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항현령 (猫項懸鈴) : 쥐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다는 뜻으로, 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를 이르는 말. 쥐가 고양이의 습격을 미리 막기 위한 수단으로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다는 일을 의논하였으나, 실행 불가능으로 끝났다는 우화에서 유래한다.
猫項懸鈴 한자 뜻 풀이
- 猫(고양이 묘) : 고양이, 털이 엷은 범, 닻. 고양이의 의미 '苗(묘)'는 발음
- 項(목 항) : 목, 관(冠)의 뒤쪽, 크다, 사항(事項), 수학 용어. 머리의 아래 부분인 '목'과 '목의 뒤'부분을 의미. 工은 발음 요소
- 懸(매달 현) : 매달다, 매달리다, 걸다, 동떨어지다, 멀다. 마음이 멀어진다는 것에서 '떨어지다', '걸다', '매달다' 등의 의미 파생
- 鈴(방울 령) : 방울, 휘장, 수레의 좌우를 가리는 휘장. 흔들어 소리 나게 만든 종 모양의 물건인 '방울'의 의미. '令(령)'은 발음
[懸] 매달 현 (매달다, 매달리다, 걸다, 동떨어지다, 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현조고(懸祖考) : 신주(神主)나 축문(祝文)에서 '돌아간 할아버지'를 일컫는 말. [ (懸: 매달 현) (祖: 할아비 조) (考: 상고할 고) ]
- 현권이동(懸權而動) : 저울추를 매달아 움직인다는 뜻으로, 추를 저울에 걸어 무게를 달듯이, 일의 경중을 잘 헤아린 뒤에 행동함. [ (懸: 매달 현) (權: 저울추 권) (而: 말 이을 이) (動: 움직일 동) ]
- 현거지년(懸車之年) : 관직을 그만둔 나이라는 뜻으로, 벼슬에서 물러나야 하는 나이 곧 일흔 살을 이르는 말. [ (懸: 매달 현) (車: 수레 거) (之: 갈 지) (年: 해 년) ]
- 현하지변(懸河之辯) : 물이 거침없이 흐르듯 잘하는 말. [ (懸: 매달 현) (河: 강 이름 하) (之: 갈 지) (辯: 말 잘할 변) ]
-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실이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됨을 이르는 말. [ (耳: 귀 이) (懸: 매달 현) (鈴: 방울 령) (鼻: 코 비) (懸: 매달 현) (鈴: 방울 령) ]
[猫] 고양이 묘 (고양이, 털이 엷은 범, 닻)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묘서동면(猫鼠同眠) : 쥐와 고양이가 함께 잔다는 뜻으로, 상하(上下)가 부정(不正)하게 결탁(結託)하여 나쁜 짓을 함을 이르는 말. [ (猫: 고양이 묘) (鼠: 쥐 서) (同: 한가지 동) (眠: 잘 면) ]
- 궁서설묘(窮鼠齧猫) : 궁박한 쥐가 고양이를 문다는 뜻으로, 궁지에 몰린 쥐가 고양이를 물 듯 약자도 궁지에 처하면 강자에게 반항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窮鼠齧狸 (궁서설리)]. [ (窮: 다할 궁) (鼠: 쥐 서) (齧: 물 설) (猫: 고양이 묘) ]
- 묘서동처(猫鼠同處) : 고양이와 쥐가 함께 있다는 뜻으로, 곧, 도둑을 잡아야 할 사람이 도둑과 한패가 됨. [ (猫: 고양이 묘) (鼠: 쥐 서) (同: 한가지 동) (處: 머무를 처) ]
- 묘항현령(猫項懸鈴) : 쥐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다는 뜻으로, 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를 이르는 말. 쥐가 고양이의 습격을 미리 막기 위한 수단으로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다는 일을 의논하였으나, 실행 불가능으로 끝났다는 우화에서 유래한다. [ (猫: 고양이 묘) (項: 목 항) (懸: 매달 현) (鈴: 방울 령) ]
[鈴] 방울 령 (방울, 휘장, 수레의 좌우를 가리는 휘장)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실이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됨을 이르는 말. [ (耳: 귀 이) (懸: 매달 현) (鈴: 방울 령) (鼻: 코 비) (懸: 매달 현) (鈴: 방울 령) ]
