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21일 일요일

한자 恕에 관한 단어는 모두 40개

한자 恕에 관한 단어는 모두 40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恕에 관한 단어는 모두 40개

  • 관서 (寬恕) : 죄나 허물 따위를 너그럽게 용서함.
  • 긍서 (矜恕) : 가엾게 여겨 용서함.
  • 서량 (恕諒) : 사정을 헤아려 용서함.
  • 서면 (恕免) : 죄나 허물을 용서하고 벌을 면해 줌.
  • 서용 (恕容) : 잘못을 너그럽게 용서함.
  • 서유 (恕宥) : 잘못을 너그럽게 용서함.
  • 서죄 (恕罪) : 정상을 살피어 죄를 용서함.
  • 양서 (諒恕) : 사정을 헤아려 용서함.
  • 연서 (憐恕) : 불쌍히 여겨 용서함.
  • 용서 (容恕) : 지은 죄나 잘못한 일에 대하여 꾸짖거나 벌하지 아니하고 덮어 줌.
  • 원서 (原恕) : 정상을 동정하여 용서함.
  • 유서 (宥恕) : 너그럽게 용서함.
  • 은서 (恩恕) : 은혜로써 용서함.
  • 인서 (仁恕) : 가엾게 여겨 다른 죄나 허물은 묻지 아니함.
  • 참서 (參恕) :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잘못을 용서함.
  • 충서 (忠恕) : 충성과 용서라는 뜻으로, 충직하고 동정심이 많음. ≪논어≫ <이인편(里仁篇)>에 나오는 말이다.
  • 해서 (海恕) : 바다와 같은 넓은 마음으로 너그럽게 용서함.
  • 곽충서 (郭忠恕) : 중국 후주(後周) 말에서 북송(北宋) 초의 학자ㆍ서화가(?~977). 자는 서선(恕先). 전서(篆書)와 예서(隸書)에 능하였으며, 계척(計尺)을 사용하여 매우 복잡한 누각 건축도 정확하게 그렸다. 저서에 ≪한간(汗簡)≫이 있다.
  • 서한도 (恕限度) : '안전기준'의 전 용어. (안전 기준: 어떤 유해한 환경 조건이 어느 한계까지만 안전할 때, 그 한계가 되는 값.)
  • 용서성 (容恕性) : 용서하여 주는 성품이나 성질.
  • 관서하다 (寬恕하다) : 죄나 허물 따위를 너그럽게 용서하다.
  • 긍서하다 (矜恕하다) : 가엾게 여겨 용서하다.
  • 서량하다 (恕諒하다) : 사정을 헤아려 용서하다.
  • 서면하다 (恕免하다) : 죄나 허물을 용서하고 벌을 면해 주다.
  • 서용하다 (恕容하다) : 잘못을 너그럽게 용서하다.
  • 서유하다 (恕宥하다) : 잘못을 너그럽게 용서하다.
  • 서죄하다 (恕罪하다) : 정상을 살피어 죄를 용서하다.
  • 양서하다 (諒恕하다) : 사정을 헤아려 용서하다.
  • 연서하다 (憐恕하다) : 불쌍히 여겨 용서하다.
  • 용서되다 (容恕되다) : 지은 죄나 잘못한 일로 인해 꾸짖음을 받거나 벌을 받지 아니하고 죄나 잘못이 덮이다.
  • 용서하다 (容恕하다) : 지은 죄나 잘못한 일에 대하여 꾸짖거나 벌하지 아니하고 덮어 주다.
  • 원서되다 (原恕되다) : 정상이 가엾고 딱하게 여겨져 용서되다.
  • 원서하다 (原恕하다) : 정상을 동정하여 용서하다.
  • 유서하다 (宥恕하다) : 상대편의 비행을 용서하는 감정을 표시하다.
  • 은서하다 (恩恕하다) : 은혜로써 용서하다.
  • 인서하다 (仁恕하다) : 가엾게 여겨 다른 죄나 허물은 묻지 아니하다.
  • 참서하다 (參恕하다) :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잘못을 용서하다.
  • 해서하다 (海恕하다) : 바다와 같은 넓은 마음으로 너그럽게 용서하다.
  • 유서 감경 (宥恕減輕) : 법률적으로는 특별한 사유가 없더라도 범죄의 정상에 참작할 만한 사유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법원이 그 형을 줄이거나 가볍게 하는 것.
  • 유서 논죄 (宥恕論罪) : 형사 재판에서, 피고인의 정상을 참작하여 형량을 논의하여 정하는 일.


https://dict.wordrow.kr에서 恕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肇에 관한 단어는 모두 25개

한자 肇에 관한 단어는 모두 25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肇에 관한 단어는 모두 25개

  • 조국 (肇國) : 처음으로 나라가 세워지거나 나라를 세움. 또는 나라가 세워지거나 나라를 세운 처음.
  • 조기 (肇基) : 토대를 닦음.
  • 조동 (肇冬) : 이른 겨울. 주로 음력 10월을 이른다.
  • 조세 (肇歲) : 한 해의 첫머리.
  • 조시 (肇始) : 무엇이 처음 시작됨. 또는 무엇을 처음으로 시작함.
  • 조업 (肇業) : 어떤 사업을 처음으로 시작함.
  • 조역 (肇域) : 땅의 경계를 넓혀서 나라의 영역을 정함.
  • 조조 (肇造) : 처음으로 만듦.
  • 조추 (肇秋) : 이른 가을. 주로 음력 7월을 이른다.
  • 조춘 (早春/肇春) : 이른 봄. 주로 음력 정월을 이른다.
  • 조판 (肇判) : 처음 쪼개어 갈라짐. 또는 그렇게 가름.
  • 조하 (肇夏) : 이른 여름. 주로 음력 4월을 이른다.
  • 김조성 (金肇盛) : 연극인(1901~1949). 호는 춘광(春光). 우미관(優美館)의 주임 변사(主任辯士)를 지냈다. 1937년에 극단 예원좌(藝苑座)를 조직하고, <아리랑>ㆍ<촌색시>ㆍ<안중근 사기(史記)> 따위를 공연하였다. 특히, 직접 각본을 쓴 <검사(檢事)와 여선생>이 유명하다.
  • 조경묘 (肇慶廟) : 조선 시대에, 종친의 먼 시조(始祖)인 신라 사공공(司空公)의 위패(位牌)를 모시던 곳. 영조 47년(1771)에 전주의 경기전(慶基殿) 북쪽에 세웠다.
  • 한광조 (韓光肇) : 조선 영조 때의 문신(1715~1768). 자는 자시(子始). 호는 남정(南庭)ㆍ남애(南厓). 이조 참의ㆍ승지까지 지냈으나 왕이 장헌 세자를 죽이려 할 때 이를 반대하다가 유배되었다. 후에 다시 복직되어 대사헌ㆍ참판을 지냈다.
  • 조국하다 (肇國하다) : 처음으로 나라가 세워지다. 또는 처음으로 나라를 세우다.
  • 조기왕적 (肇基王跡) : 개국(開國)의 기초.
  • 조기하다 (肇基하다) : 토대를 닦다.
  • 조시되다 (肇始되다) : 무엇이 처음 시작되다.
  • 조시하다 (肇始하다) : 무엇이 처음 시작되다. 또는 무엇을 처음으로 시작하다.
  • 조업하다 (肇業하다) : 어떤 사업을 처음으로 시작하다.
  • 조역하다 (肇域하다) : 땅의 경계를 넓혀서 나라의 영역을 정하다.
  • 조조하다 (肇造하다) : 처음으로 만들다.
  • 조판하다 (肇判하다) : 처음 쪼개어 갈라지다. 또는 그렇게 가르다.
  • 흥왕조승 (興王肇乘) : 조선 정조 23년(1799)에 홍양호가 쓴 사서(史書). 고려 우왕 때부터 조선 건국까지의 연혁을 상세히 밝혔다. 4권 2책.


