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0월 27일 수요일

한자 汾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한자 汾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汾에 관한 단어는 모두 6개

  • 분주 (汾酒) : 중국의 산시성(山西省) 뤼량시(呂梁市)와 펀양시(汾陽市)에서 생산되는 증류주. 수수ㆍ쌀 따위의 곡류를 원료로 하여, 이것에 백국(白麴)을 넣어 당화(糖化)ㆍ발효하여 만든다.
  • 분서왕 (汾西王) : 백제의 제10대 왕(?~304). 낙랑군의 서현(西縣)을 점령하여 영토를 확장하였으나 낙랑의 자객에게 살해되었다. 재위 기간은 298~304년이다.
  • 펀허강 (Fenhe[汾河]江) : 중국 산시성(山西省)을 남북으로 흐르는 강. 황허강의 지류이다. 일찍이 문명의 중심지이자 중요한 교통로이다. 총길이는 약 550km.
  • 곽분양전 (郭汾陽傳) : 조선 후기의 국문 소설. 중국 당나라를 배경으로 하여 실존 인물인 분양왕(汾陽王) 곽자의의 행적을 그렸다.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곽분양팔자 (郭汾陽八字) : 모든 부귀와 공명을 한 몸에 지니는 좋은 팔자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의 분양왕(汾陽王) 곽자의의 팔자가 아주 좋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곽분양행락도 (郭汾陽行樂圖) : 조선 영조 때 김득신이 그린 풍속화. 중국 원나라 풍속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비단 위에 치밀한 필치와 농후한 채색으로 중국 당나라 때의 곽자의가 처첩(妻妾), 자녀, 하녀 등을 거느리고 무녀(舞女)의 춤을 즐기는 잔치 광경을 그렸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汾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戕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한자 戕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戕에 관한 단어는 모두 9개

  • 장명 (戕命) : 목숨을 해침.
  • 장살 (戕殺) : 무찔러 죽임.
  • 장적 (戕賊) : 잔인하게 해치거나 무자비하게 쳐 죽임.
  • 장해 (戕害) : 참혹하게 상처를 내어 해침.
  • 장명하다 (戕命하다) : 목숨을 해치다.
  • 장살되다 (戕殺되다) : 무찔려 죽임을 당하다.
  • 장살하다 (戕殺하다) : 무찔러 죽이다.
  • 장적하다 (戕賊하다) : 잔인하게 해치거나 무자비하게 쳐 죽이다.
  • 장해하다 (戕害하다) : 참혹하게 상처를 내어 해치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戕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慵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한자 慵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慵에 관한 단어는 모두 8개

  • 소용 (疏慵) : '소용하다'의 어근. (소용하다: 느리고 게으르다.)
  • 용라 (慵懶) : 버릇이 없고 게으름.
  • 용재 (慵齋) : '성현'의 호. (성현: 조선 성종 때의 문신ㆍ학자(1439~1504). 자는 경숙(磬叔). 호는 부휴자(浮休子)ㆍ용재(慵齋)ㆍ허백당(虛白堂)ㆍ국오(菊塢).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냈고, ≪악학궤범≫을 편찬하여 음악을 집대성하였다. 저서에 ≪용재총화≫, ≪허백당집≫ 따위가 있다.)
  • 용타 (慵惰) : 버릇이 없고 게으름.
  • 소용하다 (疏慵하다) : 느리고 게으르다.
  • 용라하다 (慵懶하다) : 버릇이 없고 게으르다.
  • 용재총화 (慵齋叢話) : 조선 전기의 용재 성현(成俔)의 수필집. 풍속ㆍ지리ㆍ역사ㆍ문물ㆍ제도ㆍ음악ㆍ문학ㆍ인물ㆍ설화 따위가 수록되어 있으며, 문장이 아름다워 조선 시대의 수필 문학의 우수작으로 꼽힌다. ≪대동야승≫에 실려 있는데, 시화 부분은 ≪시화총림≫에도 실려 있다. 1934년 계유 출판사에서 펴낸 ≪조선야사전집≫에 한글로 토를 달아 실었다. 3권 3책.
  • 용타하다 (慵惰하다) : 버릇이 없고 게으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慵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한자 臙에 관한 단어는 모두 18개

한자 臙에 관한 단어는 모두 18개 입니다.


[🌏 단어 및 뜻 풀이] 한자 臙에 관한 단어는 모두 18개

  • 연지 (臙脂) : 자줏빛을 띤 빨간색. 또는 그런 색의 물감.
  • 볼연지 (볼臙脂) : 화장할 때에 볼에 바르는 화장품.
  • 분연지 (粉臙脂) : 분과 연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연지먹 (臙脂먹) : 연지에 먹을 섞어서 만든 물감. 보통 그림을 그리는 데에 사용하며, 색깔은 검붉은 밤색을 띤다.
  • 연지묵 (臙脂墨) : 연지에 먹을 섞어서 만든 물감. 보통 그림을 그리는 데에 사용하며, 색깔은 검붉은 밤색을 띤다.
  • 연지볼 (臙脂볼) : 연지를 바른 것처럼 발그레한 볼.
  • 연지분 (臙脂粉) : 볼연지와 분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연지색 (臙脂色) : 연지의 빛깔과 같은 밝은 빨강.
  • 연지첩 (臙脂帖) : 연지와 연지를 바르는 데에 쓰는 붓 따위를 간수하는 도구. 창호지 따위를 여러 겹 붙여 접어서 만든다.
  • 입연지 (입臙脂) : 화장할 때 입술에 바르는 붉은 빛깔의 염료.
  • 편연지 (片臙脂) : 예전에, 중국에서 나는 물감의 하나. 붉은 물을 솜에 먹여 말렸다가 끓는 물에 담가서 그 물을 짜서 쓴다.
  • 호연지 (胡臙脂) : 중국에서 나는 연지.
  • 대연지봉 (大臙脂峯) : 함경남도 혜산군과 함경북도 무산군 사이에 있는 산. 백두산의 한 봉우리로 두만강, 압록강과 중국의 쑹화강(松花江)이 시작하는 곳이다. 높이는 2,360미터.
  • 소연지봉 (小臙脂峯) : 백두산에 있는 봉우리의 하나. 신생대 제3~제4기에 걸쳐 분출된 화산이다. 높이는 2,123미터.
  • 연지벌레 (臙脂벌레) : 깍지벌렛과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의 길이는 암컷은 3~5mm이고 수컷은 이보다 작다. 암컷은 깍지를 만들고 대부분 파란빛을 띤 노란색이다.
  • 입술연지 (입술臙脂) : 화장할 때 입술에 바르는 붉은 빛깔의 염료.
  • 연지노랑나비 (臙脂노랑나비) : 흰나빗과의 곤충. 편 날개의 길이는 5.6~7.4cm이다. 수컷은 붉은색이고 바깥 가장자리에는 검은 회색 또는 검은 갈색 띠가 있고, 암컷은 붉은색 또는 누런빛을 띤 흰색이다. 한국, 만주, 아무르,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입술연지수선화 (입술臙脂水仙花)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화초. 이른 봄에 향기가 짙은 하얀 꽃이 핀다.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https://dict.wordrow.kr에서 臙에 대한 단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세요.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