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17일 월요일

한자 作에 관한 단어는 모두 1612개

한자 作에 관한 단어는 모두 1612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作에 관한 단어는 모두 1612개

  • 작 (作) : '작하다'의 어근. (작하다: 언행을 부자연스럽게 지어서 하다.)
  • 작 (作) : '농사', '작황'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작황: 농작물이 잘되고 못된 상황.,농사: 곡류, 과채류 따위의 씨나 모종을 심어 기르고 거두는 따위의 일., 자녀를 낳아 기르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작 (作) : 물건을 팔아서 돈을 마련함.
  • 작 (作) : '작품', '저작', '제작'의 뜻을 나타내는 말.
  • 가작 (家作) : 자기 땅에 자기가 직접 농사를 지음.
  • 가작 (假作) : 완전하지 않게 임시적으로 만듦. 또는 그렇게 만든 것.
  • 가작 (佳作) : 예술 작품 따위의 대회에서, 당선 작품에 버금가는 작품.
  • 간작 (間作) : 한 농작물을 심은 이랑 사이에 다른 농작물을 심어 가꾸는 일.
  • 감작 (減作) : 농작물의 수확량이 줆.
  • 감작 (監作) : 고려 시대에, 선공시ㆍ도교서ㆍ액정국에 둔 구실아치.
  • 감작 (感作) : 생물체에 어떤 항원(抗原)을 넣어 그 항원에 대하여 민감한 상태로 만드는 일.
  • 갑작 (匣作) : 독을 굽는 데 쓰는 갑(匣)을 만드는 공장.
  • 강작 (強作) : 억지로 기운을 냄.
  • 개작 (改作) : 작품이나 원고 따위를 고쳐 다시 지음. 또는 그렇게 한 작품.
  • 개작 (開作) : 거친 땅이나 버려 둔 땅을 일구어 논밭이나 쓸모 있는 땅으로 만듦.
  • 객작 (客作) : 품삯을 받고 힘써 일함.
  • 거작 (巨作) : 규모가 크고 훌륭한 예술 작품.
  • 걸작 (傑作) : 매우 훌륭한 작품.
  • 결작 (結作) : 조선 후기에, 균역법의 실시에 따른 나라 재정의 부족을 메우기 위하여 논밭의 소유자에게 부과한 부가세.
  • 경작 (耕作) : 땅을 갈아서 농사를 지음.
  • 고작 (考作) : 깊이 생각하여 지음. 또는 그런 책.
  • 곤작 (困作) : 글을 애써 가며 더디 지음. 또는 그렇게 쓴 글.
  • 공작 (工作) : 조선 시대에, 공조(工曹)ㆍ상의원(尙衣院)ㆍ군기시 등에 속한 장인들에게 주던 종구품 잡직 벼슬.
  • 공작 (工作) : 어떤 목적을 위하여 미리 일을 꾸밈.
  • 과작 (寡作) : 작품 따위를 적게 지음.
  • 광작 (廣作) : 농사를 많이 지음.
  • 구작 (句作) : 시나 문장을 구법(句法)대로 지음.
  • 구작 (舊作) : 예전에 지었거나 만든 작품.
  • 귀작 (句作) : → 구작. (구작: 시나 문장을 구법(句法)대로 지음.)
  • 극작 (劇作) : 연극의 각본을 씀.
  • 근작 (近作) : 최근의 작품.
  • 금작 (今作) : 현대적인 방식으로 만듦.
  • 급작 (急作) : 시문 따위를 짧은 시간 안에 급히 지음.
  • 남작 (濫作) : 글이나 시 따위를 함부로 많이 지어 냄.
  • 노작 (勞作) : 힘을 들여 부지런히 일함.
  • 농작 (農作) : 음력 정월 보름날 궁중이나 민가에서 볏짚으로 곡식 이삭을 만들어 그해에 풍년이 들기를 빌던 일. 궁중에서는 좌우로 편을 나누고 솜씨를 겨루어 이긴 편에게 상을 주었다.
  • 다작 (多作) : 농산물이나 물품을 많이 생산함.
  • 단작 (單作) : 같은 땅에서 1년에 농작물을 한 번 심어 거둠. 또는 그런 방식.
