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13일 화요일

만고역적: 萬古逆賊

만고역적 (萬古逆賊) : 세상에 비길 데 없이 괘씸한 역적.



萬古逆賊 한자 뜻 풀이

  • 萬(일만 만) : 1만, 다수, 결코, 크다, 전갈(全蠍). 본래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본 의미는 사라지고, 후에 수의 '일만'을 의미함. 많고 크다는 의미에서 '결코', '반드시' 등 파생
  • 古(예 고) : 예, 낡다, 선인(先人), 예스럽다, 오래 묵음. 앞 세대의 일이 입을 통해 십 세대를 전해졌다는 의미에서 '옛'의 의미 생성
  • 逆(거스를 역) : 거스르다, 맞이하다, 거절하다, 생각하다, 헤아리다. 사람[大]을 거꾸로 표시하고 止(지)와 '책받침'을 더해 '거꾸로 가다'는 의미에서 상반되게 여겨진 상태를 의미하는 '거스르다'는 의미를 생성함
  • 賊(도둑 적) : 도둑, 해치다, 죽이다, 훔치다, 으르다. 재물[貝]을 창[戈]으로 빼앗는다는 의미에서 '도적'의 의미 생성. '十'은 'ᄀ'의 입성 표현을 위해 사용


[古] 예 고 (예, 낡다, 선인(先人), 예스럽다, 오래 묵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태고지민 획순 이미지 태고지민(太古之民) : 아득한 옛적의 순박한 백성. [ (: 클 태) (: 예 고) (: 갈 지) (: 백성 민) ]
  • 법고창신(法古創新) : 옛 것을 법으로 삼아 새 것을 창조한다는 뜻으로, 과거를 밑거름으로 해서 새로운 것을 도출해낸다는 의미. [ (: 법 법) (: 예 고) (: 비롯할 창) (: 새 신) ]
  • 고금동연(古今同然) : 예전이나 지금이나 모습이나 형편이 같음. [ (: 예 고) (: 이제 금) (: 한가지 동) (: 그러할 연) ]
  • 고래지풍(古來之風) :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풍속. [ (: 예 고) (: 올 래) (: 갈 지) (: 바람 풍) ]
  • 만고절담(萬古絶談) : 만고에 비길 데 없이 훌륭한 말. [ (: 일만 만) (: 예 고) (: 끊을 절) (: 말씀 담) ]

[萬] 일만 만 (1만, 다수, 결코, 크다, 전갈(全蠍))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누거만금 획순 이미지 누거만금(累巨萬金) : (1)'누거만금'의 북한어. (2)매우 많은 돈. [ (: 클 거) (: 일만 만) (: 쇠 금) ]
  • 백천만사(百千萬事) : 온갖 일. [ (: 일백 백) (: 일천 천) (: 일만 만) (: 일 사) ]
  • 억만창생(億萬蒼生) : 수많은 백성. [ (: 억 억) (: 일만 만) (: 푸를 창) (: 날 생) ]
  • 만군지중(萬軍之中) : 많은 군사가 진을 친 가운데. [ (: 일만 만) (: 군사 군) (: 갈 지) (: 가운데 중) ]

[賊] 도둑 적 (도둑, 해치다, 죽이다, 훔치다, 으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개문납적 획순 이미지 개문납적(開門納賊) : 문을 열어 도둑이 들어오게 한다는 뜻으로, 제 스스로 화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 (: 열 개) (: 문 문) (: 들일 납) (: 도둑 적) ]
  • 적출관문(賊出關門) : 도둑이 나간 뒤에 문을 닫는다는 뜻으로,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의미. [ (: 도둑 적) (: 날 출) (: 빗장 관) (: 문 문) ]
  • 만고역적(萬古逆賊) : 세상에 비길 데 없이 괘씸한 역적. [ (: 일만 만) (: 예 고) (: 거스를 역) (: 도둑 적) ]

[逆] 거스를 역 (거스르다, 맞이하다, 거절하다, 생각하다, 헤아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대역무도 획순 이미지 대역무도(大逆無道) : 임금이나 나라에 큰 죄를 지어 도리에 크게 어긋나 있음. 또는 그런 짓. [ (: 큰 대) (: 거스를 역) (: 없을 무) (: 길 도) ]
  • 역이지언(逆耳之言) : 귀에 거슬리는 말이라는 뜻으로, 신랄한 충고를 이르는 말. [ (: 거스를 역) (: 귀 이) (: 갈 지) (: 말씀 언) ]
  • 만고역적(萬古逆賊) : 세상에 비길 데 없이 괘씸한 역적. [ (: 일만 만) (: 예 고) (: 거스를 역) (: 도둑 적) ]
  • 악역무도(惡逆無道) : 비길 데 없이 악독하고 도리에 맞지 않음. [ (: 악할 악) (: 거스를 역) (: 없을 무) (: 길 도) ]
  • 역린(逆鱗) : 임금의 노여움을 이르는 말. 용의 턱 아래에 거꾸로 난 비늘을 건드리면 용이 크게 노하여 건드린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한비자≫의 <세난편(說難編)>에서 유래한다. [ (: 거스를 역) (: 비늘 린) ]

[세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 획순 이미지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 :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 (: 좋을 호) (: 일 사) (: 아니 불) (: 날 출) (: 문 문) (: 악할 악) (: 일 사) (: 갈 행) (: 일천 천) (: 마을 리) ]
  • 초목구후(草木俱朽) :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풀 초) (: 나무 목) (: 함께 구) (: 썩을 후) ]
  • 천하지지(天下之志) : 세상 사람들의 생각이나 뜻. [ (: 하늘 천) (: 아래 하) (: 갈 지) (: 뜻 지) ]
  • 발산개세(拔山蓋世) : 힘은 산을 뽑을 만큼 매우 세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큼 웅대함을 이르는 말. [ (: 뺄 발) (: 메 산) (: 덮을 개) (: 인간 세) ]
  • 무상천류(無常遷流) : 인간 세상이 쉬지 않고 변천함. [ (: 없을 무) (: 항상 상) (: 옮길 천) (: 흐를 류) ]

[세월]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무정세월 획순 이미지 무정세월(無情歲月) : 덧없이 흘러가는 세월. [ (: 없을 무) (: 뜻 정) (: 해 세) (: 달 월) ]
  • 부지세월(不知歲月) : 세월이 가는 줄을 알지 못함. [ (: 아닌가 부) (: 알 지) (: 해 세) (: 달 월) ]
  • 세불아여(歲不我與) : 세월은 나와 더불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월이 덧없이 지나가 나를 기다리지 않는다는 의미. [ (: 해 세) (: 아니 불) (: 나 아) (: 줄 여) ]
  • 태평연월(太平烟月) : 태평한 세월이라는 뜻으로, 편안하고 즐거운 세월을 이르는 말. [烟月은 煙月. 곧 태평한 시절의 의미]. [ (: 클 태) (: 평평할 평) (: 연기 연) (: 달 월) ]
  • 연심세구(年深歲久) : (1)'연심세구'의 북한어. (2)세월이 매우 오래됨. [ (: 깊을 심) (: 해 세) (: 오랠 구)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