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27일 목요일

량민오착: 良民誤捉

량민오착 (良民誤捉) : (1)죄 없는 사람을 잘못 잡음. (2)'양민오착'의 북한어.



良民誤捉 한자 뜻 풀이

  • 良(좋을 량) : 좋다, 무덤, 도깨비, 망량(罔兩), 잘. 좋고 진실된 의미에서 '어질다'는 뜻을 생성함.
  • 民(백성 민) : 백성, 어둡다, 다스림을 받는 사람들, 어리석음. 칼로 눈을 찌르는 모양인데, 고대 전재 포로를 노예로 만들기 위해 사용한 것에서 만듦. 낮은 계급의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 誤(그릇할 오) : 그릇하다, 그릇되게 하다, 미혹(迷惑)되게 하다, 잘못, 미혹(迷惑). 말을 화려하게 해서 사람을 미혹시키다는 의미에서 '그릇되다'는 뜻 생성
  • 捉(잡을 착) : 잡다. 손을 뻗쳐 따라 붙어 '잡는다'의 의미 생성. 足은 발음 역할도 함


[捉] 잡을 착 (잡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포풍착영 획순 이미지 포풍착영(捕風捉影) : 바람을 잡고 그림자를 붙든다는 뜻으로, 믿음직하지 않고 허황한 언행을 이르는 말. [ (: 잡을 포) (: 바람 풍) (: 잡을 착) (: 그림자 영) ]
  • 량민오착(良民誤捉) : (1)죄 없는 사람을 잘못 잡음. (2)'양민오착'의 북한어. [ (: 백성 민) (: 그릇할 오) (: 잡을 착) ]
  • 대인착도(代人捉刀) : 남을 대신(代身)하여 일을 함. [ (: 대신 대) (: 사람 인) (: 잡을 착) (: 칼 도) ]

[民] 백성 민 (백성, 어둡다, 다스림을 받는 사람들, 어리석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고지민 획순 이미지 태고지민(太古之民) : 아득한 옛적의 순박한 백성. [ (: 클 태) (: 예 고) (: 갈 지) (: 백성 민) ]
  • 부국안민(富國安民) : 나라를 넉넉하게 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백성들을 편안하게 안정시킨다는 의미. [ (: 가멸 부) (: 나라 국) (: 편안할 안) (: 백성 민) ]
  • 생민지시만복지원(生民之始萬福之原) : 백성(百姓)을 태어나게 하는 시초(始初)요, 일만가지 복의 근원(根源)임. [ (: 날 생) (: 백성 민) (: 갈 지) (: 처음 시) (: 일만 만) (: 복 복) (: 갈 지) (: 언덕 원) ]
  • 경천근민(敬天勤民) :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위하여 부지런히 일함. [ (: 공경 경) (: 하늘 천) (: 부지런할 근) (: 백성 민) ]

[良] 좋을 량 (좋다, 무덤, 도깨비, 망량(罔兩), 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양이천석 획순 이미지 양이천석(良二千石) : 선정(善政)을 베푸는 지방 장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한(漢)나라 때에 태수(太守)의 연봉이 이천 석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 (: 두 이) (: 일천 천) (: 돌 석) ]
  • 량민오착(良民誤捉) : (1)죄 없는 사람을 잘못 잡음. (2)'양민오착'의 북한어. [ (: 백성 민) (: 그릇할 오) (: 잡을 착) ]
  • 정금양옥(精金良玉) : 정교하게 다듬은 금과 아름다운 옥이라는 뜻으로, 인품이나 시문이 맑고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 정미할 정) (: 쇠 금) (: 구슬 옥) ]
  • 대안불식사득량찬(對案不食思得良饌) : 밥상을 대하고서 잡수시지 않으면 좋은 음식(飮食) 얻을 것을 생각함. [ (: 대답할 대) (: 책상 안) (: 아니 불) (: 밥 식) (: 생각할 사) (: 얻을 득) (: 좋을 량) (: 반찬 찬) ]
  • 상유양심(尙有良心) : 악한 일을 한 사람에게도 양심은 남아 있다는 뜻으로, 바르게 인도할 여지가 있음을 이르는 말. [ (: 오히려 상) (: 있을 유) (: 마음 심) ]