  • 단작 (單作) : 술이 한 가닥인 노리개.
  • 달작 (達作) : 뛰어난 작품.
  • 대작 (代作) : 남을 대신하여 작품을 만듦. 또는 그런 작품.
  • 대작 (大作) : 국화 따위의 분재에서 가지를 많이 뻗게 하여 수십, 수백 송이의 꽃이 피게 만든 것. 철사 따위로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들어 그 위에 국화를 올린다.
  • 대작 (大作) : 바람, 구름, 아우성 따위가 크게 일어남.
  • 대작 (大作) : 규모나 내용이 큰 작품이나 제작.
  • 도작 (盜作) : 남의 작품 일부나 전부를 본떠서 자기가 지은 듯이 대강 고쳐서 자기 글로 만듦. 또는 그렇게 만든 작품.
  • 도작 (稻作) : 벼를 심어 가꾸고 거두는 일.
  • 독작 (獨作) : 혼자의 힘으로 만듦. 또는 그런 물건.
  • 동작 (動作) : 무술이나 춤 따위에서, 특정한 형식을 갖는 몸이나 손발의 움직임.
  • 동작 (東作) : 봄철에 농사를 시작함. 또는 그 농사.
  • 동작 (同作) : 같은 사람의 작품.
  • 말작 (末作) : 예전에, '상공업'을 농업에 상대하여 이르던 말. (상공업: 상업과 공업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맥작 (麥作) : 보리를 심어 가꾸고 수확하는 일.
  • 면작 (綿作) : 목화 농사.
  • 명작 (名作) : 이름난 훌륭한 작품.
  • 모작 (模作) : 남의 작품을 그대로 본떠서 만듦. 또는 그 작품.
  • 무작 (無作) :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이 아닌, 생멸의 변화를 초월한 것이라는 뜻으로, '열반'을 달리 이르는 말. (열반: 모든 번뇌의 얽매임에서 벗어나고, 진리를 깨달아 불생불멸의 법을 체득한 경지. 불교의 궁극적인 실천 목적이다., 승려가 죽음.)
  • 미작 (米作) : 벼를 심어 가꾸고 거두는 일.
  • 반작 (反作) : → 번작. (번작: 조선 후기에, 환곡 제도의 폐단 가운데 아전들이 환곡을 사사로이 써 버리고 그것을 메우기 위하여 농민에게서 강제로 금품을 거두어 분식(分食)하던 일.)
  • 반작 (半作) : 소출이 평년작에 비하여 반쯤 됨. 또는 그 정도의 소출.
  • 발작 (發作) : 어떤 병의 증세나 격한 감정, 부정적인 움직임 따위가 갑자기 세차게 일어남.
  • 배작 (輩作) : 문학 작품, 예술품 따위를 여러 사람이 함께 짓거나 만듦.
  • 번작 (反作) : 조선 후기에, 환곡 제도의 폐단 가운데 아전들이 환곡을 사사로이 써 버리고 그것을 메우기 위하여 농민에게서 강제로 금품을 거두어 분식(分食)하던 일.
  • 범작 (凡作) : 평범한 작품.
  • 변작 (變作) : 이미 이루어진 물체 따위를 다른 모양이나 다른 물건으로 바꾸어 만듦.
  • 병작 (竝作/幷作) : 지주가 소작인에게 소작료를 수확량의 절반으로 매기는 일.
  • 본작 (本作) : 말하는 이가 공식적인 자리에서 자기가 말하고 있는 작품을 이르는 말.
  • 부작 (符作) : '부적'의 변한말. (부적: 잡귀를 쫓고 재앙을 물리치기 위하여 붉은색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몸에 지니거나 집에 붙이는 종이.)
  • 분작 (分作) : 한 뙈기의 논밭을 서로 나누어서 농사를 지음.
  • 삼작 (三作) : 여자의 옷에 다는 장신구의 하나. 밀화(蜜花), 산호, 옥, 금, 은 따위로 만든 세 개의 노리개를 황색, 적색, 남색의 세 가닥 진사(眞絲) 끈에 맞추어 단 것으로 옷고름, 안 고름, 허리띠 따위에 매단다. 꾸밈과 크기에 따라 대삼작(大三作), 중삼작(中三作), 소삼작(小三作)으로 나눈다.