https://dict.wordrow.kr에서 肇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靂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한자 靂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靂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개

  • 벽력 (霹靂) : 공중의 전기와 땅 위의 물체에 흐르는 전기 사이에 방전 작용으로 일어나는 자연 현상.
  • 벽력거 (霹靂車) : 예전에, 중국에서 쓰던 전쟁용 수레. 적진에 돌을 발사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
  • 벽력금 (霹靂琴) : '구공금'의 다른 이름. 소리가 벽력같이 큰 거문고라는 뜻이다. (구공금: 동고(東皐) 이명(李蓂)이 가지고 있었다는 거문고의 이름.)
  • 벽력살 (霹靂煞) : 물건 따위를 잘못 건드리면 벽력을 낸다는 살.
  • 벽력성 (霹靂聲) : 벼락 치는 소리.
  • 벽력화 (霹靂火) : 육십갑자에서, 무자(戊子)ㆍ기축(己丑)의 납음(納音)을 이르는 말.
  • 뇌성벽력 (雷聲霹靂) : 천둥소리와 벼락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뇌정벽력 (雷霆霹靂) : 천둥과 벼락이 격렬하게 침. 또는 그런 천둥과 벼락.
  • 도끼벽력 (도끼霹靂) : 사정없이 도끼로 내리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벽력같다 (霹靂같다) : 목소리가 매우 크고 우렁차다.
  • 벽력같이 (霹靂같이) : 목소리가 매우 크고 우렁차게.
  • 인간벽력 (人間霹靂) : 사람이 내리는 벼락이라는 뜻으로, '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총: 화약의 힘으로 그 속에 든 탄환을 나가게 하는 무기. 권총, 기관총, 소총, 엽총 따위가 있다.)
  • 청천벽력 (靑天霹靂) : 맑게 갠 하늘에서 치는 날벼락이라는 뜻으로, 뜻밖에 일어난 큰 변고나 사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뇌정벽력하다 (雷霆霹靂하다) : 천둥과 벼락이 격렬하게 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靂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吹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6개

한자 吹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6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吹에 관한 단어는 모두 106개

