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30일 화요일

한자 焦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9개

한자 焦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焦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9개

  • 삼초 (三焦/三膲) : 인체의 수분 대사를 관장하는 기관.
  • 상초 (上焦) : 삼초(三焦)의 하나. 가로막 위의 부위로 심(心)과 폐(肺)를 포함한다.
  • 순초 (脣焦) : 입술이 바싹 마르고 타는 증상.
  • 중초 (中焦) : 삼초(三焦)의 하나. 가로막 아래로부터 배꼽 이상의 부위로 비(脾)와 위(胃)의 장부(臟腑)를 포함한다.
  • 초급 (焦急) : '초급하다'의 어근. (초급하다: 시간 여유가 없이 매우 급하다., 초조하고 불안하다.)
  • 초란 (焦爛) : 불에 데어 살갗 따위가 부풀어 오름.
  • 초려 (焦慮) : 애를 태우며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 초로 (焦勞) : 마음을 태우고 애씀.
  • 초면 (焦面) : 한 점에서 나온 빛이 광학계의 수차(收差)에 의하여 상(像) 쪽에서 한 점으로 집속(集束)하지 않을 때에 초점 전체가 만드는 곡면.
  • 초미 (焦眉) : 눈썹에 불이 붙었다는 뜻으로, 매우 급함을 이르는 말. 불교의 ≪오등회원(五燈會元)≫에 나오는 말이다.
  • 초민 (焦悶) : 속이 타도록 몹시 고민함. 또는 그런 고민.
  • 초사 (焦思) : 애를 태우며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 초순 (焦脣) : 입술을 태운다는 뜻으로, 몹시 애태움을 이르는 말.
  • 초심 (焦心) : 마음을 졸여서 태움.
  • 초열 (焦熱) : 타는 듯한 더위.
  • 초우 (焦憂) : 몹시 걱정함.
  • 초작 (焦灼) : 불에 타거나 태움.
  • 초점 (焦點) : 사람들의 관심이나 주의가 집중되는 사물의 중심 부분.
  • 초조 (焦燥) : 애가 타서 마음이 조마조마함.
  • 초초 (焦憔) : 애를 태우며 근심함.
  • 초취 (焦臭) : 음식 따위가 눋다가 타게 되어 나는 냄새.
  • 초토 (焦土) : 불에 타서 검게 그을린 땅.
  • 하초 (下焦) : 삼초(三焦)의 하나. 배꼽 아래의 부위로 콩팥, 방광, 대장, 소장 따위의 장기(臟器)를 포함한다.
  • 고초일 (枯焦日) : 책력으로 오행을 풀어 길흉을 매기던 날의 하나. 이날에 씨앗을 뿌리면 씨앗이 말라 싹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 먼초점 (먼焦點) : 타원 궤도에서, 주 초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점.
  • 삼초갈 (三焦竭) : 삼초의 기능과 작용이 약해지는 증상.
  • 삼초경 (三焦驚) : 십이 경맥의 하나. 넷째 손가락 끝에서 시작하여 삼초(三焦)에 속하고 심포(心包)에 이어진다.
  • 삼초병 (三焦病) : 삼초의 기능 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병. 헛배가 부르며 더부룩하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며 심하면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하며 부종이 생긴다.
  • 삼초비 (三焦祕) : 삼초의 기능 장애로 생긴 변비.
  • 삼초수 (三焦腧) : 족태양방광경에 속하는 혈(穴). 제1허리뼈 극상 돌기와 제2허리뼈 극상 돌기 사이에서 양옆으로 각각 두 치 밖으로 있다.
  • 삼초해 (三焦咳) : 삼초의 기능 장애로 생긴 기침. 기침을 하고, 배가 그득해지며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는다.
  • 상초열 (上焦熱) : 상초에 열이 있는 증상. 목구멍이 붓고 입안이 헐며 머리가 아프고 눈이 충혈된다.
  • 연초점 (軟焦點) : 화상의 날카로움을 약화하여 부드럽게 마무리하는 일. 또는 그런 사진.
  • 온초점 (온焦點) : 원경과 근경 모두가 화면 전체에 선명하게 나오도록 초점을 맞추어 촬영하는 기법.
  • 원초점 (遠焦點) : 타원 궤도에서, 주 초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점.