  • 상작 (上作) : 곡식이 썩 잘됨.
  • 세작 (細作) : 한 국가나 단체의 비밀이나 상황을 몰래 알아내어 경쟁 또는 대립 관계에 있는 국가나 단체에 제공하는 사람.
  • 소작 (小作) : 농토를 갖지 못한 농민이 일정한 소작료를 지급하며 다른 사람의 농지를 빌려 농사를 짓는 일.
  • 소작 (所作) : 어떤 사람의 제작. 또는 그 작품.
  • 수작 (秀作) : 우수한 작품.
  • 수작 (手作) : 손으로 만듦. 또는 그런 일.
  • 술작 (述作) : 글의 재료를 모아 저술함.
  • 습작 (習作) : 시, 소설, 그림 따위의 작법이나 기법을 익히기 위하여 연습 삼아 짓거나 그려 봄. 또는 그런 작품.
  • 시작 (始作) : 어떤 일이나 행동의 처음 단계를 이루거나 그렇게 하게 함. 또는 그 단계.
  • 시작 (時作) : 당시의 소작인.
  • 시작 (詩作) : 시를 지음. 또는 그 시.
  • 시작 (試作) : 시험 삼아 만들어 봄. 또는 그런 작품.
  • 신작 (新作) : 새로 작품 따위를 지어 만듦. 또는 그 작품.
  • 악작 (樂作) : 풍악을 시작함.
  • 악작 (惡作) : 이미 저지른 일을 후회함. 또는 그것을 뉘우치는 마음.
  • 안작 (贋作) : 어떤 물건을 속일 목적으로 꾸며 진짜처럼 만듦.
  • 역작 (力作) : 온 힘을 기울여 작품을 만듦. 또는 그 작품.
  • 연작 (聯作) : 한 작품을 여러 작가가 나누어 맡아서 짓는 일. 또는 그런 작품.
  • 연작 (連作) : 같은 땅에 같은 작물을 해마다 심어 가꾸는 일.
  • 영작 (營作) : 집 따위를 짓거나 물건을 만듦.
  • 영작 (英作) : 영어로 글을 지음.
  • 예작 (例作) : 신라 때에, 영선(營繕)에 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신문왕 때 처음 설치하였고 경덕왕 때 수례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환원되었다.
  • 오작 (仵作) : 지방 관아에 속하여 수령이 시체를 임검할 때에 시체를 주워 맞추는 일을 하던 하인.
  • 오작 (誤作) : 규격이나 규정에 맞지 아니하게 잘못 만듦. 또는 그런 작품.
  • 와작 (訛作) : 그릇되게 잘못 만들거나 지음.
  • 외작 (外作) : 예전에, 지주(地主)가 제 고장이 아닌 다른 곳에 있는 땅을 빌려주고 소작료를 받던 일.
  • 용작 (傭作) : 고용되어 일을 함.
  • 우작 (偶作) : 우연히 물건을 만듦. 또는 그 물건.
  • 우작 (愚作) : 자기의 작품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 원작 (原作) : 연극이나 영화의 각본으로 각색되거나 다른 나라의 말로 번역되기 이전의 본디 작품.


https://dict.wordrow.kr에서 作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渝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한자 渝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渝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 불투 (不渝) : 바뀌거나 변하지 아니하게 함.
  • 유맹 (渝盟) : 맹세한 언약을 저버림.
  • 유색 (渝色) : 빛이나 색이 바램.
  • 유주 (渝州) : 중국 수나라ㆍ당나라 때에, 지금의 쓰촨성(四川省) 바현(巴縣)을 중심으로 있었던 주.
  • 유파 (渝破) : 빛깔이 변하고 깨어져서 못 쓰게 됨.
  • 불투하다 (不渝하다) : 바뀌거나 변하지 아니하게 하다.
  • 유맹하다 (渝盟하다) : 맹세한 언약을 저버리다.
  • 유색하다 (渝色하다) : 빛이나 색이 바래다.
  • 유파하다 (渝破하다) : 빛깔이 변하고 깨어져서 못 쓰게 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渝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腺에 관한 단어는 모두 138개

한자 腺에 관한 단어는 모두 13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腺에 관한 단어는 모두 138개

  • 선 (腺) : 몸속에서 물질을 분비ㆍ배설하는 기능을 하는 세포들이 유기적으로 얽혀 있는 것.
