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21일 월요일

한자 貂에 관한 단어는 모두 20개

한자 貂에 관한 단어는 모두 2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貂에 관한 단어는 모두 20개

  • 김초 (金貂) : 고려 말기의 문신(?~?). 신진 유학자의 한 사람으로, 철저한 척불론자이다. 공양왕의 숭불 사상을 통박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샀으나 정몽주의 변호로 죽음을 면하였다.
  • 선초 (扇貂) : 부채고리에 매어 다는 장식품.
  • 속초 (續貂) : 훌륭한 사람이나 사물에 변변하지 못한 사람이나 사물이 뒤따름.
  • 자초 (紫貂) : 족제빗과의 하나. 족제비보다 조금 크며, 자라면서 누런 갈색에서 검은 자색으로 변한다. 다람쥐, 들쥐 또는 열매 따위를 먹는다. 털가죽은 '잘'이라 하는데 담비의 털보다 보드랍다. 시베리아, 만주,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 초구 (貂裘) : 담비의 모피로 만든 갖옷.
  • 초당 (貂璫) : 검은담비의 꼬리와 금 고리로 장식한 관이라는 뜻으로, '내시'를 이르던 말. (내시: 조선 시대에, 내시부에 속하여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 따위의 일을 맡아보던 남자. 모두 거세된 사람이었다.)
  • 초미 (貂尾) : 담비의 꼬리. 예전에 중국에서 높은 벼슬아치가 치레로 썼다.
  • 초서 (貂鼠) : 족제빗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50cm 정도이며, 짙은 갈색과 붉은 잿빛의 털이 섞여 나며 가슴은 담황색이다. 새, 쥐 따위를 잡아먹는다. 유럽과 서남아시아에 분포한다.
  • 초웅 (貂熊) : 족제빗과의 하나. 족제비보다 조금 크며, 자라면서 누런 갈색에서 검은 자색으로 변한다. 다람쥐, 들쥐 또는 열매 따위를 먹는다. 털가죽은 '잘'이라 하는데 담비의 털보다 보드랍다. 시베리아, 만주,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 초피 (貂皮) : 담비 종류 동물의 모피를 통틀어 이르는 말. 일반적으로 고급 모피로 인정받고 있으며 품질에 따라 검은담비의 모피인 '잘'을 상등으로 치고, 노랑담비의 모피인 '돈피'와 유럽소나무담비의 모피인 '초서피'(貂鼠皮)를 중등으로 치며, 흰담비의 모피인 '백초피'(白貂皮)를 하등으로 친다. (잘: 검은담비의 털가죽.,초서피: 유럽소나무담비의 털가죽. 털의 밑동이 푸른빛을 띤 것으로 담비의 털가죽 가운데 중길로서 잘 다음으로 질이 좋다.)
  • 황초 (黃貂) : 족제빗과의 하나. 몸은 45~50cm, 꼬리는 20cm 정도이다. 족제비보다 약간 크고 누런 갈색이나 겨울에는 담색으로 변한다. 모피의 질이 좋다. 밤에 활동하며 작은 새, 들쥐, 개구리, 과실 따위를 먹고 사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흑초 (黑貂) : 족제빗과의 하나. 족제비보다 조금 크며, 자라면서 누런 갈색에서 검은 자색으로 변한다. 다람쥐, 들쥐 또는 열매 따위를 먹는다. 털가죽은 '잘'이라 하는데 담비의 털보다 보드랍다. 시베리아, 만주,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 백초서 (白貂鼠) : 족제빗과의 포유류. 몸의 길이는 40~54cm, 꼬리의 길이는 25~32cm이다. 담비의 일종으로 몸빛은 회갈색 또는 황갈색이며 가슴이 희고 꼬리가 매우 길다. 유럽에 분포한다.
  • 백초피 (白貂皮) : 흰담비의 털가죽. 털의 끝부분이 연두색이며, 담비의 털가죽 가운데 품질이 가장 나쁘다.
  • 초모필 (貂毛筆) : 담비의 털로 맨 붓.