  • 정초점 (正焦點) : 평행으로 들어온 빛이 반사한 뒤에 축(軸) 위의 한곳에 모이는 점.
  • 중초열 (中焦熱) : 중초에 열이 있는 증상. 변비가 생기며 식욕이 줄어든다.
  • 초급히 (焦急히) : 시간 여유가 없이 매우 급하게.
  • 초란이 (焦蘭伊) : → 초라니. (초라니: 하회 별신굿 탈놀이에 등장하는 인물의 하나. 양반의 하인으로 행동거지가 가볍고 방정맞다.)
  • 초미금 (焦尾琴) : 우리나라 현악기의 하나. 오동나무와 밤나무를 붙여 만든 장방형의 통 위에 명주실을 꼬아 만든 여섯 개의 줄이 걸쳐 있다. 술대로 줄을 뜯어서 연주하는데, 관현악에 반드시 편성되며 독주 악기로도 널리 사용한다.
  • 초병정 (焦秉貞) : 중국 청나라의 화가(?~?). 궁정 화가로 화훼와 인물화에 뛰어났고, 서양 선교사에게 서양의 원근법을 배워 응용하였다. 작품에 <패문재경직도(佩文齋耕織圖)> 따위가 있다.
  • 초성산 (焦性酸) : 오쏘산(ortho酸) 두 분자에서 물 한 분자를 제거하여 생기는 산.
  • 초전기 (焦電氣) : 결정체의 일부를 가열할 때에 겉면에 나타나는 전기.
  • 초점면 (焦點面) : 초점을 지나 광축에 수직인 평면.
  • 초조감 (焦燥感) : 초조한 느낌.
  • 초조히 (焦燥히) : 애가 타서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 초토화 (焦土化) : 초토가 됨. 또는 초토로 만듦.
  • 하초열 (下焦熱) : 하초에 열이 있는 증상. 오줌이 막히거나 피가 섞여 나온다.
  • 허초점 (虛焦點) : 평행 광선이 볼록 거울에서 반사하거나 오목 렌즈에서 굴절하여 반사될 때에 그 광선의 연장선이 렌즈나 거울의 뒷면에서 모이는 가상적인 초점.
  • 고심초사 (苦心焦思) : 마음을 태우며 애써 생각함.
  • 노심초사 (勞心焦思) : 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움.
  • 초급하다 (焦急하다) : 시간 여유가 없이 매우 급하다.
  • 초두난액 (焦頭爛額) : 불에 머리를 태우고 이마를 그슬려 가며 불을 끈다는 뜻으로, 어려운 일을 당하여 몹시 애쓰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십팔사략≫, ≪통감(通鑑)≫, ≪한서(漢書)≫의 <곽광전(霍光傳)>에 나온다.
  • 초란하다 (焦爛하다) : 불에 데어 살갗 따위가 부풀어 오르다.
  • 초려하다 (焦慮하다) : 애를 태우며 생각하다.
  • 초로하다 (焦勞하다) : 마음을 태우고 애쓰다.
  • 초미난액 (焦眉爛額) : 눈썹에 불이 붙어 이마를 덴다는 뜻으로, 매우 위급함을 이르는 말.
  • 초미지급 (焦眉之急) : 눈썹에 불이 붙었다는 뜻으로, 매우 급함을 이르는 말. 불교의 ≪오등회원(五燈會元)≫에 나오는 말이다.
  • 초민하다 (焦悶하다) : 몹시 민망하게 여기다.
  • 초사하다 (焦思하다) : 애를 태우며 생각하다.
  • 초순하다 (焦脣하다) : 몹시 애태우다. 입술을 태운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초심고려 (焦心苦慮) : 마음을 졸여서 태우며 괴롭게 염려함.
  • 초심하다 (焦心하다) : 마음을 졸여서 태우다.
  • 초열지옥 (焦熱地獄) : 팔열 지옥(八熱地獄)의 하나. 살생, 투도(偸盜), 사음(邪淫), 음주, 망어(妄語) 따위의 죄를 지은 사람이 가는데, 불에 단 철판 위에 눕히고 벌겋게 단 쇠몽둥이로 치거나, 큰 석쇠 위에 얹어서 지지거나, 쇠꼬챙이로 몸을 꿰어 불에 굽는 따위의 형벌을 준다는 지옥이다.
  • 초우하다 (焦憂하다) : 몹시 걱정하다.