  • 선 (腺) : '어떤 물질을 내보내는 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각선 (殼腺) : 하등 갑각류의 배설 기관.
  • 녹선 (綠腺) : 갑각류의 둘째 촉각의 밑부분에 있는 배설 기관의 하나.
  • 누선 (淚腺) : 눈물을 분비하는 샘. 눈알이 박혀 움푹 들어간 눈구멍의 바깥 위쪽 구석에 있다.
  • 독선 (毒腺) : 독성이 있는 물질을 분비하는 샘. 파충류ㆍ양서류ㆍ어류ㆍ곤충류ㆍ지네류ㆍ거미류 따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땀선 (땀腺) : 포유류에서, 땀을 만들어 몸 밖으로 내보내는 외분비샘. 체온을 조절하기 위하여 작용하며, 사람이나 말 따위에는 발달되어 있으나 개나 고양이에는 거의 발달되지 않았다.
  • 밀선 (蜜腺) : 꽃이나 잎 따위에서 단물을 내는 조직이나 기관.
  • 선모 (腺毛) : 식물과 곤충 따위의 몸 겉쪽에 있는 털. 식물은 줄기ㆍ잎ㆍ꽃ㆍ포(苞) 따위에 있고 곤충은 온몸에 있는데, 털뿌리에 독샘이 있어 독액이 흘러나온다. 끈끈이주걱 잎의 털, 토마토 줄기의 털, 독나방ㆍ송충이의 털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선병 (腺病) : '피부샘병'의 전 용어. (피부샘병: 결핵균에 의하여 피부에 통증이 없는 결절이나 궤양이 생기는 병.)
  • 선암 (腺癌) : '샘암'의 전 용어. (샘암: 위암이나 대장암 따위와 같이 샘세포에 생기는 암.)
  • 선역 (腺疫) : 말이나 당나귀 따위에 일어나는 급성 전염병. 턱의 림프샘이 붓고 기침을 하며 입맛을 잃는다.
  • 선열 (腺熱) : '전염단핵구증'의 전 용어. (전염 단핵구증: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감염 질환. 말초 혈액의 비정형 림프구가 증가하며 발열ㆍ인후통과 림프샘ㆍ지라의 비대를 일으킨다.)
  • 선위 (腺胃) : 조류의 식도 밑에 있는 위의 앞부분.
  • 선종 (腺腫) : '샘종'의 전 용어. (샘종: 샘세포가 증식하여 생기는 종양. 악성은 암으로 변하기도 한다.)
  • 설선 (舌腺) : 혀에 있는 점막의 깊은 곳에 있는 침샘.
  • 순선 (脣腺) : '순샘'의 전 용어. (순샘: 입술의 안쪽에서 점액과 장액을 분비하는 샘.)
  • 위선 (胃腺) : 위벽(胃壁) 속에 있는, 위액을 분비하는 소화샘.
  • 유선 (乳腺) : 유방(乳房) 속에 있는, 젖이 나오는 샘.
  • 장선 (腸腺) : 고등 척추동물의 소장 및 대장에 있는, 창자액을 분비하는 선(腺).
  • 축선 (軸腺) : 극피동물의 석관(石管)을 둘러싼 구조. 림프샘과 같은 구조인데 축적신(蓄積腎)의 기능을 가진다.
  • 취선 (臭腺) : 동물의 체내에서 악취가 나는 분비물을 분비하는 분비샘. 척추동물은 피부샘, 특히 피지샘이 특수화된 것으로 스컹크, 족제비 따위에 발달되어 있다.
  • 피선 (皮腺) : 동물의 표피에 분포하는 외분비샘을 통틀어 이르는 말. 피부의 지탱, 보호, 체온 조절, 물질의 대사 따위의 기능을 한다. 어류에는 점액샘, 포유류에는 땀샘ㆍ피지샘ㆍ젖샘 따위가 있다.
  • 한선 (汗腺) : 포유류에서, 땀을 만들어 몸 밖으로 내보내는 외분비샘. 체온을 조절하기 위하여 작용하며, 사람이나 말 따위에는 발달되어 있으나 개나 고양이에는 거의 발달되지 않았다.
