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27일 화요일

악인악과: 惡因惡果

악인악과 (惡因惡果) : 나쁜 일을 하면 반드시 나쁜 결과가 따름.



惡因惡果 한자 뜻 풀이

  • 惡(악할 악) : 악하다, 미워하다, 어찌, 과실, 재난. 죽음과 같은 나쁜 것의 의미. 본래 '十'자형의 무덤 자리 모양에서 시작되어 '흉하다','미워하다' 의미를 지닌 '亞(아)'에 '心'이 더해짐. 후에 '악하다'와 '어찌' 의미 파생
  • 因(인할 인) : 인하다, 말미암다, 의지하다, 유래하다, 잇닿다. 사방의 경계 안에서 사람의 행위는 반드시 분명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인하다'는 뜻 생성
  • 惡(악할 악) : 악하다, 미워하다, 어찌, 과실, 재난. 죽음과 같은 나쁜 것의 의미. 본래 '十'자형의 무덤 자리 모양에서 시작되어 '흉하다','미워하다' 의미를 지닌 '亞(아)'에 '心'이 더해짐. 후에 '악하다'와 '어찌' 의미 파생
  • 果(실과 과) : 실과, 강신제(降神祭), 거북 이름, 나무의 열매, 해내다. 나뭇가지에 달린 열매의 모양에서 '과실' 생성. 후에 맺어진 결과물의 의미에서 '결과'의 뜻 파생


[因] 인할 인 (인하다, 말미암다, 의지하다, 유래하다, 잇닿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결국원인 획순 이미지 결국원인(結局原因) : 어떤 판국의 결말을 결정하는 데 가장 가까운 원인. [ (: 맺을 결) (: 판 국) (: 언덕 원) (: 인할 인) ]
  • 낙시고인(樂是苦因) : 안락이 고통의 원인임을 이르는 말. [ (: 옳을 시) (: 쓸 고) (: 인할 인) ]
  • 악인악과(惡因惡果) : 나쁜 일을 하면 반드시 나쁜 결과가 따름. [ (: 악할 악) (: 인할 인) (: 악할 악) (: 실과 과) ]
  • 친불인매(親不因媒) : 부부(夫婦)의 의가 좋은 것은 중매(仲媒)에 의함이 아님. [ (: 친할 친) (: 아니 불) (: 인할 인) (: 중매 매) ]

[惡] 악할 악 (악하다, 미워하다, 어찌, 과실, 재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동악상조 획순 이미지 동악상조(同惡相助) : 악인(惡人)도 악(惡)한 일을 이루기 위(爲)해서는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끼리 서로 도움을 이르는 말. [ (: 한가지 동) (: 악할 악) (: 서로 상) (: 도울 조) ]
  •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 :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 (: 좋을 호) (: 일 사) (: 아니 불) (: 날 출) (: 문 문) (: 악할 악) (: 일 사) (: 갈 행) (: 일천 천) (: 마을 리) ]
  • 대악무도(大惡無道) : 대단히 악독하고 사람의 도리에 어긋나 있음. [ (: 큰 대) (: 악할 악) (: 없을 무) (: 길 도) ]
  • 선악상반(善惡相半) : 선과 악이 서로 반씩 섞여 있음. [ (: 착할 선) (: 악할 악) (: 서로 상) (: 반 반) ]
  • 폐풍악습(弊風惡習) : 폐해(弊害)가 되는 나쁜 풍습(風習). [ (: 해어질 폐) (: 바람 풍) (: 악할 악) (: 익힐 습) ]

[果] 실과 과 (실과, 강신제(降神祭), 거북 이름, 나무의 열매, 해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독수독과 획순 이미지 독수독과(毒樹毒果) : 독이 든 나무의 열매에도 독이 있다는 뜻으로, 법에 어긋난 방법으로 얻은 증거는 증거로 인정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 독 독) (: 나무 수) (: 독 독) (: 실과 과) ]
  • 주과포혜(酒果脯醯) : 술ㆍ과일ㆍ육포ㆍ식혜라는 뜻으로, 간략한 제물(祭物)을 이르는 말. [ (: 술 주) (: 실과 과) (: 포 포) (: 초 혜) ]
  • 석과불식(碩果不食) : 큰 과실을 다 먹지 아니하고 남긴다는 뜻으로, 자기만의 욕심을 버리고 자손에게 복을 줌을 이르는 말. [ (: 클 석) (: 실과 과) (: 아니 불) (: 밥 식) ]
  • 쾌과(快果) : 시원한 과일이란 뜻으로, '배'를 달리 이르는 말. [ (: 쾌할 쾌) (: 실과 과) ]
  • 선화후과(先花後果) : 먼저 꽃이 피고 나중에 열매가 맺힌다는 뜻으로, 먼저 딸을 낳고 나중에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 (: 먼저 선) (: 꽃 화) (: 뒤 후) (: 실과 과) ]

[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혼비중천 획순 이미지 혼비중천(魂飛中天)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 넋 혼) (: 날 비) (: 가운데 중) (: 하늘 천) ]
  • 치망순역지(齒亡脣亦支) :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말. [ (: 이 치) (: 잃을 망) (: 입술 순) (: 또 역) (: 가를 지) ]
  •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 어리석을 우) (: 물을 문) (: 어질 현) (: 대답할 답) ]
  • 두구탄성(杜口呑聲) : 입을 닫고 소리를 삼킨다는 뜻으로, 입 다물고 말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 [ (: 팥배나무 두) (: 입 구) (: 삼킬 탄) (: 소리 성) ]
  • 어언박과(語言薄過) : 대단하지 아니한 말의 허물. [ (: 말씀 어) (: 말씀 언) (: 엷을 박) (: 지날 과) ]