- 엄이도령(掩耳盜鈴) :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이 그 잘못을 다 알고 있는데 얕은꾀를 써서 남을 속이려 함을 이르는 말. ≪여씨춘추≫ <불구론(不苟論)>의 <자지편(自知篇)>에 나오는 말이다. [ (掩: 가릴 엄) (耳: 귀 이) (盜: 도둑 도) (鈴: 방울 령) ]
- 엄이투령(掩耳偸鈴) : 제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1) 얕은 꾀로 남을 속이려 하나 아무 소용(所用)이 없음을 이르는 말 (2) 방울 소리가 제 귀에 들리지 않으면 남의 귀에도 들리지 않으리라는 어리석은 생각을 이름. [ (掩: 가릴 엄) (耳: 귀 이) (偸: 훔칠 투) (鈴: 방울 령) ]
- 패령자계(佩鈴自戒) : 방울을 차서 스스로를 경계한다는 뜻으로, 나쁜 습관을 고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는 자세의 의미로 조선 중기의 문인 이상의(李尙毅)의 어린 시절의 일화에서 유래함. [ (佩: 찰 패) (鈴: 방울 령) (自: 스스로 자) (戒: 경계할 계) ]
- 묘항현령(猫項懸鈴) : 쥐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다는 뜻으로, 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를 이르는 말. 쥐가 고양이의 습격을 미리 막기 위한 수단으로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다는 일을 의논하였으나, 실행 불가능으로 끝났다는 우화에서 유래한다. [ (猫: 고양이 묘) (項: 목 항) (懸: 매달 현) (鈴: 방울 령) ]
[項] 목 항 (목, 관(冠)의 뒤쪽, 크다, 사항(事項), 수학 용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항령지공(項領之功) : 제일(第一) 큰공을 이르는 말. [ (項: 목 항) (領: 옷깃 령) (之: 갈 지) (功: 공 공) ]
- 항배상망(項背相望) : (1)목과 등이 마주 바라본다는 뜻으로, 왕래가 잦음을 이르는 말. (2)뒤를 이을 사람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項: 목 항) (背: 등 배) (相: 서로 상) (望: 바랄 망) ]
- 항우장사(項羽壯士) : (1)항우 같은 장사라는 뜻으로, 힘이 아주 센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웬만한 일에는 끄떡도 아니 하는 꿋꿋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項: 목 항) (羽: 깃 우) (壯: 씩씩할 장) (士: 선비 사) ]
[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혼비중천(魂飛中天)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魂: 넋 혼) (飛: 날 비) (中: 가운데 중) (天: 하늘 천) ]
- 치망순역지(齒亡脣亦支) :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말. [ (齒: 이 치) (亡: 잃을 망) (脣: 입술 순) (亦: 또 역) (支: 가를 지) ]
-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愚: 어리석을 우) (問: 물을 문) (賢: 어질 현) (答: 대답할 답) ]
- 두구탄성(杜口呑聲) : 입을 닫고 소리를 삼킨다는 뜻으로, 입 다물고 말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 [ (杜: 팥배나무 두) (口: 입 구) (呑: 삼킬 탄) (聲: 소리 성) ]
- 어언박과(語言薄過) : 대단하지 아니한 말의 허물. [ (語: 말씀 어) (言: 말씀 언) (薄: 엷을 박) (過: 지날 과)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天: 하늘 천) (方: 모 방) (地: 땅 지) (方: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可: 옳을 가) (與: 줄 여) (成: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竽: 피리 우) ]
- 희출망외(喜出望外)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 (喜: 기쁠 희) (出: 날 출) (望: 바랄 망) (外: 바깥 외)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感: 느낄 감) (懷: 품을 회) ]
