정한 체계에 따라 관련되어 통일된 것.
  • 계통학 (系統學) : 생물의 진화 계통을 연구하는 학문.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생물의 유연관계를 조사하여 그 진화의 역사를 밝히고 이에 근거하여 분류상의 소속, 위치 따위를 정한다.
  • 대국통 (大國統) : 신라 때에 둔 승관(僧官)의 비상직(非常職). 국통 위에 두어 전국의 불교를 지도하고 총괄하게 하였다.
  • 대총통 (大總統) : 중화민국 원년(1912)부터 1925년까지 사용한 국가 원수의 칭호. 뒤에 총통으로 고쳤다.
  • 대통력 (大統曆) : 중국 명나라의 누각박사 원통(元統)이 만든 역법. 명나라에서 반포된 것은 1368년인데, 이 역법은 1384년에 역원을 홍무 17년으로 고쳐 정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공민왕 때 받아들여 효종 때까지 사용하였다.
  • 대통령 (大統領) : 외국에 대하여 국가를 대표하는 국가의 원수. 행정부의 실질적인 권한을 갖는 경우와 형식적인 권한만을 가지는 경우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전자에 속한다.
  • 도통사 (都統使) : 조선 후기에, 무위영을 통솔하던 장수.
  • 무통제 (無統制) : 통제되어 있지 아니함. 또는 그런 상태.
  • 부통령 (副統領) : 대통령 중심제 국가에서 대통령에 다음가는 직위. 또는 그 직위에 있는 사람. 대통령을 보좌하며 대통령의 유고 시에 그를 대리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없다.
  • 불통일 (不統一) : 통일이 되지 아니함.
  • 삼통력 (三統曆) : 기원전 104년 중국 전한의 성제(成帝) 때에 유흠이 만든 태음력. 19년마다 7회의 윤달을 두었다.
  • 선통제 (宣統帝) : 중국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1906~1967). 이름은 푸이(溥儀). 신해혁명으로 5년 만에 퇴위하였으며, 후에 만주국의 강덕제(康德帝)가 되었다. 재위 기간은 1908~1912년, 1934~1945년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統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樺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개

한자 樺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樺에 관한 단어는 모두 22개

  • 백화 (白樺) :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20~30미터이며, 나무껍질은 흰색이며 종이처럼 벗겨진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형의 달걀 모양이다. 4~5월에 단성화가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작은 견과(堅果)로 10월에 익는다. 나무껍질은 약용ㆍ유피용(鞣皮用)으로 쓰고 목재는 기구(器具)에 쓰며 산기슭의 풍치림의 조성에도 적당하다. 한국 북부와 일본, 중국,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 화류 (樺榴) : 자단(紫壇)의 목재. 붉은빛을 띠며, 결이 곱고 몹시 단단하여 건축ㆍ가구ㆍ미술품 따위의 고급 재료로 많이 쓴다.
  • 화목 (樺木) : 장미과의 가는잎벚나무, 개벚나무, 잔털벚나무, 털벚나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화색 (樺色) : 붉은빛을 띤 누런색.
  • 화촉 (樺燭) :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초.
  • 화피 (樺皮) : 벚나무의 껍질. 활을 만드는 데 쓴다.
  • 가화류 (假樺榴) : 화류 빛깔처럼 붉게 칠한 목재. 문갑이나 차반 따위를 만드는 데 쓴다.
  • 화다색 (樺茶色) : 낙엽의 빛깔과 같이 누런빛을 띤 붉은색.
  • 화류반 (樺榴盤) : 자단의 목재로 만든 소반.
  • 화류빗 (樺榴빗) : 자단의 목재로 만든 머리빗.
  • 화류장 (樺榴欌) : 자단의 목재로 만든 장롱.
  • 화피궁 (樺皮弓) : 벚나무의 껍질로 꾸민 활.
  • 화피색 (樺皮色) : 벚나무 껍질의 빛깔과 같이 붉은빛을 띤 누런색.
  • 화피전 (樺皮廛) : 채색하는 데 쓰는 물감이나 중국산 과실 따위를 벚나무 껍질인 화피에 싸서 팔던 가게.
  • 화류경대 (樺榴鏡臺) : 자단의 목재로 만든 경대.
  • 화태떡쑥 (樺太떡쑥)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6~25cm이고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꽃이 피지 않는 줄기에는 잎이 끝에 뭉쳐나고 꽃줄기에는 잎이 드문드문 난다. 한국의 백두산, 몽골, 시베리아,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 화피단장 (樺皮丹粧) : 벚나무의 껍질로 꾸민 활의 몸통 부분.
  • 화피장법 (樺皮粧法) : 벚나무의 껍질로 활 따위를 꾸미는 방법.
  • 화태쇠깨새 (樺太쇠깨새) : 쇠박새의 하나. 사할린, 쿠릴 열도 등지에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간혹 날아온다.
  • 화태쇠박새 (樺太쇠박새) : 쇠박새의 하나. 사할린, 쿠릴 열도 등지에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간혹 날아온다.
  • 화태쇠종다리 (樺太쇠종다리) : 쇠종다리의 하나. 우리나라에도 날아오는 이로운 새로 사할린이 원산지이다.
  • 화태황벽나무 (樺太黃檗나무) : 운향과의 낙엽 활엽 교목. 잎은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이고 가에 톱니가 있다. 5~6월에 녹색의 단성화(單性花)가 원추(圓錐) 화서로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로 10월에 익는다. 줄기는 건축재로 쓰고 나무껍질은 코르크용 또는 열매와 함께 약용한다. 한국의 중북부, 일본,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樺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