[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남우 획순 이미지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 (: 눈 설) (: 위 상) (: 더할 가) (: 서리 상) ]
  • 신진화멸(薪盡火滅) :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불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 (: 섶나무 신) (: 다할 진) (: 불 화) (: 멸망할 멸) ]
  • 장야지음(長夜之飮) : 밤새도록 술을 마심. 또는 그 술. [ (: 길 장) (: 밤 야) (: 갈 지) (: 마실 음) ]

[악]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동악상조 획순 이미지 동악상조(同惡相助) : 악인(惡人)도 악(惡)한 일을 이루기 위(爲)해서는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끼리 서로 도움을 이르는 말. [ (: 한가지 동) (: 악할 악) (: 서로 상) (: 도울 조) ]
  • 대악무도(大惡無道) : 대단히 악독하고 사람의 도리에 어긋나 있음. [ (: 큰 대) (: 악할 악) (: 없을 무) (: 길 도) ]
  • 자객간인(刺客奸人) : 남을 몰래 찔러 죽이는 사람과 남을 헐뜯고 이간질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마음씨가 몹시 모질고 악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찌를 자) (: 손 객) (: 범할 간) (: 사람 인)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 획순 이미지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 하늘 천) (: 모 방) (: 땅 지) (: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옳을 가) (: 줄 여) (: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 기쁠 희) (: 날 출) (: 바랄 망) (: 바깥 외) ]

[결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모사재인 획순 이미지 모사재인(謀事在人) : 일을 꾸미는 것은 사람에게 달렸다는 뜻으로, 결과는 하늘에 맡기고 일을 힘써 꾀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 꾀할 모) (: 일 사) (: 있을 재) (: 사람 인) ]
  • 적선여경(積善餘慶) : 착한 일을 많이 한 결과로 경사스럽고 복된 일이 자손에게까지 미침. ≪주역≫의 <문언전(文言傳)>에 나오는 말이다. [ (: 쌓을 적) (: 착할 선) (: 남을 여) (: 경사 경) ]
  • 제간하회(第看下回) : 나중에 결과가 나타나게 되는 일. [ (: 차례 제) (: 볼 간) (: 아래 하) (: 돌 회) ]

[따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형제자매우애이이 획순 이미지 형제자매우애이이(兄弟姉妹友愛而已) : 형제(兄弟)와 자매(姉妹)는 서로 우애(友愛)할 따름임. [ (: 맏 형) (: 아우 제) (: 손위누이 자) (: 누이 매) (: 벗 우) (: 사랑 애) (: 말 이을 이) (: 그칠 이) ]
  • 종간여류(從諫如流) : 물이 낮은 곳으로 흐르듯이 순순히 간언을 따름을 일르는 말. [ (: 좇을 종) (: 간할 간) (: 같을 여) (: 흐를 류) ]
  • 창전초부제(窓前草不除) : 창 앞에 돋은 풀은 뽑아 버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되어 가는 대로 천지(天地) 자연(自然)을 따름을 이르는 말. [ (: 창 창) (: 앞 전) (: 풀 초) (: 아닌가 부) (: 덜 제) ]

[불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설상가상 획순 이미지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 (: 눈 설) (: 위 상) (: 더할 가) (: 서리 상) ]
  • 인생무상(人生無常) : 인생이 덧없음. [ (: 사람 인) (: 날 생) (: 없을 무) (: 항상 상) ]
  • 왕생극락(往生極樂) : 죽어서 극락에 다시 태어남. [ (: 갈 왕) (: 날 생) (: 다할 극) (: 즐거울 락) ]
  • 다반사(茶飯事) :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일이라는 뜻으로, 보통 있는 예사로운 일을 이르는 말. [ (: 차 다) (: 밥 반) (: 일 사) ]
  • 야단법석(野壇法席) : 야외에서 크게 베푸는 설법의 자리. [ (: 들 야) (: 단 단) (: 법 법) (: 자리 석) ]

[원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결국원인 획순 이미지 결국원인(結局原因) : 어떤 판국의 결말을 결정하는 데 가장 가까운 원인. [ (: 맺을 결) (: 판 국) (: 언덕 원) (: 인할 인) ]
  • 결자해지(結者解之) :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저지른 일은 자기가 해결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 맺을 결) (: 놈 자) (: 풀 해) (: 갈 지) ]
  • 격화소양(隔靴搔瘍) : 신발 위로 발의 무좀을 긁는다는 뜻으로, 원인 치유를 하지 못하고 변죽만 울린다는 의미. 혹은 마음에 차지 않는다는 의미. [ (: 사이 뜰 격) (: 가죽신 화) (: 긁을 소) (: 종기 양) ]
  • 낙시고인(樂是苦因) : 안락이 고통의 원인임을 이르는 말. [ (: 옳을 시) (: 쓸 고) (: 인할 인) ]
  • 복과화생(福過禍生) : 지나친 행복(幸福)은 도리어 재앙(災殃)의 원인(原因)이 됨. [ (: 복 복) (: 지날 과) (: 재난 화) (: 날 생)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