[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사서(社鼠) : 사람이 함부로 손댈 수 없는 사당에 숨어 사는 쥐라는 뜻으로, 어떤 기관이나 세력가에 의지하여 간사한 일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社: 토지신 사) (鼠: 쥐 서) ]
- 성호사서(城狐社鼠) :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 (城: 성 성) (狐: 여우 호) (社: 토지신 사) (鼠: 쥐 서) ]
- 서담(鼠膽) : 쥐의 쓸개라는 뜻으로, 담력이 약함을 이르는 말. [ (鼠: 쥐 서) (膽: 쓸개 담) ]
- 부서(腐鼠) : 썩은 쥐라는 뜻으로, 작고 비천한 물건이나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腐: 썩을 부) (鼠: 쥐 서) ]
- 묘서동면(猫鼠同眠) : 쥐와 고양이가 함께 잔다는 뜻으로, 상하(上下)가 부정(不正)하게 결탁(結託)하여 나쁜 짓을 함을 이르는 말. [ (猫: 고양이 묘) (鼠: 쥐 서) (同: 한가지 동) (眠: 잘 면) ]
[가능]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불가항력(不可抗力) : (1)사람의 힘으로는 저항할 수 없는 힘. (2)외부의 사건에서 거래 관념상의 가능한 주의와 예방으로도 막을 수 없는 일. [ (不: 아니 불) (可: 옳을 가) (抗: 막을 항) (力: 힘 력) ]
- 천년일청(千年一淸) : 천 년에 한 번 맑아진다는 황하의 물이 맑아지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가능하지 아니한 일을 바람을 이르는 말. [ (千: 일천 천) (年: 해 년) (一: 한 일) (淸: 맑을 청) ]
- 사전지국(四戰之國) : 지형(地形) 상(上) 사방(四方) 어느 곳에서도 적의 침입(侵入)이 가능(可能)한 나라. [ (四: 넉 사) (戰: 싸움 전) (之: 갈 지) (國: 나라 국) ]
- 묘항현령(猫項懸鈴) : 쥐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다는 뜻으로, 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를 이르는 말. 쥐가 고양이의 습격을 미리 막기 위한 수단으로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다는 일을 의논하였으나, 실행 불가능으로 끝났다는 우화에서 유래한다. [ (猫: 고양이 묘) (項: 목 항) (懸: 매달 현) (鈴: 방울 령) ]
- 묘두현령(猫頭懸鈴) : 쥐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다는 뜻으로, 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를 이르는 말. 쥐가 고양이의 습격을 미리 막기 위한 수단으로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다는 일을 의논하였으나, 실행 불가능으로 끝났다는 우화에서 유래한다. [ (猫: 고양이 묘) (頭: 머리 두) (懸: 매달 현) (鈴: 방울 령) ]
[공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혈기지분(血氣之憤) : 젊은 혈기로 일어나는 공연한 분. [ (血: 피 혈) (氣: 기운 기) (之: 갈 지) (憤: 결낼 분) ]
- 배중사영(杯中蛇影) : 잔 속의 뱀 그림자라는 뜻으로, 공연한 의심으로 고민하는 일의 의미. [ (杯: 잔 배) (中: 가운데 중) (蛇: 뱀 사) (影: 그림자 영) ]
- 도비순설(徒費脣舌) : 입술과 혀를 헛되게 쓴다는 뜻으로, 부질없이 아무 보람 없는 말만 늘어놓음을 이르는 말. [ (徒: 무리 도) (費: 쓸 비) (脣: 입술 순) (舌: 혀 설) ]
- 오우천월(吳牛喘月) : 오우가 더위를 두려워한 나머지 밤에 달이 뜨는 것을 보고도 해인가 하고 헐떡거린다는 뜻으로, 간이 작아 공연한 일에 미리 겁부터 내고 허둥거리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세설신어≫의 <언어편(言語篇)>에서 유래한다. [ (吳: 나라 이름 오) (牛: 소 우) (喘: 헐떡거릴 천) (月: 달 월) ]