  • 가취 (歌吹) : 노래를 부르고 관악기를 붊.
  • 고취 (鼓吹) : 북을 치고 피리를 붊.
  • 남취 (濫吹)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내취 (內吹) : 조선 시대에, 오군영에서 군악을 연주하며 북을 치던 사람.
  • 대취 (大吹) : 입으로 크게 붊.
  • 삼취 (三吹) : 예전에, 군대가 출발할 때 세 차례 나팔을 불던 일.
  • 역취 (力吹) : 국악에서, 고음을 내기 위하여 관악기를 힘주어 붊. 또는 그런 연주법. 평취(平吹)보다 한 옥타브 위의 음을 낸다.
  • 염취 (鹽吹) : 새조갯과의 연체동물. 껍데기의 길이는 9.5cm, 높이는 9.5cm, 폭은 6.5cm 정도이고 원반 모양으로 볼록하다. 매끈매끈하고 46~47개의 물결 모양의 방사상 맥과 잔털이 있다. 안쪽은 붉고 보드라운데 살은 엷은 잿빛이다. 5~10월에 산란하고 맛이 좋아 식용한다. 만(灣) 안의 수심 10~30미터의 진흙 섞인 모래땅에 사는데 한국, 일본, 대만 연안에 분포한다.
  • 유취 (乳吹) : 산전이나 산후에 유방에 멍울이 서면서 붓고 아픈 증상.
  • 재취 (再吹) : 행군 때에 두 번째로 나발을 불던 일. 군대를 출동시키는 신호이다.
  • 저취 (低吹) : 국악에서, 저음을 내기 위하여 관악기를 여리게 붊. 또는 그런 연주법.
  • 초취 (初吹) : 행군 때에 첫 번째로 나발을 불던 일.
  • 취각 (吹角) : 각을 붊.
  • 취관 (吹管) : 취관 분석에서 취관염을 만드는 데에 쓰는, 놋쇠로 만든 엘(L) 자형 기구. 한쪽 끝을 불꽃 속으로 넣고 다른 쪽 끝에서 공기를 불어 넣는다.
  • 취구 (吹口) : 나팔, 피리, 취관(吹管) 따위에서 입김을 불어 넣는 구멍.
  • 취동 (吹動) : 바람이 불어 흔들림.
  • 취라 (吹螺) : 소라를 붊.
  • 취랑 (吹浪) : 물고기가 숨을 쉬기 위하여 물 위에 떠서 입을 벌렸다 오므렸다 함.
  • 취련 (吹鍊) : 광석을 용광로에 넣고 녹여서 함유한 금속을 분리ㆍ추출하여 정제하는 일.
  • 취만 (吹滿) : '취만하다'의 어근. (취만하다: 바람이 불어 가득하다.)
  • 취명 (吹鳴) : 사이렌 따위를 불어 울림.
  • 취모 (吹毛) : 상처를 찾으려고 털을 불어 헤친다는 뜻으로, 억지로 남의 작은 허물을 들추어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취설 (吹雪) : 바람에 불리어 휘몰아쳐 날리는 눈.
  • 취유 (吹乳) : 산전이나 산후에 유방에 멍울이 서면서 붓고 아픈 증상.
  • 취입 (吹入) : 공기 따위를 불어 넣음.
  • 취적 (吹笛) : 피리를 붊. 또는 그런 사람.
  • 취주 (吹奏) : 저, 피리, 나발 따위의 관악기를 불어서 연주함.
  • 취청 (吹靑) : 중국 청나라 강희제 때에, 장시성(江西省) 징더전(景德鎭)의 장요(藏窯)에서 나던 자기(瓷器)의 하나. 밑바탕에 오수(吳須)를 점점이 뿌려 놓은 듯한 무늬가 있다.
  • 취타 (吹打) : 군대에서, 관악기와 타악기를 연주하던 일. 또는 그런 군악. 대취타와 소취타의 두 가지가 있었다.
  • 취탄 (吹彈) : 관악기를 불거나 현악기를 켬. 또는 음악을 연주함.
  • 취허 (吹噓) : 남이 잘한 것을 과장되게 칭찬하여 천거함.
  • 취홍 (吹紅) : 중국 청나라 강희제 때에, 장요(臧窯)에서 나던 자기(瓷器)의 하나.
  • 평취 (平吹) : 국악에서, 보통 세기의 입김으로 관악기를 붊. 또는 그런 연주법.
  • 횡취 (橫吹) : 서역(西域)에서 중국으로 전래된 피리의 하나.
  • 겸내취 (兼內吹) : 조선 시대에, 선전관청에 속한 악대. 임금의 앞에서는 군악을 연주하고, 임금이 궁성 밖으로 나들이할 때나 정전(正殿)으로 들어갈 때는 시위(侍衛)를 하였다.
  • 고취악 (鼓吹樂) : 북을 치고 피리를 부는 음악.
  • 난후취 (攔後吹) : 임금이 탄 수레의 뒤를 따르던 취악대.
  • 대취타 (大吹打) : 취타와 세악을 갖춘 대규모의 군악. 징, 자바라, 장구, 용고와 나각, 나발, 태평소 따위로 편성되며, 주로 진문(陣門)을 크게 여닫을 때, 군대가 행진하거나 개선할 때, 능행에 임금이 성문을 나갈 때에 취주하였다.
  • 소취타 (小吹打) : 진문(陣門)을 여닫을 때 하던 약식의 취타. 매일 새벽과 밤에 행하였다.
  • 양취등 (洋吹燈) : 마찰에 의하여 불을 일으키는 물건. 작은 나뭇개비의 한쪽 끝에 황 따위의 연소성 물질을 입혀 만든다. 황린(黃燐), 적린(赤燐), 무린(無燐) 성냥 따위가 있다.
  • 원내취 (元內吹) : 조선 시대에, 선전관청에 속한 서울 출신의 취타수.
  • 취고수 (吹鼓手) : 군대의 취타수와 세악수를 통틀어 이르던 말.
  • 취관염 (吹管焰) : 타오르는 불꽃에 대롱을 대고 불어서 산화력이나 환원력을 지니게 만든 불꽃. 푸른 불꽃은 환원력이 세고 붉은 불꽃은 산화력이 세다.
  • 취기법 (吹氣法) : 관악기에 입김을 불어 넣는 방법.
  • 취라적 (吹螺赤) : 조선 시대에, 군대에서 나각을 불던 취타수.
  • 취라치 (吹螺chi) : 조선 시대에, 군대에서 나각을 불던 취타수.
  • 취련소 (吹鍊所) : 제련을 하는 곳.
  • 취비법 (吹鼻法) : 코안에 약을 넣어서 콧병을 치료하는 방법.
  • 취송류 (吹送流) : 수면 위를 부는 바람에 의하여 생겨나는 물의 흐름. 일정한 풍향의 바람이 거센 대양에서는 대규모로 일어나기도 한다.
  • 취악기 (吹樂器) : 입으로 불어서 관 안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 목관 악기와 금관 악기의 두 가지가 있다.
  • 취악수 (吹樂手) : 세악의 풍류를 하던 군악병.
  • 취입구 (吹入口) : 공기 따위를 불어 넣는 구멍이나 문.
  • 취주악 (吹奏樂) : 목관 악기, 금관 악기 따위의 관악기를 주체로 하고 타악기를 곁들인 합주 음악. 군악(軍樂)이 대표적이다.
  • 취타수 (吹打手) : 대포(大砲)를 놓던 군사.