  • 초서피 (貂鼠皮) : 유럽소나무담비의 털가죽. 털의 밑동이 푸른빛을 띤 것으로 담비의 털가죽 가운데 중길로서 잘 다음으로 질이 좋다.
  • 초웅피 (貂熊皮) : 검은담비의 털가죽.
  • 흑초피 (黑貂皮) : 검은담비의 털가죽.
  • 구미속초 (狗尾續貂) : 담비 꼬리가 모자라 개의 꼬리로 잇는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부로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초하다 (續貂하다) : 훌륭한 사람이나 사물에 변변하지 못한 사람이나 사물이 뒤따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貂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閩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한자 閩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閩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개

  • 민 (閩) : 중국 오대십국 가운데 909년에 왕심지(王審知)가 푸저우(福州)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내분으로 945년에 남당(南唐)에 멸망하였다.
  • 민강 (閩江) : → 민장강. (민장강: 중국 푸젠성(福建省) 북부를 동남쪽으로 흘러 남중국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길이는 520km.)
  • 민강 (閩薑) : 생강을 설탕물에 조려 만든 과자.
  • 민월 (閩越) : 중국 진(秦)ㆍ한(漢) 시대에, 민장강(閩江江) 유역을 중심으로 푸젠(福建) 지방에 살던 월족(越族)이 세운 왕조.
  • 낙민학 (洛閩學) : '정주학'을 달리 이르는 말. 그 중심인물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頥)는 뤄양(洛陽) 사람이고 주자(朱子)는 민중(閩中) 사람인 데서 유래한다. 성명(性命), 이기(理氣)의 이원설을 주도하며, 주자가 완성시켰다. (정주학: 중국 송나라 때의 정호(程顥), 정이(程頥)와 주희 계통의 성리학을 이르는 말. 송나라 때에 일어난 신유학(新儒學)이다.)
  • 민나라 (閩나라) : 중국 오대십국 가운데 909년에 왕심지(王審知)가 푸저우(福州)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내분으로 945년에 남당(南唐)에 멸망하였다.
  • 민장강 (Minjiang[閩江]江) : 중국 푸젠성(福建省) 북부를 동남쪽으로 흘러 남중국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길이는 520km.
  • 낙민지학 (洛閩之學) : '정주학'을 달리 이르는 말. 그 중심인물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頥)는 뤄양(洛陽) 사람이고 주자(朱子)는 민중(閩中) 사람인 데서 유래한다. 성명(性命), 이기(理氣)의 이원설을 주도하며, 주자가 완성시켰다. (정주학: 중국 송나라 때의 정호(程顥), 정이(程頥)와 주희 계통의 성리학을 이르는 말. 송나라 때에 일어난 신유학(新儒學)이다.)
  • 염락관민지학 (濂洛關閩之學) : 중국 송나라 때에, 주돈이ㆍ정호ㆍ정이ㆍ장재ㆍ주희 등이 주장한 성리학. 그들의 출신 지명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 민저 산지 (Minzhe[閩浙]山地) : 중국 저장성(浙江省) 항저우(杭州) 부근에서 광둥성(廣東省)에 이르는 연해 지역. 산지가 바다에 가깝고 갑(岬)과 도서군(島嶼群)이 교차하여 대표적인 침강 해안선을 이루고 있으며 좋은 항구가 많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閩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迷에 관한 단어는 모두 90개

한자 迷에 관한 단어는 모두 9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迷에 관한 단어는 모두 90개

  • 미견 (迷見) : 사리에 어두운 생각이나 견해.
  • 미경 (迷境) : 미혹(迷惑)의 경계(境界).
  • 미계 (迷界) : 번뇌에 시달려서 삼계(三界)를 헤매는 중생들의 미망(迷妄)의 세계.
  • 미궁 (迷宮) : 들어가면 나올 길을 쉽게 찾을 수 없게 되어 있는 곳.
  • 미납 (迷衲) : 납의를 입은 미혹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승려가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 미도 (迷途) : 어지럽게 갈래가 져서, 한번 들어가면 다시 빠져나오기 어려운 길.