- 묘항현령(猫項懸鈴) : 쥐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다는 뜻으로, 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를 이르는 말. 쥐가 고양이의 습격을 미리 막기 위한 수단으로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다는 일을 의논하였으나, 실행 불가능으로 끝났다는 우화에서 유래한다. [ (猫: 고양이 묘) (項: 목 항) (懸: 매달 현) (鈴: 방울 령) ]
[논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여무가론(餘無可論) : 이미 본 것에 기초하여 대강이 결정되어 나머지는 논의할 필요가 없음. [ (餘: 남을 여) (無: 없을 무) (可: 옳을 가) (論: 의논할 론) ]
- 문질빈빈(文質彬彬) : (1)겉모양의 아름다움과 속내가 서로 잘 어울림. (2)공자가 문학의 내용과 형식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한 주장. 꾸밈과 바탕이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야 군자라고 주장한 것으로, ≪논어≫의 <옹야(雍也)>에 나온다. [ (文: 글월 문) (質: 바탕 질) (彬: 빛날 빈) (彬: 빛날 빈) ]
- 가담(街談) : 길거리에 떠도는 말이나 화젯거리. [ (街: 거리 가) (談: 말씀 담) ]
- 전사물론(前事勿論) : 지난 일에 대하여는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아니함. [ (前: 앞 전) (事: 일 사) (勿: 말 물) (論: 의논할 론) ]
- 초모위언(草茅危言) : 초야에 묻힌 재야인사가 나라의 정사에 대하여 통탄하여 논의함. 또는 그런 논의. [ (草: 풀 초) (茅: 띠 모) (危: 위태할 위) (言: 말씀 언) ]
[방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단간영묵(斷簡零墨) : 종이가 발명(發明)되기 전까지 종이 대신(代身) 썼던 대쪽과 먹 한 방울이라는 뜻으로, 종이 조각에 적힌 완전(完全)하지 못한 조각난 글월을 이르는 말. [ (斷: 끊을 단) (簡: 대쪽 간) (墨: 먹 묵) ]
- 란여(鸞輿) : '난여'의 북한어. [ (輿: 수레 여) ]
- 대해일적(大海一滴) : 큰 바다 가운데 물 한 방울이라는 뜻으로, '창해일속'을 달리 이르는 말. [ (大: 큰 대) (海: 바다 해) (一: 한 일) (滴: 물방울 적) ]
- 적수성연(積水成淵) : 한 방울의 물이 모여 연못을 이룬다는 뜻으로, 작은 것도 모이면 큰 것이 됨을 이르는 말. [ (積: 쌓을 적) (水: 물 수) (成: 이룰 성) (淵: 못 연) ]
- 엄이도령(掩耳盜鈴) :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이 그 잘못을 다 알고 있는데 얕은꾀를 써서 남을 속이려 함을 이르는 말. ≪여씨춘추≫ <불구론(不苟論)>의 <자지편(自知篇)>에 나오는 말이다. [ (掩: 가릴 엄) (耳: 귀 이) (盜: 도둑 도) (鈴: 방울 령) ]
[수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할계우도(割鷄牛刀)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割: 나눌 할) (鷄: 닭 계) (牛: 소 우) (刀: 칼 도) ]
- 권모술수(權謀術數) :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 [ (權: 저울추 권) (謀: 꾀할 모) (術: 꾀 술) (數: 셀 수) ]
- 술자지능(述者之能) : (1)글이 잘되고 못 되는 것은 쓴 사람의 능력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2)일이 잘되고 안되는 것은 그 사람의 수단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 (述: 지을 술) (者: 놈 자) (之: 갈 지) (能: 능할 능) ]
- 사사명식(四邪命食) : 승려의 떳떳하지 못한 네 가지 생활 방식. 하구식(下口食), 앙구식(仰口食), 방구식(方口食), 유구식(維口食)이다. 비구는 본디 걸식 생활을 본의로 하는데 다른 생활도 함을 이르는 말이다. [ (四: 넉 사) (邪: 간사할 사) (命: 목숨 명) (食: 밥 식) ]
- 사행저경(斜行抵京) : 비스듬히 가도 서울에 다다른다는 뜻으로, 수단이나 방법은 어찌 되었든 간에 목적만 이루면 된다는 의미. [ (斜: 비낄 사) (行: 갈 행) (抵: 거스를 저) (京: 서울 경) ]
