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간교대 (面看交代) : 서로 마주 보는 자리에서 사무를 넘겨주고 넘겨받음.
面看交代 한자 뜻 풀이
- 面(낯 면) : 낯, 앞, 겉, 쪽, 탈. '코{自}'에 양쪽 뺨과 이마를 더해 사람의 얼굴을 표현. 후에 '대면하다', '방면' 등의 의미 파생
- 看(볼 간) : 보다, 방문하다, 지키다, 대접(待接), 터득하다. 눈 위에 손을 얹고 본다는 의미로 '보살핀다'는 의미로 지켜보는 것
- 交(사귈 교) : 사귀다, 엇갈리다, 바꾸다, 오가다, 섞이다. 본래 사람의 두 발을 교차해서 꺾는 모양을 나타내, 고대의 형벌의 한가지였는데, 후에 서로 교차한다는 의미에서 '사귀다'는 의미 파생
- 代(대신 대) : 대신, 번갈다, 세상, 대, 대신하다. 사람이 주살을 들어 상징적으로 권력을 지닌 '세대'의 의미 생성. 후에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대신하다'는 의미 파생
[交] 사귈 교 (사귀다, 엇갈리다, 바꾸다, 오가다, 섞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전교(轉交) : (1)다른 사람의 손을 거쳐 편지나 서류 따위를 교부함. (2)다른 사람을 거쳐서 받게 한다는 뜻으로, 편지 겉봉에 쓰는 말. [ (轉: 구를 전) (交: 사귈 교) ]
- 망년교(忘年交) :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벗. [ (忘: 잊을 망) (年: 해 년) (交: 사귈 교) ]
- 담수지교(淡水之交) : 물과 같은 담박한 사귐이라는 뜻으로, 교양이 있는 군자(君子)의 교제를 이르는 말. [ (淡: 묽을 담) (水: 물 수) (之: 갈 지) (交: 사귈 교) ]
- 선린외교(善隣外交) : 이웃 나라와의 친선(親善)을 꾀하여 취(取)하는 외교(外交) 정책. [ (善: 착할 선) (隣: 이웃 린) (外: 바깥 외) (交: 사귈 교) ]
- 선여인교(善與人交) : 남을 공경하여 오래 잘 사귐. [ (善: 착할 선) (與: 줄 여) (人: 사람 인) (交: 사귈 교) ]
[代] 대신 대 (대신, 번갈다, 세상, 대, 대신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전대미문(前代未聞) : 이제까지 들어 본 적이 없음. [ (前: 앞 전) (代: 대신 대) (未: 아닐 미) (聞: 들을 문) ]
- 당대발복(當代發福) : 풍수지리에서, 부모를 좋은 묏자리에 장사 지낸 덕으로 그 아들 대에서 부귀를 누리게 됨. [ (當: 마땅할 당) (代: 대신 대) (發: 필 발) (福: 복 복) ]
- 태평성대(太平聖代) : 어진 임금이 잘 다스리어 태평한 세상이나 시대. [ (太: 클 태) (平: 평평할 평) (聖: 성스러울 성) (代: 대신 대) ]
- 절세대미(絶世代美) : 이 세상(世上)에서는 견줄 사람이 없을 정도(程度)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여자(女子). [ (絶: 끊을 절) (世: 인간 세) (代: 대신 대) (美: 아름다울 미) ]
- 백대지친(百代之親) : 먼 조상 때부터 가까이 지내 온 집안 사이의 친분. [ (百: 일백 백) (代: 대신 대) (之: 갈 지) (親: 친할 친) ]
[看] 볼 간 (보다, 방문하다, 지키다, 대접(待接), 터득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화소성미청조제루난간(花笑聲未聽鳥啼淚難看) : 꽃은 웃으나 소리는 들리지 않고, 새는 우나 눈물은 보기가 어려움. [ (花: 꽃 화) (笑: 웃을 소) (聲: 소리 성) (未: 아닐 미) (聽: 들을 청) (鳥: 새 조) (啼: 울 제) (淚: 눈물 루) (難: 어려울 난) (看: 볼 간) ]
- 제간하회(第看下回) : 나중에 결과가 나타나게 되는 일. [ (第: 차례 제) (看: 볼 간) (下: 아래 하) (回: 돌 회) ]
- 면간교대(面看交代) : 서로 마주 보는 자리에서 사무를 넘겨주고 넘겨받음. [ (面: 낯 면) (看: 볼 간) (交: 사귈 교) (代: 대신 대) ]
- 간신월좌자석(看晨月坐自夕) : '새벽달 보자고 초저녁부터 나와 앉아 있으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주책없이 너무 일찍부터 서두름을 이르는 말. [ (看: 볼 간) (晨: 새벽 신) (月: 달 월) (坐: 앉을 좌) (自: 스스로 자) (夕: 저녁 석) ]