  • 미돈 (迷豚) : 어리석은 돼지라는 뜻으로, '가아'를 달리 이르는 말. (가아: 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 미란 (迷亂) : '미란하다'의 어근. (미란하다: 정신이 혼미하여 어지럽다.)
  • 미로 (迷路) : 입구에서 목표물에 이르는 길에 막다른 골목을 만들어 놓고 인간이나 동물의 행동, 특히 학습 과정을 연구하는 장치.
  • 미리 (迷離) : 분명하지 못함.
  • 미망 (迷妄) : 사리에 어두워 갈피를 잡지 못하고 헤맴. 또는 그런 상태.
  • 미몽 (迷夢) : 무엇에 홀린 듯 똑똑하지 못하고 얼떨떨한 정신 상태.
  • 미무 (迷霧) : 방향을 잡을 수 없을 만큼 짙은 안개라는 뜻으로, 미혹한 마음을 이르는 말.
  • 미상 (迷想) : 갈피를 잡지 못하는 어리석은 생각.
  • 미색 (迷色) : 칠죄종(七罪宗)의 하나. 여색에 빠지는 일을 이른다.
  • 미식 (迷息) : 못난 자식이라는 뜻으로, '가아'를 달리 이르는 말. (가아: 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 미신 (迷信) : 비과학적이고 비합리적으로 여겨지는 믿음. 또는 그런 믿음을 가지는 것.
  • 미실 (迷失) : 정신이 어지럽고 혼미하여서 어떠한 일을 잘못함.
  • 미아 (迷兒) : 못난 아이라는 뜻으로, '가아'를 달리 이르는 말. (가아: 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 미아 (迷兒) : 길이나 집을 잃고 헤매는 아이.
  • 미오 (迷悟) : 미혹과 깨달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미조 (迷鳥) : 길을 잃은 철새.
  • 미주 (迷走) : 정해진 통로 이외의 길로 달림.
  • 미진 (迷津) : 깨달음의 세계인 피안(彼岸)에 상대하여, 번뇌에 얽매인 삼계(三界)를 이르는 말. 나루를 찾지 못하고 헤맨다는 뜻이다.
  • 미집 (迷執) : 미혹된 마음으로 사물에 집착함.
  • 미채 (迷彩) : 적이 식별하지 못하도록 군용 차량, 비행기, 배, 건물 따위에 주변 지역의 전체적인 색과 비슷한 색을 칠하는 위장.
  • 미현 (迷眩) : '미현하다'의 어근. (미현하다: 정신이 어지럽고 어수선하다.)
  • 미혹 (迷惑) : 무엇에 홀려 정신을 차리지 못함.
  • 미혼 (迷魂) : 저승으로 가지 못하고 미로를 헤매는 망자(亡者)의 영혼.
  • 미황 (迷徨) : 어리둥절하여 헤맴.
  • 완미 (頑迷) : '완미하다'의 어근. (완미하다: 융통성이 없이 올곧고 고집이 세어 사리에 어둡다.)
  • 요미 (妖迷) : '요미하다'의 어근. (요미하다: 사람을 그른 길로 빠지게 할 만큼 요사스럽다.)
  • 우미 (愚迷) : 어리석고 사리에 어두움.
  • 유미 (牖迷) : 어리석은 사람을 가르쳐 일깨워 줌.
  • 저미 (低迷) : '저미하다'의 어근. (저미하다: 안개나 구름 따위가 낮게 끼어 어둑하다., 기운이 빠져 활동이 둔하고 혼미하다., 거래가 활발하지 아니하고 저조하다., 안개나 구름 따위가 낮게 떠돌다., 어떤 상태가 혼미해지거나 험악해지다.)
  • 집미 (執迷) : 고집이 세어 갈팡질팡함.
  • 침미 (沈迷) : '침미하다'의 어근. (침미하다: 정신이 맑지 못하고 흐리멍덩하다.)
  • 혼미 (昏迷) : 의식이 흐림. 또는 그런 상태.
  • 골미로 (骨迷路) : 속귀를 담고 있는 관자뼈 속의 공간을 통틀어 이르는 말. 달팽이, 안뜰, 반고리뼈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 대혼미 (大昏迷) : 아주 정신이 흐리고 사리에 어두운 상태.