  • 취풍기 (吹風機) : 바람을 불어 내는 기계.
  • 취항어 (吹肛魚) : 참복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50cm이고 가시가 없고 밋밋하며, 등에는 흰무늬가 있다. 복 가운데 가장 맛이 있어 식용하나 맹독을 지닌다. 사할린 서남부에서 중국 동해안까지 분포한다.
  • 큰취타 (큰吹打) : 취타와 세악을 갖춘 대규모의 군악. 징, 자바라, 장구, 용고와 나각, 나발, 태평소 따위로 편성되며, 주로 진문(陣門)을 크게 여닫을 때, 군대가 행진하거나 개선할 때, 능행에 임금이 성문을 나갈 때에 취주하였다.
  • 향취수 (鄕吹手) : 조선 순조 때에, 수어청에 속하여 관악기를 불던 사람.
  • 황내취 (黃內吹) : 조선 시대에, 노란색 옷을 입고 군악(軍樂)을 연주하던 악대.
  • 회취법 (灰吹法) : 금이나 은이 들어 있는 연광(鉛鑛)에서 금, 은을 채취하여 시금하는 방법. 납이 섞인 금, 은 광석을 녹이고 그 속에 골회와 산화 마그네슘 분말 따위를 넣어서 납의 산화물을 제거하여 금이나 은을 얻는다.
  • 횡취곡 (橫吹曲) : 서역에서 중국 한나라에 전래된 악곡의 하나. 군악(軍樂)으로 발전하여 무악에 속하며, 북과 각(角) 따위의 악기로 연주되었다.
  • 흑내취 (黑內吹) : 조선 시대에, 검은색 옷을 입고 군악을 연주하던 악대.
  • 가취하다 (歌吹하다) : 노래를 부르고 관악기를 불다.
  • 고취되다 (鼓吹되다) : 북이 쳐지고 춤이 추어지다.
  • 고취하다 (鼓吹하다) : 북을 치고 춤을 추다.
  • 군중취타 (軍中吹打) : 대취타의 태평소 가락을 2율 높여 조옮김한 곡. 원래 군중에서 연주하던 음악이었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으며, 거문고의 7괘 연주법과 4괘 연주법이 있다.
  • 누진취영 (鏤塵吹影) : 먼지에 새기고 그림자를 입으로 분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노력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대취하다 (大吹하다) : 입으로 크게 불다.
  • 소횡취부 (小橫吹部) : 중국 수나라 때의 고취악 4부 가운데 하나.
  • 속악고취 (俗樂鼓吹) : 속악으로 임금의 행차에 쓰던 음악. 조선 연산군 때부터 비롯하였다.
  • 역취하다 (力吹하다) : 국악에서, 고음을 내기 위하여 관악기를 힘주어 불다. 평취(平吹)하는 것보다 한 옥타브 위의 음을 내는 일다.
  • 재취하다 (再吹하다) : 행군 때에 두 번째로 나발을 불다. 군대를 출동시킬 때 신호로 하였다.
  • 저취하다 (低吹하다) : 국악에서, 저음을 내기 위하여 관악기를 여리게 불다.
  • 전정고취 (殿庭鼓吹) : 대궐 뜰에서 베풀던 행사에 연주하던 고취악. 헌가악(軒架樂)에는 <여민락령>을, 군신 배례에는 <낙양춘>을 연주하였다.
  • 취동하다 (吹動하다) : 바람이 불어 흔들리다.
  • 취라하다 (吹螺하다) : 소라를 불다.
  • 취랑하다 (吹浪하다) : 물고기가 숨을 쉬기 위하여 물 위에 떠서 입을 벌렸다 오므렸다 하다.
  • 취련하다 (吹鍊하다) : 광석을 용광로에 넣고 녹여서 함유한 금속을 분리ㆍ추출하여 정제하다.
  • 취만하다 (吹滿하다) : 바람이 불어 가득하다.
  • 취명하다 (吹鳴하다) : 사이렌 따위를 불어 울리다.
  • 취모구자 (吹毛求疵) : 상처를 찾으려고 털을 불어 헤친다는 뜻으로, 억지로 남의 작은 허물을 들추어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취모멱자 (吹毛覓疵) : 상처를 찾으려고 털을 불어 헤친다는 뜻으로, 억지로 남의 작은 허물을 들추어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취악내취 (吹樂內吹) : 조선 시대에, 선전관청에 속하여 징, 꽹과리, 호적, 나팔, 나각, 자바라 따위의 군악기를 쓰던 악대(樂隊).
  • 취입되다 (吹入되다) : 공기 따위가 불어져 넣어지다.
  • 취입하다 (吹入하다) : 레코드나 녹음기의 녹음판에 소리를 넣다.
  • 취적하다 (吹笛하다) : 피리를 불다.
  • 취주하다 (吹奏하다) : 저, 피리, 나발 따위의 관악기를 불어서 연주하다.
  • 취타하다 (吹打하다) : 군대에서, 관악기와 타악기를 연주하다. 대취타를 연주하는 일과 소취타를 연주하는 일이 있었다.
  • 취탄하다 (吹彈하다) : 관악기를 불거나 현악기를 켜다. 또는 음악을 연주하다.
  • 취허하다 (吹噓하다) : 남이 잘한 것을 과장되게 칭찬하여 천거하다.
  • 평취하다 (平吹하다) : 국악에서, 보통 세기의 입김으로 관악기를 불다.
  • 취철사무늬 (吹鐵沙무늬) : 분청사기에서, 상감 부분에 철분의 안료를 뿜어 만든 무늬.
  • 취모구자하다 (吹毛求疵하다) : (비유적으로) 억지로 남의 작은 허물을 들추어내다. 상처를 찾으려고 털을 불어 헤친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취모멱자하다 (吹毛覓疵하다) : (비유적으로) 억지로 남의 작은 허물을 들추어내다. 상처를 찾으려고 털을 불어 헤친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산수소 취관 (酸水素吹管) : 산수소 불꽃을 내는 데 쓰는, 이중으로 된 금속관. 내관은 산소를, 외관은 수소를 통하게 하고, 각 기체의 양은 고동으로 조절하면서 관의 끝에 불을 붙인다.
  • 어전 취타 (御前吹打) : 임금이 탄 수레 앞에서 연주하던 취타.
  • 전부 고취 (前部鼓吹) : 임금의 거둥 때에 수레 앞에서 연주하던 악대.
  • 전후 고취 (殿後鼓吹) : 임금이 대궐을 나설 때와 돌아올 때에 연주하던 고취악.
  • 취관 분석 (吹管分析) : 숯의 겉면에 만든 작은 구멍 속에 시료 가루를 넣어, 취관으로 겉불꽃 또는 속불꽃을 뿜어 그 변화에 따라 화학 성분을 추정하는 일.


