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26일 토요일

만전지계: 萬全之計

만전지계 (萬全之計) :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萬全之計 한자 뜻 풀이

  • 萬(일만 만) : 1만, 다수, 결코, 크다, 전갈(全蠍). 본래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본 의미는 사라지고, 후에 수의 '일만'을 의미함. 많고 크다는 의미에서 '결코', '반드시' 등 파생
  • 全(온전할 전) : 온전하다, 온전히 하다, 온통, 결함이 없이 보전함, 전체. 사람이 옥을 가공하는 모양을 본떠, 모두 완성한다는 의미에서 '완전하다'는 의미 도출
  • 之(갈 지)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計(셀 계) : 세다, 경영, 헤아림, 산법(算法), 회계. 숫자의 완성인 '十'을 놓고 '말한다[言]'는 의미에서 '계산하다', '꾀하다'는 의미 도출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살활지권 획순 이미지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 목 벨 문) (: 목 경) (: 갈 지) (: 벗 우)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 자신지책(自身之策) : 자기(自己) 한 몸의 생활(生活)을 꾀해 나갈 계책(計策). [ (: 스스로 자) (: 몸 신) (: 갈 지) (: 꾀 책) ]

[全] 온전할 전 (온전하다, 온전히 하다, 온통, 결함이 없이 보전함, 전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전생연분 획순 이미지 전생연분(全生緣分) : 전생(前生)에서 이미 맺은 연분. [ (: 온전할 전) (: 날 생) (: 가선 연) (: 나눌 분) ]
  • 만전지계(萬全之計) :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 (: 일만 만) (: 온전할 전) (: 갈 지) (: 셀 계) ]
  • 전불고견(全不顧見) : 전혀 돌보아 주지 아니함. [ (: 온전할 전) (: 아니 불) (: 돌아볼 고) (: 볼 견) ]
  • 전군함몰(全軍陷沒) : 한 떼의 군사(軍士)가 죄다 결단(決斷)남. [ (: 온전할 전) (: 군사 군) (: 빠질 함) (: 빠질 몰) ]
  • 전무식(全無識) : 아주 무식함. 또는 그런 사람. [ (: 온전할 전) (: 없을 무) (: 알 식) ]

[萬] 일만 만 (1만, 다수, 결코, 크다, 전갈(全蠍))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누거만금 획순 이미지 누거만금(累巨萬金) : (1)'누거만금'의 북한어. (2)매우 많은 돈. [ (: 클 거) (: 일만 만) (: 쇠 금) ]
  • 백천만사(百千萬事) : 온갖 일. [ (: 일백 백) (: 일천 천) (: 일만 만) (: 일 사) ]
  • 억만창생(億萬蒼生) : 수많은 백성. [ (: 억 억) (: 일만 만) (: 푸를 창) (: 날 생) ]
  • 만군지중(萬軍之中) : 많은 군사가 진을 친 가운데. [ (: 일만 만) (: 군사 군) (: 갈 지) (: 가운데 중) ]

[計] 셀 계 (세다, 경영, 헤아림, 산법(算法), 회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장원지계 획순 이미지 장원지계(長遠之計) : 먼 앞날에 대한 계획. [ (: 길 장) (: 멀 원) (: 갈 지) (: 셀 계) ]
  • 백계무책(百計無策) : 어려운 일을 당하여 온갖 계교를 다 써도 해결할 방도를 찾지 못함. [ (: 일백 백) (: 셀 계) (: 없을 무) (: 꾀 책) ]
  • 만년지계(萬年之計) : 아주 먼 훗날까지 걸친 큰 계획. [ (: 일만 만) (: 해 년) (: 갈 지) (: 셀 계) ]
  • 기모비계(奇謀秘計) : 기이하고 신비한 謀略(모략)의 뜻으로, 유별나서 신묘하고 신비스러운 계략의 의미. [ (: 기이할 기) (: 꾀할 모) (: 숨길 비) (: 셀 계) ]