[面] 낯 면 (낯, 앞, 겉, 쪽, 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면찬아선첨유지인(面讚我善諂諛之人) : 면전(面前)에서 나를 착하다고 칭찬(稱讚)하는 사람이라면 아첨(阿諂)하는 사람임. [ (面: 낯 면) (讚: 기릴 찬) (我: 나 아) (善: 착할 선) (諂: 아첨할 첨) (諛: 알랑거릴 유) (之: 갈 지) (人: 사람 인) ]
- 안면부지(顔面不知) : 얼굴을 모름. 또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 [ (顔: 얼굴 안) (面: 낯 면) (不: 아닌가 부) (知: 알 지) ]
- 제이면명(提耳面命) : 귀에 입을 가까이하고 얼굴을 맞대고 가르쳐 명함. 또는 간곡히 타이르고 가르침. [ (提: 끌 제) (耳: 귀 이) (面: 낯 면) (命: 목숨 명) ]
- 면벽수도(面壁修道) : 얼굴을 벽에 대고 도를 닦는 것. [ (面: 낯 면) (壁: 벽 벽) (修: 닦을 수) (道: 길 도) ]
- 만면수색(滿面愁色) : 얼굴에 가득 찬 근심의 빛. [ (滿: 찰 만) (面: 낯 면) (愁: 시름 수) (色: 빛 색) ]
[마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면간교대(面看交代) : 서로 마주 보는 자리에서 사무를 넘겨주고 넘겨받음. [ (面: 낯 면) (看: 볼 간) (交: 사귈 교) (代: 대신 대) ]
- 입산기호(入山忌虎) : 산속에 들어가고서 범 잡을 것을 꺼린다는 뜻으로, 정작 바라던 일을 마주하게 되면 꽁무니를 빼는 것을 이르는 말. [ (入: 들 입) (山: 메 산) (忌: 꺼릴 기) (虎: 범 호) ]
[사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개물성무(開物成務) : 만물의 뜻을 깨달아 모든 일을 이룸. [ (開: 열 개) (物: 만물 물) (成: 이룰 성) (務: 힘쓸 무) ]
- 천관(天官) : (1)조선 시대에 '이조 판서'를 달리 이르던 말. 육조(六曹)의 판서 가운데 으뜸이라는 뜻이다. (2)중국 주나라 때에 둔, 육관의 하나. 국정(國政)을 총괄하고 궁중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이다. (3)'이조'를 달리 이르던 말. [ (天: 하늘 천) (官: 벼슬 관) ]
- 면간교대(面看交代) : 서로 마주 보는 자리에서 사무를 넘겨주고 넘겨받음. [ (面: 낯 면) (看: 볼 간) (交: 사귈 교) (代: 대신 대) ]
- 토포악발(吐哺握髮) : 민심을 잡고 국가 행정에 관계되는 사무를 보살피기에 잠시도 편안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 (吐: 토할 토) (哺: 먹일 포) (握: 쥘 악) (髮: 터럭 발) ]
- 토포착발(吐哺捉髮) : 민심을 잡고 국가 행정에 관계되는 사무를 보살피기에 잠시도 편안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 (吐: 토할 토) (哺: 먹일 포) (捉: 잡을 착) (髮: 터럭 발) ]
[자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擧: 들 거) (棋: 바둑 기) (不: 아닌가 부) (定: 정할 정) ]
- 무고부진(無故不進) : 아무런 까닭 없이 나와야 할 자리에 나오지 않음. [ (無: 없을 무) (故: 예 고) (不: 아닌가 부) (進: 나아갈 진) ]
- 온정정성(溫凊定省) : 자식이 효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도리.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하며, 저녁에는 자리를 편히 마련하고, 아침에는 안부를 여쭙는 일을 이른다. [ (溫: 따뜻할 온) (凊: 서늘할 정) (定: 정할 정) (省: 살필 성) ]
- 감언지지(敢言之地) : 거리낌 없이 말할 만한 자리나 처지. [ (敢: 감히 감) (言: 말씀 언) (之: 갈 지) (地: 땅 지) ]
- 계체지군(繼體之君) : 임금의 자리를 이어받을 황태자나 왕세자. [ (繼: 이을 계) (體: 몸 체) (之: 갈 지) (君: 임금 군)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