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1월 14일 토요일

서절구투: 鼠竊狗偸

서절구투 (鼠竊狗偸) : 쥐나 개처럼 몰래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좀도둑'을 이르는 말.



鼠竊狗偸 한자 뜻 풀이

  • 鼠(쥐 서) : 쥐, 임금 측근의 간신의 비유, 근심하다, 질병 이름. 뾰족한 주둥이와 큰 앞니, 아래 배와 굽어있는 등, 긴 꼬리 모양까지 쥐의 모양을 그대로 본뜬 글자
  • 竊(훔칠 절) : 훔치다, 도둑, 몰래, 얕다, 분명하다.
  • 狗(개 구) : 개, 역(易)의 간(艮), 범 새끼. '犬(견)'이 주로 부수자로 사용되자 별도 '개'의 의미로 만듦
  • 偸(훔칠 투) : 훔치다, 날치기꾼이나 도둑, 남모르게, 경박하다, 슬쩍 남의 물건을 빼냄. 사람이 경박하다는 의미에서 '훔치다', '구차하다'는 의미 파생.


[偸] 훔칠 투 (훔치다, 날치기꾼이나 도둑, 남모르게, 경박하다, 슬쩍 남의 물건을 빼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서절구투 획순 이미지 서절구투(鼠竊狗偸) : 쥐나 개처럼 몰래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좀도둑'을 이르는 말. [ (: 쥐 서) (: 훔칠 절) (: 개 구) (: 훔칠 투) ]
  • 구안투생(苟安偸生) : 일시적인 안락을 탐하여 헛되이 살아감. [ (: 구차할 구) (: 편안할 안) (: 훔칠 투) (: 날 생) ]
  • 망중투한(忙中偸閑) : 바쁜 가운데서도 한가한 겨를을 얻어 즐김. [ (: 바쁠 망) (: 가운데 중) (: 훔칠 투) (: 한가할 한) ]
  • 엄이투령(掩耳偸鈴) : 제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1) 얕은 꾀로 남을 속이려 하나 아무 소용(所用)이 없음을 이르는 말 (2) 방울 소리가 제 귀에 들리지 않으면 남의 귀에도 들리지 않으리라는 어리석은 생각을 이름. [ (: 가릴 엄) (: 귀 이) (: 훔칠 투) (: 방울 령) ]
  • 투계모구(偸鷄摸狗) : 닭을 훔치고 개를 잡는다는 뜻으로, 손버릇이 나쁘거나 살금살금 나쁜 짓만 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 (: 훔칠 투) (: 닭 계) (: 찾을 모) (: 개 구) ]

[狗] 개 구 (개, 역(易)의 간(艮), 범 새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양두구육 획순 이미지 양두구육(羊頭狗肉) :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보기만 그럴듯하게 보이고 속은 변변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 양 양) (: 머리 두) (: 개 구) (: 고기 육) ]
  • 서절구투(鼠竊狗偸) : 쥐나 개처럼 몰래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좀도둑'을 이르는 말. [ (: 쥐 서) (: 훔칠 절) (: 개 구) (: 훔칠 투) ]
  • 견토방구(見兎放狗) : 토끼를 발견(發見)한 후(後)에 사냥개를 놓아서 잡게 하여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사태(事態)의 진전을 관망(觀望)한 후(後)에 응(應)하여도 좋다는 말. [ (: 볼 견) (: 토끼 토) (: 놓을 방) (: 개 구) ]
  • 구미속초(狗尾續貂) : (1)담비 꼬리가 모자라 개의 꼬리로 잇는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부로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훌륭한 것 뒤에 보잘것없는 것이 뒤따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개 구) (: 꼬리 미) (: 이을 속) (: 담비 초) ]
  • 구마지심(狗馬之心) : 개나 말이 주인에 대하여 가지는 충성심이란 뜻으로, 자기의 진심을 낮추어 이르는 말. [ (: 개 구) (: 말 마) (: 갈 지) (: 마음 심) ]

[竊] 훔칠 절 (훔치다, 도둑, 몰래, 얕다, 분명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서절구투 획순 이미지 서절구투(鼠竊狗偸) : 쥐나 개처럼 몰래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좀도둑'을 이르는 말. [ (: 쥐 서) (: 훔칠 절) (: 개 구) (: 훔칠 투) ]
  • 절발지환(竊發之患) : 강도나 절도로 말미암아 생기는 근심. [ (: 훔칠 절) (: 필 발) (: 갈 지) (: 근심 환) ]
  • 절부지의(竊鈇之疑) : 공연한 혐의를 이르는 말. 도끼를 훔쳐 갔다고 의심받은 사람의 행동이나 말이 모두 틀림없이 훔쳐 간 것처럼 보였으나, 다른 데서 그 도끼가 발견되어 누명을 벗은 후에는 그렇게 보이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 훔칠 절) (: 도끼 부) (: 갈 지) (: 의심할 의) ]