https://dict.wordrow.kr에서 吹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方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58개

한자 方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5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方에 관한 단어는 모두 1458개

  • 방 (方) : 한약을 가공하는 방법의 하나. 서각 같은 딱딱한 약재를 줄칼이나 대패 같은 기구로 깎아 쓰는 것을 이른다.
  • 방 (方)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온양(溫陽), 군위(軍威), 남원(南原) 등 20여 본이 현존한다.
  • 각방 (各方) : 여러 방면.
  • 간방 (艮方) :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동(正東)과 정북(正北) 사이 한가운데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 간방 (間方) : 정동(正東), 정남(正南), 정서(正西), 정북(正北) 네 방위의 각 사이를 가리키는 방위.
  • 감방 (坎方) : 팔방의 하나. 정북(正北)을 중심으로 한 45도 각도 안의 방향으로 북쪽을 이른다.
  • 갑방 (甲方) :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동(正東)에서 북으로 15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안의 방향이다.
  • 개방 (開方) : 제곱근이나 세제곱근 따위를 계산하여 답을 구함. 또는 그런 일.
  • 건방 (乾方) : 팔방의 하나. 정북(正北)과 정서(正西) 사이 한가운데를 중심으로 한 4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 겸방 (兼方) : 서로 다른 작용을 하는 약재를 하나의 처방에 배합ㆍ조성하여 함께 쓰는 일.
  • 경방 (輕方) : 작용이 비교적 약한 약들로 구성된 처방.
  • 경방 (庚方) :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서(正西)에서 남으로 15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 계방 (季方) : 사내 아우.
  • 계방 (癸方) :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북(正北)에서 동(東)으로 15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 고방 (古方) : 예로부터 행하던 방법.
  • 곤방 (坤方) : 팔방의 하나. 정남(正南)과 정서(正西) 한가운데를 중심으로 한 45도 안의 방향이다.
  • 공방 (公方) : '공방하다'의 어근. (공방하다: 공평하고 올바르다.)
  • 공방 (孔方) : '엽전'을 달리 이르는 말. 엽전의 가운데 네모난 구멍이 있으므로 이렇게 이른다. (엽전: 예전에 사용하던, 놋쇠로 만든 돈. 둥글고 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다. 고려 시대의 삼한중보ㆍ삼한통보ㆍ동국중보ㆍ해동중보 따위와, 조선 시대의 조선통보ㆍ상평통보ㆍ당백전ㆍ당오전 따위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이 스스로를 낮잡아 이르는 말.)
  • 관방 (官方) : 관리들이 지켜야 할 규율.
  • 귀방 (鬼方) : 남쪽의 둘째 별자리인 귀성(鬼星)이 있다는 방위(方位). 점술가들이 귀신이 드나든다 하여 매사에 꺼리는 방위로서, 동북방을 가리킨다.
  • 근방 (近方) : 가까운 곳.
  • 금방 (今方) : 말하고 있는 시점부터 바로 조금 후에.
  • 금방 (禁方) : 남에게 함부로 전하여 주지 않는 약방문.
  • 급방 (急方) : 급하고 위중한 병을 치료하는 처방. 약의 효과가 빨리 나타난다.
  • 기방 (奇方) : 기이한 방술(方術)이나 방법.
  • 남방 (南方) : 백제에서, 지방에 두었던 오방(五方) 가운데 '구지하성'을 이르던 말. (구지하성: 백제의 지방 행정 구역인 오방(五方) 가운데 남방에 있던 성. 전라남도 장성 부근으로 추정된다.)
  • 남방 (南方) : 네 방위의 하나. 나침반의 에스(S) 극이 가리키는 방위이다.
  • 내방 (內方) : 안으로 향한 부분이나 안에 있는 부분.
  • 다방 (多方) : 여러 방면. 또는 여러 방향.
  • 단방 (單方) : 한 가지 약재로 약을 조제함. 또는 그 약제(藥劑).
  • 당방 (當方) : 이쪽. 또는 우리 쪽.
  • 대방 (大方) : 작용이 강한 약을 한 번에 많이 써서 중병을 치료하는 약방문.
  • 대방 (貸方) : 복식 부기의 분개법(分介法)에서, 장부상의 계정계좌의 오른쪽 부분. 자산(資産)의 감소(減少), 부채나 자본의 증가, 이익의 발생 따위를 기입한다.
  • 대방 (帶方) :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에, 공손강이 옛 진번 땅에 설치한 군. 고구려 미천왕 14년(313)에 낙랑이 멸망한 뒤 고구려에 병합되었다.
  • 대방 (大方) : 문장이나 학술이 뛰어난 사람.
  • 동방 (東方) : 동쪽 지방.
  • 동방 (東方)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진주(晉州), 청주(淸州) 등이 현존한다.
  • 등방 (等方) : 기체, 액체, 유리 따위로 된 물체의 물리적 성질이 물체 내의 방향에 따라 다르지 아니하고 같음.
  • 만방 (萬方) : 모든 곳.
  • 모방 (모方) : 한자 부수의 하나. '於', '旁' 따위에 쓰인 '方'을 이른다.
  • 묘방 (妙方) : 효험이 있는 처방이나 약방문.
  • 묘방 (卯方) :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동(正東)을 중심으로 한 15도 안의 방향이다.
  • 미방 (未方) :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남(正南)에서 서로 30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안의 방향이다.