  • 흉선 (胸腺) : 복장뼈의 뒤쪽에 있는 내분비샘. 신체 발육의 촉진과 성적 발육을 억제하는 호르몬을 분비한다.
  • 각기선 (脚基腺) : 거미 따위의 일부 절지동물에 있는 배설 기관. 종류에 따라 신구(腎口)가 없고 맹낭으로 끝나는 것도 있다.
  • 갑상선 (甲狀腺) : '갑상샘'의 전 용어. (갑상샘: 목 앞쪽에 있는 내분비샘. 갑상샘 호르몬을 분비하여 대사율을 조절한다.)
  • 관상선 (管狀腺) : 대롱 모양으로 생긴 외분비샘의 하나. 침샘 따위가 있다.
  • 구강선 (口腔腺) : '구강샘'의 전 용어. (구강샘: 입안의 점막 안이나 점막 아래에 있는 분비샘을 통틀어 이르는 말.)
  • 구개선 (口蓋腺) : 입천장에 있는 분비샘.
  • 난각선 (卵殼腺) : 조류나 파충류의 나팔관에서 난각을 분비하는 샘.
  • 난황선 (卵黃腺) : 편형동물에서, 수란관에 딸려 있는 여러 개의 샘. 난황이 없는 배세포에 영양을 주는 난황 세포를 만들며, 생식강 안에서 난각에 둘러싸여 복합란이 된다.
  • 누선염 (淚腺炎) : 눈물샘에 생기는 염증.
  • 동면선 (冬眠腺) : 겨울잠을 자는 포유류나 갓난아이의 어깨뼈에 붙어 있는 지방 조직. 곰, 다람쥐, 고슴도치 따위나 갓난아이에 있는데, 겨울잠에서 깰 때 혹은 굶주렸을 때 몸에 에너지를 공급하게 한다.
  • 림프선 (lymph腺) : '림프샘'의 전 용어. (림프샘: 포유류의 림프관에 있는 둥글거나 길쭉한 모양의 부푼 곳. 림프구ㆍ대식 세포 따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림프에 섞인 병원균이 옮겨 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 먹물선 (먹물腺) : 문어나 낙지 따위에서, 먹물주머니 안에 있는 먹물을 분비하는 기관.
  • 부속선 (附屬腺) : 어떤 기관(器官)에 딸려 있는 샘. 특히 곤충의 웅성(雄性) 생식 기관에 딸린 분비샘을 이른다.
  • 분비선 (分泌腺) : 몸속에서 물질을 분비ㆍ배설하는 기능을 하는 세포들이 유기적으로 얽혀 있는 것.
  • 사향선 (麝香腺) : 사향노루의 수컷이나 사향고양이 따위의 생식샘 부근에 있는 달걀 모양의 분비샘. 번식기에만 발달하는데 사향을 분비하여 이성(異性)을 유인하는 구실을 한다. 말려서 사향 또는 영묘향을 만든다.
  • 생식선 (生殖腺) : 배우자를 형성하는 기관. 수컷에서는 정소, 암컷에서는 난소를 말하는데, 척추동물이 이곳에서 성호르몬을 분비하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게 되었다.
  • 서혜선 (鼠蹊腺) : '샅고랑림프샘'의 전 용어. (샅고랑 림프샘: 샅고랑 바로 아래에 무리 지어 있는 림프샘. 근막 표면 쪽에 많이 있고 깊은 쪽에 몇 개가 있다.)
  • 선근증 (腺筋症) : '샘근육증'의 전 용어. (샘근육증: 자궁, 자궁관 또는 그 부근의 조직에 자궁 속막과 비슷한 조직이 증식되는 병.)
  • 선병질 (腺病質) : 피부샘병의 경향이 있는 약한 체질. 신경질을 이르기도 한다.
  • 선세포 (腺細胞) : '샘세포'의 전 용어. (샘세포: 동물의 조직 안에서 샘의 기능이 활발한 세포.)
  • 설하선 (舌下腺) : 혀 아래 점막의 밑에 있는 침샘.
  • 소화선 (消化腺) : 소화액을 분비하는 샘을 통틀어 이르는 말. 침샘, 간, 이자, 위샘, 창자샘 따위이다.
