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20일 목요일

담석지저: 儋石之儲

담석지저 (儋石之儲) : 얼마 되지 아니하는 저축.



儋石之儲 한자 뜻 풀이

  • 儋(멜 담) : 메다, 독, 두 섬, 어깨에 멤, 항아리.
  • 石(돌 석) : 돌, 돌로 만든 악기, 비석, 돌침, 약. 벼랑에서 돌을 떼어내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석재(石材)'의 의미 생성
  • 之(갈 지)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儲(쌓을 저) : 쌓다, 버금, 태자, 마련하다, 저축함.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살활지권 획순 이미지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 목 벨 문) (: 목 경) (: 갈 지) (: 벗 우)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 자신지책(自身之策) : 자기(自己) 한 몸의 생활(生活)을 꾀해 나갈 계책(計策). [ (: 스스로 자) (: 몸 신) (: 갈 지) (: 꾀 책) ]

[儋] 멜 담 (메다, 독, 두 섬, 어깨에 멤, 항아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담석지저 획순 이미지 담석지저(儋石之儲) : 얼마 되지 아니하는 저축. [ (: 멜 담) (: 돌 석) (: 갈 지) (: 쌓을 저) ]
  • 담석(儋石) : (1)한두 섬의 곡식이라는 뜻으로, 얼마 되지 않는 곡식을 이르는 말. (2)얼마 되지 않는 분량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멜 담) (: 돌 석) ]
  • 담석지록(儋石之祿) : 얼마 되지 아니하는 봉록. [ (: 멜 담) (: 돌 석) (: 갈 지) (祿: 복 록) ]

[儲] 쌓을 저 (쌓다, 버금, 태자, 마련하다, 저축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담석지저 획순 이미지 담석지저(儋石之儲) : 얼마 되지 아니하는 저축. [ (: 멜 담) (: 돌 석) (: 갈 지) (: 쌓을 저) ]

[石] 돌 석 (돌, 돌로 만든 악기, 비석, 돌침, 약)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양이천석 획순 이미지 양이천석(良二千石) : 선정(善政)을 베푸는 지방 장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한(漢)나라 때에 태수(太守)의 연봉이 이천 석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 (: 두 이) (: 일천 천) (: 돌 석) ]
  • 연석보천(鍊石補天) : 돌을 다루어 무너진 하늘을 수리(修理)한다는 뜻으로, 큰 공격(攻擊)을 세움을 이르는 말. [ (: 돌 석) (: 기울 보) (: 하늘 천) ]
  • 타산지석(他山之石) : 다른 산의 나쁜 돌이라도 자신의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본이 되지 않은 남의 말이나 행동도 자신의 지식과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 <소아(小雅)>에 나오는 말이다. [ (: 다를 타) (: 메 산) (: 갈 지) (: 돌 석) ]
  • 가무담석(家無擔石) : 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조금도 없다는 말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 [ (: 집 가) (: 없을 무) (: 멜 담) (: 돌 석) ]
  • 사석지지(沙石之地) : 모래와 돌이 많은 거칠고 메마른 땅. [ (: 모래 사) (: 돌 석) (: 갈 지) (: 땅 지) ]

[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담석지저 획순 이미지 담석지저(儋石之儲) : 얼마 되지 아니하는 저축. [ (: 멜 담) (: 돌 석) (: 갈 지) (: 쌓을 저) ]
  • 감사도배(減死島配) : 죽을죄를 지은 죄인을 처형하는 대신 섬으로 귀양 보내던 일. [ (: 덜 감) (: 죽을 사) (: 섬 도) (: 짝 배) ]
  • 무인고도(無人孤島) :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이 살지 않는 외딴섬. [ (: 없을 무) (: 사람 인) (: 외로울 고) (: 섬 도) ]
  • 담석지록(儋石之祿) : 얼마 되지 아니하는 봉록. [ (: 멜 담) (: 돌 석) (: 갈 지) (祿: 복 록) ]

[변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담석지저 획순 이미지 담석지저(儋石之儲) : 얼마 되지 아니하는 저축. [ (: 멜 담) (: 돌 석) (: 갈 지) (: 쌓을 저) ]
  • 양두구육(羊頭狗肉) :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보기만 그럴듯하게 보이고 속은 변변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 양 양) (: 머리 두) (: 개 구) (: 고기 육) ]
  • 조강(糟糠) : (1)지게미와 쌀겨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변변치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2)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3)교만한 승려나 거친 교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지게미 조) (: 겨 강) ]
  • 박주산채(薄酒山菜) : (1)맛이 변변하지 못한 술과 산나물. (2)자기가 내는 술과 안주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 (: 엷을 박) (: 술 주) (: 메 산) (: 나물 채) ]
  • 박물세고(薄物細故) : 아주 자질구레하고 변변하지 못한 사물. [ (: 엷을 박) (: 만물 물) (: 가늘 세) (: 예 고) ]

[얼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척촌지리 획순 이미지 척촌지리(尺寸之利) : 얼마 되지 않는 약간의 이익. [ (: 자 척) (: 마디 촌) (: 갈 지) (: 날카로울 리) ]
  • 조출모입(朝出暮入) : (1)날마다 아침에 일찍 나갔다가 저녁에 늦게 들어온다는 뜻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얼마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사물이 항상 바뀌어 정체됨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아침 조) (: 날 출) (: 저물 모) (: 들 입) ]
  • 담석지저(儋石之儲) : 얼마 되지 아니하는 저축. [ (: 멜 담) (: 돌 석) (: 갈 지) (: 쌓을 저) ]
  • 척촌지공(尺寸之功) : 얼마 되지 않는 약간의 공로. [ (: 자 척) (: 마디 촌) (: 갈 지) (: 공 공) ]
  • 백수잔년(白首殘年) : 늙어서 머리가 세고 살날이 얼마 남지 않음. [ (: 흰 백) (: 머리 수) (: 해칠 잔) (: 해 년)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