  • 방감 (方酣) : '방감하다'의 어근. (방감하다: 기운이나 흥이 한창 무르익어 있다.)
  • 방갓 (方갓) : 예전에, 주로 상제가 밖에 나갈 때 쓰던 갓. 가는 대오리를 결어서 큰 삿갓 모양으로 만들되 네 귀를 우묵하게 패고 그 밖은 둥그스름하게 만들었다.
  • 방개 (方蓋) : 아악기인 건고(建鼓)의 북통 위에 세우는, 이 층으로 장식한 네모진 덮개. 아래층이 위층보다 약간 큰데, 각 층마다 네 개의 붉은 기둥을 받치고 붉은색과 초록색의 비단 휘장을 두른다.
  • 방경 (方磬) : → 방향. (방향: 당악기(唐樂器)에 속하는 타악기의 하나. 16개의 철편(鐵片)을 틀의 상단과 하단에 8개씩 매어 놓고 망치 모양의 각퇴(角槌)로 쳐서 소리를 낸다.)
  • 방경 (方鏡) :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금속으로 만든 거울.
  • 방골 (方骨) : 위턱과 아래턱의 두 끝을 잇는 작은 뼈. 포유류에서는 귓속뼈의 하나인 모루뼈로 변하였다.
  • 방과 (方菓) : 네모지게 만든 과줄.
  • 방극 (方極) : 몹시 바쁜 때.
  • 방금 (方今) : 말하고 있는 시점(時點)보다 바로 조금 전.
  • 방급 (方急) : '방급하다'의 어근. (방급하다: 매우 급하다.)
  • 방농 (方濃) : '방농하다'의 어근. (방농하다: 바야흐로 짙다.)
  • 방단 (方壇) : 네모지게 쌓아 올린 단.
  • 방당 (方塘) : 네모진 연못.
  • 방대 (方臺) : 악기를 받쳐 놓는 여러 가지 모양의 제구(諸具).
  • 방도 (方道/方途) : 어떤 일을 하거나 문제를 풀어 가기 위한 방법과 도리.
  • 방동 (方冬) : 바야흐로 겨울이라는 뜻으로, 음력 10월을 달리 이르는 말.
  • 방두 (方斗) : 곡식 따위를 되는 말의 하나. 네 모가 반듯하다.
  • 방등 (方等) : 부처가 사람들에게 이익을 고루 주는 일. 대승 불교에서는 방정(方正)하고 광대(廣大)하며 평등한 도리를 설법한 것이라고 한다.
  • 방략 (方略) : 일을 꾀하고 해 나가는 방법과 계략.
  • 방렴 (方廉) : '방렴하다'의 어근. (방렴하다: 행동이 바르고 강직하며 청렴하다.)
  • 방령 (方領) : 백제 때에, 지방 행정 조직인 오방(五方)에 각각 속하여 행정을 맡아보던 으뜸 벼슬.
  • 방령 (方領) : 무 품종의 하나.
  • 방령 (方領) : 격에 어울리지 않게 넓적하게 단 옷깃.
  • 방뢰 (方賂) : 그 지방에서 나는 물건.
  • 방리 (方里) : 사방으로 일 리(里)가 되는 넓이.
  • 방립 (方笠) : 예전에, 주로 상제가 밖에 나갈 때 쓰던 갓. 가는 대오리를 결어서 큰 삿갓 모양으로 만들되 네 귀를 우묵하게 패고 그 밖은 둥그스름하게 만들었다.
  • 방멱 (方冪) : 어떤 한 점 P를 지나는 임의의 직선이 정원(定圓) O와 만나는 점을 A, B라 할 때, 선분 PA와 PB의 곱.
  • 방면 (方面) : 어떤 장소나 지역이 있는 방향. 또는 그 일대.
  • 방면 (方面) : 네모반듯한 얼굴.
  • 방명 (方命) : 명령을 어김.
  • 방명 (方明) : 예전에, 나무로 네모지게 만든 제기(祭器)를 이르던 말.
  • 방문 (方文) : 약을 짓기 위하여 약 이름과 약의 분량을 적은 종이.
  • 방물 (方物) : 관찰사나 수령이 임금에게 바치던 그 고장의 특산물.
  • 방백 (方伯) : '도지사'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도지사: 한 도(道)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 자치 단체장.)
  • 방법 (方法) : 어떤 일을 해 나가거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취하는 수단이나 방식.
  • 방분 (方墳) : 고분의 한 형태로, 봉토의 평면이 네모꼴로 된 무덤.
  • 방사 (方事) : 변방에서 일어난 사고.
  • 방사 (方士) : 신선의 술법을 닦는 사람.
  • 방산 (方繖) : 우산과 비슷하게 생긴 의장(儀仗). 자방산, 청방산, 청화 방산, 홍방산, 적방산 따위가 있다.
  • 방산 (方山) : 탕건에서, 턱이 져서 올라간 뒷부분.
  • 방상 (方相) : 불도 수행을 할 때 여러 가지 장애를 막기 위하여 사방에 돌을 세우거나 나무를 심어 경계로 삼는 일.
  • 방상 (方上) : 양쪽의 콧방울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 방상 (方箱) : 네모난 상자.
  • 방상 (方相) : 방상시가 쓰는 탈.
  • 방색 (方色) : 동, 서, 남, 북, 중(中)의 다섯 방위에 따른 파랑, 하양, 빨강, 검정, 노랑의 다섯 가지 색깔.
  • 방서 (方書) : 신선의 술법인 방술(方術)을 적은 글이나 책.
  • 방석 (方石) : 사각의 돌.
  • 방석 (方席) : 앉을 때 밑에 까는 작은 깔개. 네모지거나 둥글며, 주로 밑이 배기거나 바닥이 찰 때 쓴다.
  • 방성 (方城) : 백제 때에 지방 행정 구역 단위인 방(方)에 있던 성. 중앙은 고사성, 동방은 득안성, 남방은 구지하성, 서방은 도선성 혹은 역광성, 북방은 웅진성이라고 하였다.
  • 방성 (方盛) : 바야흐로 기세가 한창 일어남.
  • 방소 (方所) : 공간의 어떤 점이나 방향이 한 기준의 방향에 대하여 나타내는 어떠한 쪽의 위치. 동서남북의 네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8방향, 16방향, 32방향으로 세분한다.
  • 방속 (方俗) : 지방의 풍속.
  • 방수 (方數) : '제곱수'의 전 용어. (제곱수: 어떤 수를 제곱하여 얻은 수. 1, 4, 9, 16, 25 따위가 있다.)
  • 방수 (方수) : → 방위. (방위: 공간의 어떤 점이나 방향이 한 기준의 방향에 대하여 나타내는 어떠한 쪽의 위치. 동서남북의 네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8방향, 16방향, 32방향으로 세분한다., 음양(陰陽), 오행(五行), 간지(干支), 팔괘(八卦) 따위를 배치하여 사람의 길흉화복과 결부시킨 방향.)
  • 방수 (方手) : 방법과 수단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방술 (方術) : 방법과 기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