  • 송과선 (松果腺) : '솔방울샘'의 전 용어. (솔방울샘: 좌우 대뇌 반구 사이 셋째 뇌실의 뒷부분에 있는 솔방울 모양의 내분비 기관. 생식샘 자극 호르몬을 억제하는 멜라토닌을 만들어 낸다.)
  • 식도선 (食道腺) : 식도의 점막 밑 조직 사이에 있는 소화샘. 주로 점액을 분비하는데, 식도를 미끄럽게 하는 작용을 한다.
  • 악하선 (顎下腺) : 아래턱뼈 바닥의 뒤쪽 아래에 있는 침샘. 턱밑샘관을 통하여 침이 혀밑으로 분비된다.
  • 양성선 (兩性腺) : 정자와 난자가 함께 생기는 생식소. 연체동물문 복족류에서 볼 수 있다.
  • 위저선 (胃底腺) : 위의 아랫부분과 위 전체에 걸쳐 있는 수많은 소화샘.
  • 유륜선 (乳輪腺) : 젖꽃판 표면에 작고 둥글게 솟은 곳을 이루는 샘. 젖샘과 땀샘의 중간 구조이며 젖빛 물질을 분비한다.
  • 유선암 (乳腺癌) : 유방에 생기는 암. 초기에는 통증이 없이 잘 움직이는 멍울이 만져지다가, 차츰 이 멍울이 피부에 유착하면서 외관의 변화가 일어나고, 더욱 진행하면 궤양과 통증이 따른다.
  • 유선염 (乳腺炎) : 젖꼭지에 생긴 상처로 화농균이 침입하여 일어나는 젖샘의 염증. 젖샘이 부어 빨개지고 통증이 심하다.
  • 유선증 (乳腺症) : 유방 속에 염증성도 아니고 진성 종양도 아닌 응어리가 생겨 가벼운 압통(壓痛)이 있는 양성의 유방 질환군. 성호르몬 대사의 변조가 원인이며, 30~50세의 여성에게 많고 유방암으로 이행하는 일이 있다.
  • 이하선 (耳下腺) : 귓바퀴 앞의 아래쪽에 있는 사각뿔처럼 생긴 침샘. 분비관은 위쪽 둘째 어금니 건너 뺨 쪽으로 열린다. 여기서 나오는 침은 점액(粘液)이 들어 있지 않아 물 같으며, 단백질과 효소가 풍부하다.
  • 임파선 (淋巴腺) : '림프선'의 음역어. (림프선: '림프샘'의 전 용어.)
  • 장액선 (漿液腺) : 액체를 분비하는 샘. 효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 전립선 (前立腺) : '전립샘'의 전 용어. (전립샘: 남성 생식 기관의 요도가 시작되는 부위를 둥글게 둘러싸는 장기. 정액의 액체 성분을 이루는 유백색의 액체를 요도로 분비하여 정자의 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 전흉선 (前胸腺) : 곤충의 앞가슴부에 있는 내분비 기관. 변태, 탈피 따위에 관계하는 호르몬을 분비한다.
  • 점액선 (粘液腺) : 점액을 분비하는 외분비샘.
  • 정낭선 (精囊腺) : 남자 생식 기관의 한 부분. 길쭉한 막성(膜性)의 주머니로, 정관의 끝에 위치하며 정액을 생산한다.
  • 중장선 (中腸腺) : 고등 무척추동물의 중장에 연결된 덩어리 또는 송이 모양의 기관. 여러 갈래로 갈라진 관의 세포가 세포 내 소화를 담당하고 소화 효소를 분비하는 기능을 한다.
  • 촉각선 (觸角腺) : 갑각류의 둘째 촉각의 밑부분에 있는 배설 기관의 하나.
  • 취액선 (臭液腺) : 동물의 체내에서 악취가 나는 분비물을 분비하는 분비샘. 척추동물은 피부샘, 특히 피지샘이 특수화된 것으로 스컹크, 족제비 따위에 발달되어 있다.
  • 타액선 (唾液腺) : 침을 내보내는 샘.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 따위가 있다.
  • 탈피선 (脫皮腺) : 탈피하기 쉽게 하는 액(液)을 내는 샘. 탈피하는 동물의 표피 속에 있다.