  • 막미로 (膜迷路) : 바깥림프에 의해 뼈 속의 빈 부분에서 분리된 속귀. 속림프를 가지고 있다.
  • 미로아 (迷路兒) : 길이나 집을 잃고 헤매는 아이.
  • 미로염 (迷路炎) : 내이에 염증이 생기는 병. 대개 가운데귀염을 앓은 후에 생기며 수막염, 매독, 귀의 외상(外傷)이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난청ㆍ귀울림ㆍ현기증ㆍ구역질ㆍ구토 따위의 증상이 나타난다.
  • 미로원 (迷路園) : 미로를 두어 꾸민 정원.
  • 미루기 (迷樓記) : 중국 당나라 때의 전기 소설(傳奇小說). 수나라의 양제가 주색에 빠져, 미루라는 이름의 화려한 궁전을 짓고 수천 명의 아름다운 궁녀를 살게 하며 음란하게 놀았다는 내용이다. 작가는 분명하지 않다.
  • 미망설 (迷妄說) : 모든 실재 세계가 공허하며 환각에 지나지 않는다는 학설.
  • 미방사 (迷放射) : 쓸모 있게 쓰지 못하는 방사(放射).
  • 미신가 (迷信家) : 미신을 지나치게 믿는 사람.
  • 미신범 (迷信犯) : 미신적인 수단으로 범죄를 실현하려는 행위. 또는 그런 행위자. 미운 사람을 죽이려고 인형에 못을 박거나 굿을 하는 일 따위인데, 불능범으로서 처벌하지 아니한다.
  • 미신적 (迷信的) : 과학적ㆍ합리적 근거가 없는 것을 맹목적으로 믿는 것.
  • 미전산 (Mizhen[迷鎭/迷眞]山) : 중국 만주 선양(瀋陽) 남쪽에 있는 산. 평원에 홀로 우뚝 서 있으며 산 위에 하이윈사(海雲寺)가 있다. 이 절 옆에서 매년 음력 5월 16일부터 19일까지 임시 시장이 열린다.
  • 뼈미로 (뼈迷路) : 속귀를 담고 있는 관자뼈 속의 공간을 통틀어 이르는 말. 달팽이, 안뜰, 반고리뼈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 소미로 (蘇迷盧) : 불교의 우주관에서, 세계의 중앙에 있다는 산. 꼭대기에는 제석천이, 중턱에는 사천왕이 살고 있으며, 그 높이는 물 위로 팔만 유순이고 물속으로 팔만 유순이며, 가로의 길이도 이와 같다고 한다. 북쪽은 황금, 동쪽은 은, 남쪽은 유리, 서쪽은 파리(玻璃)로 되어 있고, 해와 달이 그 주위를 돌며 보광(寶光)을 반영하여 사방의 허공을 비추고 있다. 산 주위에 칠금산이 둘러섰고 수미산과 칠금산 사이에 칠해(七海)가 있으며 칠금산 밖에는 함해(鹹海)가 있고 함해 속에 사대주가 있으며 함해 건너에 철위산이 둘러 있다.
  • 죽미일 (竹迷日) : 음력 5월 13일을 이르는 말. 중국의 속설(俗說)에, 이날 대를 옮겨 심으면 잘 자란다고 한다.
  • 미란하다 (迷亂하다) : 정신이 혼미하여 어지럽다.
  • 미망하다 (迷妄하다) : 사리에 어두워 갈피를 잡지 못하고 헤매다.
  • 미색하다 (迷色하다) : 여색에 빠지다.
  • 미신업자 (迷信業者) : 무당, 점쟁이 따위를 직업으로 삼아 이익을 얻는 사람.
  • 미신하다 (迷信하다) : 과학적ㆍ합리적 근거가 없는 것을 맹목적으로 믿다.
  • 미실하다 (迷失하다) : 정신이 어지럽고 혼미하여서 어떠한 일을 잘못하다.
  • 미주하다 (迷走하다) : 정해진 통로 이외의 길로 달리다.