[실행]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언행일치(言行一致) : 말과 행동이 하나로 들어맞음. 또는 말한 대로 실행함. [ (言: 말씀 언) (行: 갈 행) (一: 한 일) (致: 이룰 치) ]
- 화이부실(華而不實) :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그럴 듯하지만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이다. [ (華: 빛날 화) (而: 말 이을 이) (不: 아닌가 부) (實: 열매 실) ]
- 무실역행(務實力行) : 참되고 실속 있도록 힘써 실행함. [ (務: 힘쓸 무) (實: 열매 실) (行: 갈 행) ]
- 언과기실(言過其實) : 말이 사실보다 과장되고 실행이 부족함. [ (言: 말씀 언) (過: 지날 과) (其: 그 기) (實: 열매 실) ]
- 여공불급(如恐不及) : 미치지 못할까 마음을 졸임. [ (如: 같을 여) (恐: 두려울 공) (不: 아니 불) (及: 미칠 급) ]
[우화]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가호위호(假虎威狐) :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 (假: 거짓 가) (虎: 범 호) (威: 위엄 위) (狐: 여우 호) ]
- 가호위(假虎威) : 여우가 범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 (假: 거짓 가) (虎: 범 호) (威: 위엄 위) ]
- 환골(換骨) : (1)뼈대를 바꾸어 낀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2)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 (3)도가(道家)에서, 인간이 속골(俗骨)을 선골(仙骨)로 바꾸어 몸에 털이 난다는 뜻으로, 신선이 되는 일을 이르는 말. [ (換: 바꿀 환) (骨: 뼈 골) ]
- 묘항현령(猫項懸鈴) : 쥐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다는 뜻으로, 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를 이르는 말. 쥐가 고양이의 습격을 미리 막기 위한 수단으로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다는 일을 의논하였으나, 실행 불가능으로 끝났다는 우화에서 유래한다. [ (猫: 고양이 묘) (項: 목 항) (懸: 매달 현) (鈴: 방울 령) ]
[유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刎: 목 벨 문) (頸: 목 경) (之: 갈 지) (友: 벗 우) ]
-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七: 일곱 칠) (步: 걸을 보) (之: 갈 지) (才: 재주 재)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竽: 피리 우) ]
- 불야성(不夜城)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不: 아니 불) (夜: 밤 야) (城: 성 성) ]
- 현가불철(絃歌不輟) :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 (絃: 악기줄 현) (歌: 노래 가) (不: 아니 불) (輟: 그칠 철) ]
[의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여호모피(與狐謀皮) : 여우하고 여우의 모피(毛皮)를 벗길 모의(謀議)를 한다는 뜻으로, 이해(利害)가 상충하는 사람하고 의논(議論)하면 결코 이루어지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與: 줄 여) (狐: 여우 호) (謀: 꾀할 모) (皮: 가죽 피) ]
- 양상화매(兩相和賣) : 파는 쪽과 사는 쪽이 서로 잘 의논하여서 물건을 팔고 삼. [ (相: 서로 상) (和: 고를 화) (賣: 팔 매) ]
- 여호모피(與狐謨皮) : 여우하고 여우의 모피(毛皮)를 벗길 모의(謀議)를 한다는 뜻으로, 이해(利害)가 상충하는 사람하고 의논(議論)하면 결코 이루어지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與: 줄 여) (狐: 여우 호) (謨: 꾀 모) (皮: 가죽 피) ]