  • 토사선 (吐絲腺) : 거미, 나비, 누에나방, 벌 따위의 곤충의 애벌레에 발달되어 있는 한 쌍의 분비 기관. 고치나 집을 짓기 위한 실을 분비한다.
  • 편도선 (扁桃腺) : '편도샘'의 전 용어. (편도샘: 림프 조직이 모여 둥글고 작은 덩어리를 이룬 것. 목구멍 편도, 혀 편도 따위가 있다.)
  • 피부선 (皮膚腺) : '피부샘'의 전 용어. (피부샘: 동물의 표피에 분포하는 외분비샘을 통틀어 이르는 말. 피부의 지탱, 보호, 체온 조절, 물질의 대사 따위의 기능을 한다. 어류에는 점액샘, 포유류에는 땀샘ㆍ피지샘ㆍ젖샘 따위가 있다.)
  • 피지선 (皮脂腺) : 진피(眞皮)에 있는 분비선. 모낭의 옆에 있으며, 지방을 분비하여 표피와 모발에 광택ㆍ유연성ㆍ탄력성을 준다.
  • 항문선 (肛門腺) : 설치류 따위의 항문 부근에서, 강한 향기나 악취를 분비하는 선(腺). 족제비나 스컹크 따위는 특히 심한 악취를 뿜는다.
  • 갑상선암 (甲狀腺癌) : '갑상샘암'의 전 용어. (갑상샘암: 갑상샘에 발생하는 암을 통틀어 이르는 말. 90% 이상이 발육이 느린 암이다.)
  • 갑상선염 (甲狀腺炎) : '갑상샘염'의 전 용어. (갑상샘염: 갑상샘에 생기는 염증.)
  • 갑상선종 (甲狀腺腫) : '갑상샘종'의 전 용어. (갑상샘종: 갑상샘의 일부 또는 전체가 커지는 종양을 통틀어 이르는 말. 대개 목 앞이 두드러지게 불룩해진다.)
  • 경동맥선 (頸動脈腺) : '목동맥토리'의 전 용어. (목동맥토리: 온목동맥이 속목동맥과 바깥 목동맥으로 갈라지는 부분 뒤쪽에 있는 쌀알만 한 크기의 신경 혈관 덩어리. 동맥피의 화학 수용기로 산소가 낮거나 이산화 탄소가 높을 때 자극을 받아 혈압과 호흡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 내분비선 (內分泌腺) : '내분비샘'의 전 용어. (내분비샘: 분비물을 도관(導管)을 거치지 아니하고 직접 몸속이나 핏속으로 보내는 샘. 부신(副腎), 뇌하수체, 갑상샘, 생식샘 따위가 있다.)
  • 다세포선 (多細胞腺) : 외분비샘 가운데 두 개 이상의 분비샘이 모여서 이루어진 샘.
  • 단세포선 (單細胞腺) : 상피 세포 사이에 산재하는 분비 세포.
  • 대전정선 (大前庭腺) : 여성 성기의 소음순의 안쪽, 질 입구의 양쪽에 있는 완두콩 모양의 점액 분비선, 성교할 때 윤활유 구실을 하는 점액을 분비한다.
  • 림프선염 (lymph腺炎) : '림프샘염'의 전 용어. (림프샘염: 세균이나 독소의 침입으로 림프샘에 생기는 염증. 목, 사타구니, 다리 따위에 잘 생기는데 외부에서 만져도 알 수 있다.)
  • 마이봄선 (Meibom腺) : 눈꺼풀에서 지방을 분비하는 샘. 이곳에서 액체가 나와 눈알이나 눈꺼풀의 움직임을 매끄럽게 하는데, 막히면 다래끼가 생긴다. 독일의 해부학자 마이봄(Meibom, H)이 발견하였다.
  • 멜리스선 (Mehlis腺) : 편형동물의 난소에 딸려 있는 선 모양의 기관. 난각을 만드는 데 필요한 물질을 내보낸다.