  • 초작하다 (焦灼하다) : 불에 타거나 태우다.
  • 초조로이 (焦燥로이) : 애가 타서 몹시 마음을 졸이는 듯이.
  • 초조롭다 (焦燥롭다) : 애가 타서 몹시 마음을 졸이는 듯하다.
  • 초조스레 (焦燥스레) : 애가 타서 몹시 마음을 졸이는 데가 있게.
  • 초조하다 (焦燥하다) : 애가 타서 마음이 조마조마하다.
  • 초초하다 (焦憔하다) : 애를 태우며 근심하다.
  • 초황망조 (焦惶罔措) : 초조하고 황급하여 어찌할 줄을 모름.
  • 대초열지옥 (大焦熱地獄) : 팔열 지옥의 하나. 살생, 투도, 음행, 음주, 망어의 죄를 지은 사람이 가는데, 뜨거운 불길로 초열지옥보다 더 심하게 고통을 당한다는 지옥이다.
  • 초조스럽다 (焦燥스럽다) : 애가 타서 몹시 마음을 졸이는 데가 있다.
  • 초토화되다 (焦土化되다) : 초토가 되다.
  • 초토화하다 (焦土化하다) : 초토가 되다. 또는 초토로 만들다.
  • 고심초사하다 (苦心焦思하다) : 마음을 태우며 애써 생각하다.
  • 노심초사하다 (勞心焦思하다) : 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우다.
  • 수소양삼초경 (手少陽三焦經) : 십이 경맥의 하나. 넷째 손가락 끝에서 시작하여 삼초(三焦)에 속하고 심포(心包)에 이어진다.
  • 아비초열지옥 (阿鼻焦熱地獄) : 팔열 지옥(八熱地獄)의 하나. 오역죄를 짓거나, 절이나 탑을 헐거나, 시주한 재물을 축내거나 한 사람이 가는데, 한 겁(劫) 동안 끊임없이 고통을 받는다는 지옥이다.
  • 초두난액하다 (焦頭爛額하다) : (비유적으로) 어려운 일을 당하여 몹시 애쓰다. 불에 머리를 태우고 이마를 그슬려 가며 불을 끈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십팔사략≫, ≪통감(通鑑)≫, ≪한서(漢書)≫의 <곽광전(霍光傳)>에서 유래한다.
  • 초심고려하다 (焦心苦慮하다) : 마음을 졸여서 태우며 괴롭게 염려하다.
  • 과초점 거리 (過焦點距離) : 카메라 따위의 렌즈에서, 어떤 거리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에 그 후방이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거리. 여기에 초점을 고정한 것이 고정 초점 카메라이다.
  • 단초점 렌즈 (短焦點lens) : 초점 거리가 35mm 이하인 광학 렌즈. 초점 거리는 짧지만 가시각이 넓은 특징이 있다.
  • 연초점 렌즈 (軟焦點lens) : 부드러운 느낌의 화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한 렌즈. 색 수차(色收差)나 구면 수차(球面收差)를 이용하여, 상(像)의 둘레를 흐리게 표현한다.
  • 이초점 렌즈 (二焦點lens) :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진 두 부분으로 된 렌즈.
  • 장초점 렌즈 (長焦點lens) : 카메라에서, 표준 렌즈보다 초점 거리가 길고 사각(寫角)이 좁은 렌즈.
  • 초토화 작전 (焦土化作戰) : 모든 시설이나 물자를 적군이 이용할 수 없도록 모조리 파괴하거나 불을 질러 없애는 작전.
  • 공액 초점 (共軶焦點) : 구면 거울이나 렌즈의 광점과 실상의 초점이 서로 위치를 바꿀 수 있는 두 점.
  • 자동 초점 (自動焦點) : 사진기나 텔레비전 카메라 따위에서, 자동 장치로 상(像)의 초점을 감광면(感光面)에 자동적으로 합치시키는 일.
  • 초성 인산 (焦性燐酸) : 오쏘인산 두 분자가 탈수 반응으로 한 개의 물 분자를 잃고 결합한 이중 인산. 오쏘인산(ortho燐酸)을 200~300℃에서 오래 가열하여 얻는 무기물로, 무색 바늘 모양 결정이며 물, 알코올, 에테르 따위에 녹는다. 세제, 촉매, 과산화물 안정제 따위로 쓴다. 화학식은 H4P2O7.