https://dict.wordrow.kr에서 方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父에 관한 단어는 모두 337개

한자 父에 관한 단어는 모두 337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父에 관한 단어는 모두 337개

  • 부 (父) : 문어체에서, '아버지'를 이르는 말. (아버지: 자기를 낳아 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녀를 둔 남자를 자식에 대한 관계로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녀의 이름 뒤에 붙여, 자기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기를 낳아 준 남자처럼 삼은 이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기의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남자를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시조부모 앞에서 시아버지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어떤 일을 처음 이루거나 완성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독교에서, '하나님'을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하나님: '하느님'을 개신교에서 이르는 말.))
  • 가부 (家父) : 집안의 아버지라는 뜻으로,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 가부 (假父) : 어머니가 재혼함으로써 생긴 아버지.
  • 계부 (繼父) : 어머니가 재혼함으로써 생긴 아버지.
  • 계부 (季父) : 아버지의 막내아우.
  • 공보 (孔父) : '공자'의 다른 이름. (공자: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ㆍ학자(B.C.551~B.C.479).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노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인(仁)을 정치와 윤리의 이상으로 하는 도덕주의를 설파하여 덕치 정치를 강조하였다. 만년에는 교육에 전념하여 3,000여 명의 제자를 길러 내고, ≪시경≫과 ≪서경≫ 등의 중국 고전을 정리하였다. 제자들이 엮은 ≪논어≫에 그의 언행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 공부 (孔父) : '공자'의 다른 이름. (공자: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ㆍ학자(B.C.551~B.C.479).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노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인(仁)을 정치와 윤리의 이상으로 하는 도덕주의를 설파하여 덕치 정치를 강조하였다. 만년에는 교육에 전념하여 3,000여 명의 제자를 길러 내고, ≪시경≫과 ≪서경≫ 등의 중국 고전을 정리하였다. 제자들이 엮은 ≪논어≫에 그의 언행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 교부 (敎父) : 고위 성직자를 이르는 말.
  • 구부 (舅父) : 어머니의 남자 형제를 이르는 말.
  • 국부 (國父) : 나라를 세우는 데 공로가 많아 국민에게 존경받는 위대한 지도자를 이르는 말.
  • 군부 (君父) : 임금과 아버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내부 (乃父) : '네 아비', '이 아비'라는 뜻으로, 주로 편지글에서, 아버지가 자녀에게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 노부 (老父) : 윗사람에게 자기의 늙은 아버지를 낮추어 이르는 말.
  • 농부 (農父) : 농사일로 늙은 사람.
  • 대부 (代父) : 어떤 분야에서, 영향력이 가장 큰 남자 지도자.
  • 대부 (大父) : 할아버지와 같은 항렬인 유복친 외의 남자 친척.
  • 동부 (同父) : 아버지는 같고 어머니가 다름.
  • 동부 (東父) :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남자 신선의 우두머리. 여자 신선은 서왕모가 거느린다고 한다.
  • 망부 (亡父) : 죽은 아버지.
  • 배부 (背父) : 아버지를 배반함.
  • 백부 (伯父) : 둘 이상의 아버지의 형 가운데 맏이가 되는 형을 이르는 말.
  • 병부 (病父) : 병든 아버지.
  • 부계 (父系) : 아버지 쪽의 혈연 계통.
  • 부공 (父公) :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아버지: 자기를 낳아 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녀를 둔 남자를 자식에 대한 관계로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녀의 이름 뒤에 붙여, 자기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기를 낳아 준 남자처럼 삼은 이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기의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남자를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시조부모 앞에서 시아버지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어떤 일을 처음 이루거나 완성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독교에서, '하나님'을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하나님: '하느님'을 개신교에서 이르는 말.))
  • 부교 (父敎) : 아버지의 가르침.
  • 부교 (父交) : 아버지의 친구로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어른을 높여 이르는 말.
  • 부군 (父君) :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부권 (父權) : 아버지가 가지는 친권(親權).
  • 부기 (父忌) : 아버지의 죽음.
  • 부녀 (父女) : 아버지와 딸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부도 (父道) : 아버지로서 지켜야 할 도리.
  • 부로 (父老) : 한 동네에서 나이가 많은 남자 어른을 높여 이르는 말.
  • 부명 (父命) : 아버지의 명령.
  • 부명 (父名) : 아버지의 이름.
  • 부모 (父母) : 아버지와 어머니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부사 (父師) : 아버지와 스승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부사 (父事) : 아버지를 섬기는 예(禮)로써 나이 많은 어른을 섬김.
  • 부상 (父喪) : 아버지의 상사(喪事).
  • 부서 (父書) : 편지글에서, 아버지가 썼다는 뜻으로 편지의 맨 끝에 쓰는 말.
  • 부성 (父性) : 남성이 아버지로서 가지는 정신적ㆍ육체적 성질. 또는 그런 본능.
  • 부업 (父業) : 아버지의 직업.
  • 부왕 (父王) : 왕자나 공주가 자기의 아버지인 임금을 이르던 말. 또는 다른 사람이 왕자나 공주의 처지에서 아버지인 임금을 이르던 말.
  • 부음 (父音) :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해 구강 통로가 좁아지거나 완전히 막히는 따위의 장애를 받으며 나는 소리. 자음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는데, 국어의 경우에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의 부류는 양순음(ㅂ, ㅃ, ㅍ, ㅁ), 치조음(ㄷ, ㄸ, ㅌ, ㅅ, ㅆ, ㄴ, ㄹ), 경구개음(ㅈ, ㅉ, ㅊ), 연구개음(ㄱ, ㄲ, ㅋ, ㅇ), 성문음(ㅎ)이 있으며, 조음 방법에 따른 부류는 파열음(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파찰음(ㅈ, ㅉ, ㅊ), 마찰음(ㅅ, ㅆ, ㅎ), 유음(ㄹ), 비음(ㄴ, ㅁ, ㅇ)이 있다.
  • 부자 (父子) : 아버지와 아들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부정 (父情) : 자식에 대한 아버지의 정.
  • 부제 (父帝) : 아버지인 제왕.
  • 부조 (父祖) :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부주 (父祖) : 태어날 때부터 자손에게 전해져 내려오는 소질이나 성질.