[계책]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자신지책 획순 이미지 자신지책(自身之策) : 자기(自己) 한 몸의 생활(生活)을 꾀해 나갈 계책(計策). [ (: 스스로 자) (: 몸 신) (: 갈 지) (: 꾀 책) ]
  • 장원지계(長遠之計) : 먼 앞날에 대한 계획. [ (: 길 장) (: 멀 원) (: 갈 지) (: 셀 계) ]
  • 호구지책(糊口之策) :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 (: 풀 호) (: 입 구) (: 갈 지) (: 꾀 책) ]
  • 취식지계(取食之計) : 겨우 밥이나 얻어먹고 살아갈 만한 꾀. [ (: 취할 취) (: 밥 식) (: 갈 지) (: 셀 계) ]
  • 삼십육계(三十六計) : (1)물주가 맞힌 사람에게 살돈의 서른여섯 배를 주는 노름. (2)서른여섯 가지의 꾀. 많은 모계(謀計)를 이른다. [ (: 석 삼) (: 열 십) (: 셀 계) ]

[계획]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장원지계(長遠之計) : 먼 앞날에 대한 계획. [ (: 길 장) (: 멀 원) (: 갈 지) (: 셀 계) ]
  • 만년지계(萬年之計) : 아주 먼 훗날까지 걸친 큰 계획. [ (: 일만 만) (: 해 년) (: 갈 지) (: 셀 계) ]
  • 조개모변(朝改暮變) :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자주 고침을 이르는 말. [ (: 아침 조) (: 고칠 개) (: 저물 모) (: 변할 변) ]
  • 만전지계(萬全之計) :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 (: 일만 만) (: 온전할 전) (: 갈 지) (: 셀 계) ]

[소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만전지계 획순 이미지 만전지계(萬全之計) :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 (: 일만 만) (: 온전할 전) (: 갈 지) (: 셀 계) ]
  • 내소외친(內疏外親) : 속으로는 멀리하면서 겉으로는 친한 체함. [ (: 안 내) (: 트일 소) (: 바깥 외) (: 친할 친) ]
  • 독서망양(讀書亡羊) : 글을 읽는 데 정신이 팔려서 먹이고 있던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하는 일에는 뜻이 없고 다른 생각만 하다가 낭패를 봄을 이르는 말. [ (: 읽을 독) (: 글 서) (: 잃을 망) (: 양 양) ]
  • 죽두목설(竹頭木屑) : 대나무 조각과 나무 부스러기라는 뜻으로, 쓸모가 적은 물건을 이르는 말. [ (: 대 죽) (: 머리 두) (: 나무 목) (: 가루 설) ]
  • 화생어홀(禍生於忽) : 화는 소홀한 데서 생긴다는 뜻으로, 신중하고 세심한 삶을 영유해야 함을 경계하는 말. [ (: 재난 화) (: 날 생) (: 어조사 어) (: 문득 홀) ]

[실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백불일실 획순 이미지 백불일실(百不一失)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 일백 백) (: 아니 불) (: 한 일) (: 잃을 실) ]
  • 만무일실(萬無一失) : (1)조금도 축남이 없음. (2)실패하거나 실수할 염려가 조금도 없음. [ (: 일만 만) (: 없을 무) (: 한 일) (: 잃을 실) ]
  • 만전지계(萬全之計) :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 (: 일만 만) (: 온전할 전) (: 갈 지) (: 셀 계) ]

[실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답복철 획순 이미지 부답복철(不踏覆轍) :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 아닌가 부) (: 밟을 답) (: 뒤집힐 복) (: 바퀴 자국 철) ]
  • 만무일실(萬無一失) : (1)조금도 축남이 없음. (2)실패하거나 실수할 염려가 조금도 없음. [ (: 일만 만) (: 없을 무) (: 한 일) (: 잃을 실) ]
  • 전철(前轍) : 앞에 지나간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이전 사람의 그릇된 일이나 행동의 자취를 이르는 말. [ (: 앞 전) (: 바퀴 자국 철) ]
  • 백무일실(百無一失) : 무슨 일이든지 실패하는 것이 하나도 없음. [ (: 일백 백) (: 없을 무) (: 한 일) (: 잃을 실) ]
  • 만전지계(萬全之計) :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 (: 일만 만) (: 온전할 전) (: 갈 지) (: 셀 계) ]