- 여무가론(餘無可論) : 이미 본 것에 기초하여 대강이 결정되어 나머지는 논의할 필요가 없음. [ (餘: 남을 여) (無: 없을 무) (可: 옳을 가) (論: 의논할 론) ]
- 도부동불상위모(道不同不相爲謀) :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道理)를 달리 하는 사람과는 서로 의논(議論)하지도 말라는 말. [ (道: 길 도) (不: 아닌가 부) (同: 한가지 동) (不: 아니 불) (相: 서로 상) (爲: 할 위) (謀: 꾀할 모) ]
[고양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묘서동면(猫鼠同眠) : 쥐와 고양이가 함께 잔다는 뜻으로, 상하(上下)가 부정(不正)하게 결탁(結託)하여 나쁜 짓을 함을 이르는 말. [ (猫: 고양이 묘) (鼠: 쥐 서) (同: 한가지 동) (眠: 잘 면) ]
- 모순(矛盾) : (1)어떤 사실의 앞뒤, 또는 두 사실이 이치상 어긋나서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상인이 창과 방패를 팔면서 창은 어떤 방패로도 막지 못하는 창이라 하고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지 못하는 방패라 하여, 앞뒤가 맞지 않은 말을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2)두 가지의 판단, 사태 따위가 양립하지 못하고 서로 배척하는 상태. 두 판단이 중간에 존재하는 것이 없이 대립하여 양립하지 못하는 관계로, 이를테면 '고양이는 동물이지만 동물이 아니다.' 따위이다. (3)투쟁 관계에 있는 두 대립물이 공존하면서 맺는 상호 관계. 논리적 모순과 변증법적 모순이 있는데, 논리적 모순이 사유의 영역에만 존재하는 데 비해 변증법적 모순은 사물, 체계 따위의 객관적 실재에 속하며 모든 운동과 변화, 발전의 근원이 된다. (4)2001년 류석훈이 발표한 안무 작품. 앵벌이 소년의 삶과 죽음을 통해 사회의 모순을 고발한 작품이다. [ (矛: 창 모) (盾: 방패 순) ]
- 궁서설묘(窮鼠齧猫) : 궁박한 쥐가 고양이를 문다는 뜻으로, 궁지에 몰린 쥐가 고양이를 물 듯 약자도 궁지에 처하면 강자에게 반항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窮鼠齧狸 (궁서설리)]. [ (窮: 다할 궁) (鼠: 쥐 서) (齧: 물 설) (猫: 고양이 묘) ]
- 묘서동처(猫鼠同處) : 고양이와 쥐가 함께 있다는 뜻으로, 곧, 도둑을 잡아야 할 사람이 도둑과 한패가 됨. [ (猫: 고양이 묘) (鼠: 쥐 서) (同: 한가지 동) (處: 머무를 처) ]
- 묘항현령(猫項懸鈴) : 쥐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다는 뜻으로, 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를 이르는 말. 쥐가 고양이의 습격을 미리 막기 위한 수단으로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다는 일을 의논하였으나, 실행 불가능으로 끝났다는 우화에서 유래한다. [ (猫: 고양이 묘) (項: 목 항) (懸: 매달 현) (鈴: 방울 령) ]
[불가능]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장승계일(長繩繫日) : 긴 줄로 해를 붙들어 맨다는 뜻으로, 시간(時間)의 흐름을 매어 멈추게 하려는 것, 즉 불가능(不可能)한 일을 이르는 말. [ (長: 길 장) (繩: 노끈 승) (繫: 맬 계) (日: 날 일) ]
- 상산구어(上山求魚) : 산 위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上: 위 상) (山: 메 산) (求: 구할 구) (魚: 고기 어) ]
- 사상누각(沙上樓閣) : 모래 위에 세운 누각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할 일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 [ (沙: 모래 사) (上: 위 상) (閣: 문설주 각) ]
- 고빙구화(敲氷求火) : 얼음을 두드려 불을 구(求)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의 불가능(不可能)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敲: 두드릴 고) (氷: 얼음 빙) (求: 구할 구) (火: 불 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