  • 부주 (父主) : 한문 투의 편지에서, '아버님'의 뜻으로 쓰는 말. (아버님: 시아버지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아버지'의 높임말. 주로 돌아가신 아버지를 이르거나 편지글 따위에서 쓴다. (아버지: 자기를 낳아 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아버지'의 높임말. (아버지: 자녀를 둔 남자를 자식에 대한 관계로 이르거나 부르는 말.), '아버지'의 높임말. (아버지: 자기를 낳아 준 남자처럼 삼은 이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아버지'의 높임말. (아버지: 자기의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남자를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장인'을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장인: 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늙은이를 이르는 말., 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 부집 (父執) : 아버지의 친구로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어른을 높여 이르는 말.
  • 부측 (父側) : 아버지의 곁. 또는 아버지의 슬하.
  • 부친 (父親) : '아버지'를 정중히 이르는 말. (아버지: 자기를 낳아 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 부칭 (父稱) : 아버지의 이름에 연유하여 짓는 이름. 고대 그리스에서는 별명처럼 쓰이다가 성으로 굳어졌고, 러시아의 경우 자식의 이름과 성 사이에 붙인다.
  • 부형 (父型) : 활자의 모형(母型)을 만드는 데 쓰는 구멍 뚫는 기계. 문자 및 선의 대소, 방향 따위를 활자와 동일하게 부형 조각기로 연강(軟鋼)에 조각하여 담금질로 경화(硬化)한 다음에 모형재(母型材)를 박아서 모형을 만든다.
  • 부형 (父兄) : 아버지와 형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분부 (粉父) : 부마(駙馬)의 아버지.
  • 빙부 (聘父) : 다른 사람의 장인(丈人)을 이르는 말.
  • 사부 (師父) : '스승'을 높여 이르는 말. (스승: 자기를 가르쳐서 인도하는 사람.)
  • 삼부 (三父) : 복제(服制)에서, 최복(衰服)을 입는 아버지와 구별되던 세 계부(繼父). 함께 사는 계부, 함께 살지 않는 계부, 친모가 후살이 간 데 따라가서 섬기는 계부를 이른다.
  • 상보 (尙父/尙甫) : 아버지와 같이 존경하여 받들어 모시거나 그런 높임을 받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임금이 특별한 대우로 신하에게 내리던 존칭의 하나. 중국에서 주나라 무왕이 처음 태공망에게 주었고,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경종이 경순왕에게 주었다.
  • 생부 (生父) : 자기를 낳은 아버지.
  • 선보 (宣父) : '공자'의 높임말. (공자: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ㆍ학자(B.C.551~B.C.479).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노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인(仁)을 정치와 윤리의 이상으로 하는 도덕주의를 설파하여 덕치 정치를 강조하였다. 만년에는 교육에 전념하여 3,000여 명의 제자를 길러 내고, ≪시경≫과 ≪서경≫ 등의 중국 고전을 정리하였다. 제자들이 엮은 ≪논어≫에 그의 언행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 선부 (先父) :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 성부 (聖父) : 기독교인이 성삼위 중의 하나인 하나님을 이르는 말.
  • 세부 (世父) : 집안의 대를 잇는 아버지라는 뜻으로, '큰아버지'를 달리 이르는 말. (큰아버지: 둘 이상의 아버지의 형 가운데 맏이가 되는 형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아버지의 형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여럿이 있을 때에는 그 순서에 따라 첫째 큰아버지, 둘째 큰아버지, 셋째 큰아버지 등과 같이 이르거나 부른다.)
  • 숙부 (叔父) : 아버지의 남동생을 이르는 말. 주로 기혼자를 가리킨다. 여럿이 있을 때는 그 순서에 따라 첫째 작은아버지, 둘째 작은아버지, 셋째 작은아버지 등과 같이 이른다.
  • 시부 (媤父) : 남편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 신부 (神父) : 주교 다음가는 성직자. 성사를 집행하고 미사를 드리며 강론을 한다.
  • 실부 (實父) : 자기를 낳은 아버지.
  • 아부 (亞父) : '계부'를 달리 이르는 말. (계부: 어머니가 재혼함으로써 생긴 아버지.)
  • 아부 (阿父) : 예전에, '아버지'를 정답게 이르던 말. (아버지: 자기를 낳아 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녀를 둔 남자를 자식에 대한 관계로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녀의 이름 뒤에 붙여, 자기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기를 낳아 준 남자처럼 삼은 이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자기의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남자를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시조부모 앞에서 시아버지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어떤 일을 처음 이루거나 완성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독교에서, '하나님'을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 (하나님: '하느님'을 개신교에서 이르는 말.))
  • 악부 (惡父) : 못된 아버지.
  • 악부 (岳父/嶽父) : 편지 따위에서, '장인'을 이르는 말. (장인: 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늙은이를 이르는 말., 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 양부 (養父) : 양자가 됨으로써 생긴 아버지.
  • 어보 (漁父) : '어부'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어부: 물고기 잡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어부 (漁夫/漁父) : 물고기 잡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엄부 (嚴父) : 엄격한 아버지.
  • 오부 (五父) : 아버지로 섬겨야 할 다섯 사람. 곧 친아버지인 실부(實父), 양아버지인 양부(養父), 의붓아버지인 계부(繼父), 의리로 맺은 아버지인 의부(義父), 아버지처럼 모시는 스승인 사부(師父)를 이른다.
  • 왕부 (王父) : 편지 따위의 글에서,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할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유부 (乳父) : 유모의 남편.
  • 유부 (猶父) : 아버지와 같다는 뜻으로, 아버지의 형제인 삼촌을 달리 이르는 말.
  • 의부 (義父) : 의로 맺은 아버지.
  • 이보 (尼父) : '공자'를 높여 이르는 말. (공자: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ㆍ학자(B.C.551~B.C.479).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노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인(仁)을 정치와 윤리의 이상으로 하는 도덕주의를 설파하여 덕치 정치를 강조하였다. 만년에는 교육에 전념하여 3,000여 명의 제자를 길러 내고, ≪시경≫과 ≪서경≫ 등의 중국 고전을 정리하였다. 제자들이 엮은 ≪논어≫에 그의 언행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 이부 (異父) : 어머니는 같고 아버지가 다름.
  • 자부 (慈父) : 자애로운 아버지.
  • 적부 (嫡父) : 친아버지를 달리 이르는 말.
  • 전부 (田父) : 개구리의 하나. 몸이 크며 뱀 따위를 잡아먹는다고 한다.
  • 제부 (諸父) : 아버지와 같은 항렬의 당내친.
  • 조부 (祖父) : 부모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 조부 (釣父) : 낚시질하는 노인.
  • 족부 (族父) : 씨족, 부족 따위의 우두머리.
  • 주부 (主父) : 한집안의 어른.
  • 중부 (仲父) : 결혼을 한, 아버지의 형제 가운데 둘째 되는 이. 아버지의 형제가 여럿인 경우에 아버지가 셋째나 그 아래이면 둘째 큰아버지를, 아버지가 맏이거나 둘째이면 첫째 작은아버지를 이른다.
  • 처부 (妻父) : 아내의 아버지.
  • 천부 (天父) : 성삼위(聖三位) 중의 제1격인 하나님 아버지.
  • 친부 (親父) : 자기를 낳은 아버지.
  • 편부 (偏父) : 어머니가 죽거나 이혼하여 홀로 있는 아버지.
  • 현부 (賢父) : 현명한 아버지라는 뜻으로,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호부 (呼父) : 아버지라고 부름. 곧 아버지로 모심을 이르는 말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父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