[안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성호사서 획순 이미지 성호사서(城狐社鼠) :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 (: 성 성) (: 여우 호) (: 토지신 사) (: 쥐 서) ]
  • 삼십육계주위상계(三十六計走爲上計) : 36가지 계책(計策) 중(中)에서 줄행랑이 상책이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할 때에는 기회(機會)를 보아 피함으로써 몸의 안전(安全)을 지키는 것이 최상(最上)의 방법(方法)이라는 말. [ (: 석 삼) (: 열 십) (: 셀 계) (: 달릴 주) (: 할 위) (: 위 상) (: 셀 계) ]
  • 만전지계(萬全之計) :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 (: 일만 만) (: 온전할 전) (: 갈 지) (: 셀 계) ]
  • 사대주의(事大主義) : 주체성이 없이 세력이 강한 나라나 사람을 받들어 섬기는 태도. [ (: 일 사) (: 큰 대) (: 주인 주) (: 옳을 의) ]
  • 무풍지대(無風地帶) : (1)바람이 불지 아니하는 지역. (2)다른 곳의 재난이나 번거로움이 미치지 아니하는 평화롭고 안전한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없을 무) (: 바람 풍) (: 땅 지) (: 띠 대) ]

[완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무량청정토 획순 이미지 무량청정토(無量淸淨土)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 (: 없을 무) (: 헤아릴 량) (: 맑을 청) (: 깨끗할 정) (: 흙 토) ]
  • 만전지계(萬全之計) :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 (: 일만 만) (: 온전할 전) (: 갈 지) (: 셀 계) ]
  • 도원경(桃源境) : (1)이 세상이 아닌 무릉도원처럼 아름다운 경지. (2)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최선의 상태를 갖춘 완전한 사회. [ (: 복숭아나무 도) (: 근원 원) (: 지경 경) ]
  • 무여열반(無餘涅縏) : 온갖 번뇌(煩惱)를 다 없애고 분별(分別)하는 슬기를 떠나 육신(肉身)까지도 없애어 완전(完全)히 정적(靜寂)으로 들어선 경지(境地). [ (: 없을 무) (: 남을 여) (: 주머니 반) ]

[위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여리박빙 획순 이미지 여리박빙(如履薄氷) :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아슬아슬하고 위험한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같을 여) (: 밟을 리) (: 엷을 박) (: 얼음 빙) ]
  • 간두지세(竿頭之勢) : 대막대기 끝에 선 형세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형세를 이르는 말. [ (竿: 장대 간) (: 머리 두) (: 갈 지) (: 기세 세) ]
  • 수악한(手握汗) : 불끈 쥔 손바닥에서 땀이 난다는 뜻으로, 위험한 광경이나 사건의 추이를 보고 두렵고 위급하여 자신도 모르게 몸이 긴장됨을 이르는 말. [ (: 손 수) (: 쥘 악) (: 땀 한) ]
  • 호구지액(虎口之厄) : 호랑이 입의 액운이라는 뜻으로, 호랑이의 입을 맞대함과 같은 대단한 위험이라는 의미. [ (: 범 호) (: 입 구) (: 갈 지) (: 재앙 액) ]
  • 활인지방(活人之方) : (1)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법. (2)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위나 지방. [ (: 살 활) (: 사람 인) (: 갈 지) (: 모 방) ]

[의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공전절후(空前絶後)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 빌 공) (: 앞 전) (: 끊을 절) (: 뒤 후) ]
  • 우이독경(牛耳讀經) :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소 우) (: 귀 이) (: 읽을 독) (: 지날 경) ]
  • 백불일실(百不一失)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 일백 백) (: 아니 불) (: 한 일) (: 잃을 실) ]

[조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야이계주 획순 이미지 야이계주(夜以繼晝) : 어떤 일에 몰두하여 조금도 쉴 사이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아니함. [ (: 밤 야) (: 써 이) (: 이을 계) (: 낮 주) ]
  • 가무담석(家無擔石) : 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조금도 없다는 말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 [ (: 집 가) (: 없을 무) (: 멜 담) (: 돌 석) ]
  • 방휼지세(蚌鷸之勢) :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 먹으려고 부리를 넣는 순간 조개가 껍데기를 닫고 놓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대립하는 두 세력이 잔뜩 버티고 맞서 겨루면서 조금도 양보하지 아니하는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방합 방) (: 도요새 휼) (: 갈 지) (: 기세 세)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