  • 초전 효과 (焦電效果) : 온도 변화에 따라 유전체 결정의 분극 크기가 변화하여 전압이 나타나는 현상. 온도 감지기 따위에 응용된다.
  • 초점 거리 (焦點距離) : 렌즈나 구면 거울 따위의 중심에서 초점까지의 거리.
  • 초점 심도 (焦點深度) : 렌즈의 초점이 맞는 범위. 초점에 세운 광축에 수직인 면을 광축에 따라 앞뒤로 이동해도 상(像)이 선명하게 보이는 광축상의 범위를 이른다.
  • 초점 유리 (焦點琉璃) : 사진기에서, 어둠상자ㆍ주름상자 뒤에 끼워 이를 통하여 초점을 맞추는 유리판.
  • 초점 지역 (焦點地域) : 언어 지리학에서, 여러 등어선에 둘러싸인 곳을 이르는 말.
  • 초토 작전 (焦土作戰) : 모든 시설이나 물자를 적군이 이용할 수 없도록 모조리 파괴하거나 불을 질러 없애는 작전.
  • 초토 전술 (焦土戰術) : 모든 시설이나 물자를 적군이 이용할 수 없도록 모조리 파괴하거나 불을 질러 없애는 작전.
  • 켤레 초점 (켤레焦點) : 구면 거울이나 렌즈의 광점과 실상의 초점이 서로 위치를 바꿀 수 있는 두 점.


https://dict.wordrow.kr에서 焦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憩에 관한 단어는 모두 24개

한자 憩에 관한 단어는 모두 2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憩에 관한 단어는 모두 24개

  • 게류 (憩流) : 흐름의 방향이 바뀌기에 앞서 잠시 정지하고 있는 상태의 조류(潮流).
  • 게박 (憩泊) : 쉬며 머무름.
  • 게식 (憩息) : 잠깐 쉬어 숨을 돌림.
  • 게실 (憩室) : 위, 창자, 방광, 식도 따위 장기(臟器)의 벽 일부가 밖으로 불거져 나와 주머니 모양의 빈 공간을 이룬 곳. 선천성 또는 후천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음식의 소화물이 이곳에 괴기도 한다.
  • 게조 (憩潮) : 밀물과 썰물이 바뀔 때에 일어나는 조류의 정지 상태.
  • 게지 (憩止) : 일을 하다가 잠깐 쉼.
  • 게휴 (憩休) : 어떤 일을 하다가 잠깐 동안 쉼.
  • 권게 (倦憩) : 피로하여 쉼.
  • 소게 (小憩) : 잠깐 쉼.
  • 유게 (流憩) : 이리저리 거닐며 쉼.
  • 휴게 (休憩) : 어떤 일을 하다가 잠깐 동안 쉼.
  • 휴게소 (休憩所) : 길을 가는 사람들이 잠깐 동안 머물러 쉴 수 있도록 마련하여 놓은 장소.
  • 휴게실 (休憩室) : 잠깐 동안 머물러 쉴 수 있도록 마련해 놓은 방.
  • 게박하다 (憩泊하다) : 쉬어 머물다.
  • 게식하다 (憩息하다) : 잠깐 쉬어 숨을 돌리다.
  • 게지하다 (憩止하다) : 일을 하다가 잠깐 쉬다.
  • 게휴하다 (憩休하다) : 어떤 일을 하다가 잠깐 동안 쉬다.
  • 권게하다 (倦憩하다) : 피로하여 쉬다.
  • 소게하다 (小憩하다) : 잠깐 쉬다.
  • 유게하다 (流憩하다) : 이리저리 거닐며 쉬다.
  • 휴게하다 (休憩하다) : 어떤 일을 하다가 잠깐 동안 쉬다.
  • 식도 게실 (食道憩室) : 식도의 어느 한 부분이 불룩하게 넓어진 것. 밥을 먹을 때에 눌리는 감, 가벼운 통증, 삼킴곤란 따위가 있으며 입안에서 썩는 냄새가 난다.
  • 심낭 게실 (心囊憩室) : 심장 벽측의 심장막 일부가 두드러지게 튀어나온 기형.
  • 후두 게실 (喉頭憩室) : 후두 점막이 부어서 후두 밖으로 비뚤어져 나오는 병. 급성 후두염을 자주 앓거나 기도에 염증이 있을 때에 생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憩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