[誤] 그릇할 오 (그릇하다, 그릇되게 하다, 미혹(迷惑)되게 하다, 잘못, 미혹(迷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총명자오 획순 이미지 총명자오(聰明自誤) : 총명(聰明)하기 때문에 스스로 일생(一生)을 그르침. [ (: 귀밝을 총) (: 밝을 명) (: 스스로 자) (: 그릇할 오) ]
  • 량민오착(良民誤捉) : (1)죄 없는 사람을 잘못 잡음. (2)'양민오착'의 북한어. [ (: 백성 민) (: 그릇할 오) (: 잡을 착) ]
  • 오자낙서(誤字落書) : 글자를 잘못 쓰거나 빠뜨리고 쓰는 일. 또는 그 글자. [ (: 그릇할 오) (: 글자 자) (: 글 서) ]
  • 다우지인당사무오(多友之人當事無誤) : 벗이 많은 사람은 일을 당(當)하여 그르침이 없음. [ (: 많을 다) (: 벗 우) (: 갈 지) (: 사람 인) (: 마땅할 당) (: 일 사) (: 없을 무) (: 그릇할 오) ]
  • 노어지오(魯魚之誤) : 노(魯) 자와 어(魚) 자가 비슷하여 틀리기 쉽다는 데서, 글씨를 잘못 쓰기 쉬움을 이르는 말. [ (: 고기 어) (: 갈 지) (: 그릇할 오) ]

[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연시매최 획순 이미지 연시매최(年矢每催) : 화살같이 매양 재촉함. [ (: 화살 시) (: 매양 매) (: 재촉할 최) ]
  • 망양지탄(望洋之嘆) : 망양지탄(望洋之歎). [ (: 바랄 망) (: 바다 양) (: 갈 지) (: 탄식할 탄) ]
  • 양상도회(梁上塗灰) : (1)'양상도회'의 북한어. (2)들보 위에 회(灰)를 바른다는 뜻으로, 얼굴에 분을 많이 바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위 상) (: 진흙 도) (: 재 회) ]

[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다발장리 획순 이미지 다발장리(多發將吏) : 조선 시대에, 수령이 죄인을 잡으려고 많은 수의 포교(捕校)와 사령(使令)을 보내던 일. [ (: 많을 다) (: 필 발) (: 장수 장) (: 벼슬아치 리) ]
  • 개개복초(個個服招) : 죄를 낱낱이 자백함. [ (: 낱 개) (: 낱 개) (: 옷 복) (: 부를 초) ]
  • 호천불문(呼天不聞) : 하늘을 불러도 듣지 않는다는 뜻으로, 하늘을 부르며 죄의 억울함을 하소연하여도 하늘에 들리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 부를 호) (: 하늘 천) (: 아니 불) (: 들을 문) ]
  • 축조발명(逐條發明) : 조목조목 따져 가면서 죄가 없음을 변명함. [ (: 쫓을 축) (: 가지 조) (: 필 발) (: 밝을 명) ]
  • 대역무도(大逆無道) : 임금이나 나라에 큰 죄를 지어 도리에 크게 어긋나 있음. 또는 그런 짓. [ (: 큰 대) (: 거스를 역) (: 없을 무) (: 길 도) ]

[사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 획순 이미지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귀신 귀) (: 서로 상) (: 반 반) ]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 혼비중천(魂飛中天)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 넋 혼) (: 날 비) (: 가운데 중) (: 하늘 천) ]
  • 삼익우(三益友)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 석 삼) (: 더할 익) (: 벗 우) ]

[양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량민오착 획순 이미지 량민오착(良民誤捉) : (1)죄 없는 사람을 잘못 잡음. (2)'양민오착'의 북한어. [ (: 백성 민) (: 그릇할 오) (: 잡을 착) ]
  • 압량위천(壓良爲賤) : 양민을 억눌러서 강제로 종으로 삼음. [ (: 누를 압) (: 좋을 량) (: 할 위) (: 천할 천) ]
  • 양순음위(陽順陰違) : 겉으론 순하면서 속으론 어긴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양민(良民)을 가장하고 남이 보지 않는 곳에서는 나쁜 짓을 행하는 도적(盜賊)이나 비적(匪賊) 따위를 이르는 말. [ (: 볕 양) (: 순할 순) (: 응달 음) (: 어길 위) ]

[잡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량민오착 획순 이미지 량민오착(良民誤捉) : (1)죄 없는 사람을 잘못 잡음. (2)'양민오착'의 북한어. [ (: 백성 민) (: 그릇할 오) (: 잡을 착) ]
  • 삼도득신(三度得伸) : 송사(訟事)에서 초심(初審), 재심(再審), 삼심(三審)을 계속하여 승소하는 일. [ (: 석 삼) (: 법도 도) (: 얻을 득) (: 펼 신) ]
  • 만경출사(萬頃出師) : 포교(捕校)가 정처 없이 돌아다니면서 죄인(罪人)을 잡음. [ (: 일만 만) (: 밭넓이 경) (: 날 출) (: 스승 사) ]
  • 등시포착(登時捕捉) : 죄를 저지른 범인을 현장에서 붙잡음. [ (: 오를 등) (: 때 시) (: 잡을 포) (: 잡을 착) ]
  • 망타(網打) : 어떤 무리를 한꺼번에 모조리 다 잡음을 이르는 말. [ (: 그물 망) (: 칠 타)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