[鼠] 쥐 서 (쥐, 임금 측근의 간신의 비유, 근심하다, 질병 이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서 획순 이미지 사서(社鼠) : 사람이 함부로 손댈 수 없는 사당에 숨어 사는 쥐라는 뜻으로, 어떤 기관이나 세력가에 의지하여 간사한 일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 토지신 사) (: 쥐 서) ]
  • 성호사서(城狐社鼠) :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 (: 성 성) (: 여우 호) (: 토지신 사) (: 쥐 서) ]
  • 서담(鼠膽) : 쥐의 쓸개라는 뜻으로, 담력이 약함을 이르는 말. [ (: 쥐 서) (: 쓸개 담) ]
  • 부서(腐鼠) : 썩은 쥐라는 뜻으로, 작고 비천한 물건이나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썩을 부) (: 쥐 서) ]
  • 묘서동면(猫鼠同眠) : 쥐와 고양이가 함께 잔다는 뜻으로, 상하(上下)가 부정(不正)하게 결탁(結託)하여 나쁜 짓을 함을 이르는 말. [ (: 고양이 묘) (: 쥐 서) (: 한가지 동) (: 잘 면) ]

[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욕편정 획순 이미지 사욕편정(邪慾偏情) : 바른 도리에 어긋나는 온갖 정욕. 음욕, 방종 따위를 이른다. [ (: 간사할 사) (: 욕심 욕) (: 치우칠 편) (: 뜻 정) ]
  • 주낭반대(酒囊飯袋) : 술을 담는 부대와 밥을 담는 주머니라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축내며 일은 아니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 술 주) (: 주머니 낭) (: 밥 반) (: 자루 대) ]
  • 황구유취(黃口乳臭) : 젖내 나는 어린아이같이 어려서 아직 젖비린내가 난다는 뜻으로, 어리고 하잘것없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 누를 황) (: 입 구) (: 젖 유) (: 냄새 취) ]

[물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해륙진미 획순 이미지 해륙진미(海陸珍味)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 (: 바다 해) (: 뭍 륙) (: 보배 진) (: 맛 미) ]
  • 호상불육어(湖上不鬻魚) : 호수가에서는 물고기를 팔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이 많은 곳에서는 같은 물건을 파는 어리석은 짓은 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호수 호) (: 위 상) (: 아니 불) (: 팔 육) (: 고기 어) ]
  • 견물생심(見物生心) :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 (: 볼 견) (: 만물 물) (: 날 생) (: 마음 심) ]
  • 조각(爪角) : 짐승의 발톱과 뿔이라는 뜻으로, 자신을 적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손톱 조) (: 뿔 각) ]

[준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감회 획순 이미지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 상담(嘗膽) :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 맛볼 상) (: 쓸개 담) ]
  • 경성(傾城) : (1)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태롭게 할 정도로 뛰어남을 이르는 말. (2)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 (: 기울 경) (: 성 성) ]
  • 영탈(穎脫) : 주머니 속의 송곳 끝이 밖으로 튀어나와 있다는 뜻으로, 뛰어나고 훌륭한 재능이 밖으로 드러나는 데가 있음을 이르는 말. [ (: 이삭 영) (: 벗을 탈) ]

[표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우도할계 획순 이미지 우도할계(牛刀割鷄) :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소 우) (: 칼 도) (: 나눌 할) (: 닭 계) ]
  • 차풍사선(借風使船) : 바람을 빌려 배를 부린다는 뜻으로, 돈을 빌려 임시변통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 (: 빌 차) (: 바람 풍) (使: 부릴 사) (: 배 선) ]
  • 간두지세(竿頭之勢) : 대막대기 끝에 선 형세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형세를 이르는 말. [ (竿: 장대 간) (: 머리 두) (: 갈 지) (: 기세 세) ]

[좀도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서절구투 획순 이미지 서절구투(鼠竊狗偸) : 쥐나 개처럼 몰래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좀도둑'을 이르는 말. [ (: 쥐 서) (: 훔칠 절) (: 개 구) (: 훔칠 투) ]
  • 호서지도(狐鼠之盜) : 여우와 쥐 같은 도둑이라는 뜻으로, 여우와 쥐를 소인(小人)이나 좀도둑에 비유들어 그러한 소인배와 같은 간사하고 못된 무리나 좀도둑을 이르는 말로 사용함. [ (: 여우 호) (: 쥐 서) (: 갈 지) (: 도둑 도) ]
  • 계명구도(鷄鳴狗盜) : 비굴하게 남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맹상군이 진(秦)나라 소왕(昭王)에게 죽게 되었을 때, 식객(食客) 가운데 개를 가장하여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빠져나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닭 계) (: 울 명) (: 개 구) (: 도둑 도)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