  • 부갑상선 (副甲狀腺) : '부갑상샘'의 전 용어. (부갑상샘: 갑상샘의 뒤에 있는 네 개의 내분비 기관. 혈액 속의 칼슘이나 인의 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 선페스트 (腺pest) : '가래톳페스트'의 전 용어. (가래톳 페스트: 페스트균에 감염되어 림프샘이 붓고 아픈 병. 페스트에 걸린 쥐나 페스트 환자를 물었던 일본쥐벼룩에 물려서 옮는데, 균이 발생시킨 독소가 간이나 지라에 퍼져 의식 혼탁과 심장 쇠약 증상이 나타나며, 1주일 안에 사망한다.)
  • 송과선종 (松果腺腫) : 솔방울샘에 생기는 종양. 머리가 커지고 걸음에 이상이 오며 사춘기가 빨리 온다.
  • 쌍선충강 (雙腺蟲綱) : 선형동물문의 한 강. 몸에는 2~4층의 각피가 있으며 홈이 나 있다. 머리 부분에는 구멍 또는 유두 모양의 감각 기관이 있다. 수컷은 꼬리에 유두가 있다. 대개가 지상의 흙 속에 산다.
  • 외분비선 (外分泌腺) : '외분비샘'의 전 용어. (외분비샘: 관을 통하여 표피의 표면으로 분비물을 운반하는 샘. 일반적으로 분비물을 내보내는 배출관을 갖추고 있으며 소화샘, 땀샘, 젖샘이나 거미와 누에의 견사샘 따위가 있다.)
  • 이하선염 (耳下腺炎) : 바이러스나 세균으로 귀밑샘에 생기는 염증. 귀밑샘이 붓는 것이 주된 증상이다.
  • 전립선암 (前立腺癌) : '전립샘암'의 전 용어. (전립샘암: 전림샘에 생기는 암종. 성호르몬의 균형이 무너지면서 발생하고 진행이 촉진되는 것으로 보이며 50세 이상의 남자에게 많다. 배뇨 장애, 콩팥 기능 장애, 신경통 따위가 생기며 뼈에 전이되기 쉽다.)
  • 전립선염 (前立腺炎) : '전립샘염'의 전 용어. (전립샘염: 전립샘에 생기는 염증. 방광염, 요도염, 편도염 따위의 다른 부위에 생긴 염증으로 인하여 발생하며, 국부에 동통이 있고 오줌이 잦아진다.)
  • 전립선증 (前立腺症) : '전립샘증'의 전 용어. (전립샘증: 방광 경부에 탈이 나서 배뇨가 어려워지는 여러 가지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예를 들어 전립샘 비대증, 전립샘암. 만성 전립샘염 따위가 있다.)
  • 전분비선 (全分泌腺) : '완전분비샘'의 전 용어. (완전 분비샘: 외분비샘의 하나. 한 번의 분비가 끝나면 샘세포가 사멸되어, 세포 자체가 분비물과 함께 분비된다. 피지샘이 이에 속한다.)
  • 타액선염 (唾液腺炎) : '침샘염'의 전 용어. (침샘염: 침샘에 생기는 염증.)
  • 편도선염 (扁桃腺炎) : '편도염'의 전 용어. (편도염: 편도에 생기는 염증. 감기에 걸리거나 환절기가 되었을 때에, 과로 따위의 이유로 생긴다. 편도가 벌겋게 붓고 음식물을 넘기기 힘들게 된다.)
  • 피부선병 (皮膚腺病) : '피부샘병'의 전 용어. (피부샘병: 결핵균에 의하여 피부에 통증이 없는 결절이나 궤양이 생기는 병.)
  • 하르더선 (Harder腺) : 파충류, 상어류, 조류 따위와 같이, 순막(瞬膜)이 발달한 동물의 눈 안에 있는 샘. 눈물샘과 같이 액체를 분비하여 안구(眼球)의 표면을 적시고 각막과 순막의 마찰을 부드럽게 한다.
  • 헤도닉선 (hedonic腺) : 유미류 또는 파충류의 일부에서 볼 수 있는 향기샘. 발정기 때 사향과 비슷한 물질을 분비한다.
  • 바르톨린선 (Bartholin腺) : '큰질어귀샘'의 전 용어. (큰질어귀샘: 여성 성기의 소음순의 안쪽, 질 입구의 양쪽에 있는 완두콩 모양의 점액 분비선, 성교할 때 윤활유 구실을 하는 점액을 분비한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腺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