  • 미집하다 (迷執하다) : 미혹된 마음으로 사물에 집착하다.
  • 미현하다 (迷眩하다) : 정신이 어지럽고 어수선하다.
  • 미혹되다 (迷惑되다) : 무엇에 홀려 정신이 차려지지 못하다.
  • 미혹하다 (迷惑하다) : 무엇에 홀려 정신을 차리지 못하다.
  • 미혼지인 (迷魂之人) : 원한을 품고 죽은 사람을 이르는 말.
  • 미황하다 (迷徨하다) : 어리둥절하여 헤매다.
  • 완미하다 (頑迷하다) : 융통성이 없이 올곧고 고집이 세어 사리에 어둡다.
  • 요미하다 (妖迷하다) : 사람을 그른 길로 빠지게 할 만큼 요사스럽다.
  • 우미하다 (愚迷하다) : 어리석고 사리에 어둡다.
  • 유미하다 (牖迷하다) : 어리석은 사람을 가르쳐 일깨워 주다.
  • 저미하다 (低迷하다) : 기운이 빠져 활동이 둔하고 혼미하다.
  • 전미개오 (轉迷開悟) : 어지러운 번뇌에서 벗어나 열반의 깨달음에 이름.
  • 집미하다 (執迷하다) : 고집이 세어 갈팡질팡하다.
  • 침미하다 (沈迷하다) : 정신이 맑지 못하고 흐리멍덩하다.
  • 혼미하다 (昏迷하다) : 의식이 흐리다.
  • 미아보호소 (迷兒保護所) : 길을 잃은 아이를 보호하여 집이나 부모를 찾아 주는 곳.
  • 지속성 미로 반사 (持續性迷路反射) : '지속미로반사'의 전 용어. (지속 미로 반사: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하는 미로 반사.)
  • 골성 미로 (骨性迷路) : 속귀를 담고 있는 관자뼈 속의 공간을 통틀어 이르는 말. 달팽이, 안뜰, 반고리뼈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 골질 미로 (骨質迷路) : 속귀를 담고 있는 관자뼈 속의 공간을 통틀어 이르는 말. 달팽이, 안뜰, 반고리뼈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 막성 미로 (膜性迷路) : '막미로'의 전 용어. (막미로: 바깥림프에 의해 뼈 속의 빈 부분에서 분리된 속귀. 속림프를 가지고 있다.)
  • 막질 미로 (膜質迷路) : '막미로'의 전 용어. (막미로: 바깥림프에 의해 뼈 속의 빈 부분에서 분리된 속귀. 속림프를 가지고 있다.)
  • 미로 반응 (迷路反應) : 속귀의 안뜰 기관에서 생겨나는 반사. 속귀의 미로 속으로 들어가는 자극이 생리적 범위 이내에서는 신체의 평형을 유지하지만 생리적 한계를 넘으면 현기증, 구토, 평형 장애 따위의 이상 반응을 일으킨다.
  • 미로 실험 (迷路實驗) : 미로를 이용하여 지능이나 학습과 같은 여러 가지 능력을 실험하는 일.
  • 미로 학습 (迷路學習) : 미로에서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점차 헤매지 않고 목표 지점에 도달하게 되는 학습.
  • 미주 신경 (迷走神經) : 열째 머릿골 신경으로, 운동과 지각의 두 섬유를 포함하며 내장의 대부분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 부교감 신경 중 가장 크다.
  • 미주 전식 (迷走電蝕) : 땅속의 의도된 회로 이외의 통로에 흐르는 미주 전류에 의하여 일어나는 금속의 부식(腐蝕).
  • 미진 자항 (迷津慈航) : 미망(迷妄)의 세계에서 깨달음의 세계인 피안(彼岸)으로 건네주는 자비의 배. 불법이나 부처의 자비를 이른다.
  • 항로 미실 (航路迷失) : 공중에서 비행 승무원들이 자기 비행기가 놓인 위치를 모르게 됨. 또는 그런 상태.
  • 지속 미로 반사 (持續迷路反射) :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하는 미로 반사.


https://dict.wordrow.kr에서 迷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