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12일 수요일

어초한화: 漁樵閑話

어초한화 (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漁樵閑話 한자 뜻 풀이

  • 漁(고기잡을 어) : 고기를 잡다, 고기잡이, 어부(漁夫), 물고기를 잡다, 닥치는 대로 가지다. 물 속 물고기를 잡는 일이나 그와 관련된 의미에 활용됨
  • 樵(땔나무 초) : 땔나무, 나무하다, 나뭇군, 불사르다, 망루(望樓). '땔나무'의 의미에서 '나무하다'는 의미 파생. '焦(초)'는 발음
  • 閑(한가할 한) : 한가하다, 막다, 문지방, 가로막다, 한정하다. 본래 문 안의 나무라는 뜻에서 '문지방'의 의미인데, 후에 '閒(한)'과 통용하여 '짬', '여가'의 의미로 사용됨
  • 話(말할 화) : 말하다, 이야기, 다스리다, 사투리, 고르다. 여러 가지 재미있는 이야기로 말하다는 의미에서 '말하다', '이야기' 등의 의미 생성


[樵] 땔나무 초 (땔나무, 나무하다, 나뭇군, 불사르다, 망루(望樓))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초동급부(樵童汲婦)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을 이르는 말. [ (: 땔나무 초) (: 아이 동) (: 길을 급) (: 며느리 부) ]
  • 초동목수(樵童牧豎)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땔나무 초) (: 아이 동) (: 칠 목) (: 더벅머리 수) ]

[漁] 고기잡을 어 (고기를 잡다, 고기잡이, 어부(漁夫), 물고기를 잡다, 닥치는 대로 가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그스를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갈택이어(竭澤而漁) : 연못의 물을 말려 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일시적인 욕심 때문에 먼 장래를 생각하지 않음. [ (: 다할 갈) (: 못 택) (: 말 이을 이) (: 고기잡을 어) ]
  • 어부지용(漁夫之勇) : 물속에서 무서워하지 아니하는 어부의 용기라는 뜻으로, 오랜 체험에서 얻은 용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지아비 부) (: 갈 지) (: 날랠 용) ]
  • 어인지공(漁人之功) : 두 사람이 이해관계로 서로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익을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사람 인) (: 갈 지) (: 공 공) ]

[話] 말할 화 (말하다, 이야기, 다스리다, 사투리, 고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가문설화 획순 이미지 가문설화(可聞說話) : 들을 만한 가치가 있는 옛이야기. [ (: 옳을 가) (: 들을 문) (: 말씀 설) (: 말할 화) ]
  •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그스를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향인설화(向人說話) : 남을 마주 대하여 보며 이야기함. [ (: 향할 향) (: 사람 인) (: 말씀 설) (: 말할 화) ]
  • 만단설화(萬端說話) : 온갖 이야기. [ (: 일만 만) (: 바를 단) (: 말씀 설) (: 말할 화) ]

[閑] 한가할 한 (한가하다, 막다, 문지방, 가로막다, 한정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한담객설 획순 이미지 한담객설(閑談客說) : 심심풀이로 하는 실없는 말. [ (: 한가할 한) (: 말씀 담) (: 손 객) (: 말씀 설) ]
  • 색거한처(索居閑處) : 퇴직(退職)하여 한가(閑暇)한 곳에서 세상(世上)을 보냄. [ (: 찾을 색) (: 있을 거) (: 한가할 한) (: 머무를 처) ]
  •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안한자적(安閑自適) : 평화롭고 한가하여 마음 내키는 대로 즐김. [ (: 편안할 안) (: 한가할 한) (: 스스로 자) (: 갈 적) ]

[나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상조협수 획순 이미지 상조협수(上早莢樹) : 조협나무에 오른다는 뜻으로, 공처가를 이르는 말. [ (: 위 상) (: 일찍 조) (: 열매 협) (: 나무 수) ]
  • 원공방목(圓孔方木) :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 (: 둥글 원) (: 구멍 공) (: 모 방) (: 나무 목) ]
  • 신진화멸(薪盡火滅) :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불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 (: 섶나무 신) (: 다할 진) (: 불 화) (: 멸망할 멸) ]
  • 단사표음(簞食瓢飮)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 (: 대광주리 단) (: 밥 사) (: 박 표) (: 마실 음) ]
  • 무우수(無憂樹) : '보리수'를 달리 이르는 말. 마야 부인이 보리수 아래에서 싯다르타 태자를 안산하여 근심할 것이 없었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 (: 없을 무) (: 근심 우) (: 나무 수) ]

[명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그스를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봉호만택(蓬蒿滿宅) : 쑥이 집안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조금도 세상의 명리(名利)에 개의하지 않는다는 의미. [ (: 쑥 봉) (: 쑥 호) (滿: 찰 만) (: 집 택) ]
  • 강좌칠현(江左七賢) : 고려 후기에 명예와 이익을 떠나 사귀던 일곱 선비. 이인로, 오세재, 임춘, 조통,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를 중국 진나라 때의 죽림칠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 (: 강 강) (: 왼 좌) (: 일곱 칠) (: 어질 현) ]

[어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도원(桃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 (: 복숭아나무 도) (: 근원 원)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그스를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무릉도원(武陵桃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 (: 호반 무) (: 큰 언덕 릉) (: 복숭아나무 도) (: 근원 원) ]
  • 어부지용(漁夫之勇) : 물속에서 무서워하지 아니하는 어부의 용기라는 뜻으로, 오랜 체험에서 얻은 용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지아비 부) (: 갈 지) (: 날랠 용) ]

[이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무매독자(無媒獨子) : 딸이 없는 이의 외아들. [ (: 없을 무) (: 중매 매) (: 홀로 독) (: 아들 자) ]
  • 창안백발(蒼顔白髮) : 늙은이의 쇠한 얼굴빛과 센 머리털. [ (: 푸를 창) (: 얼굴 안) (: 흰 백) (: 터럭 발) ]
  • 백수지심(白首之心) : 늙은이의 마음. [ (: 흰 백) (: 머리 수) (: 갈 지) (: 마음 심) ]
  • 의제필선(意在筆先) : 뜻이 붓 앞에 있다는 뜻으로, 써 놓은 글씨에서 쓴 이의 마음을 살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 뜻 의) (: 붓 필) (: 먼저 선) ]

[한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안한자적(安閑自適) : 평화롭고 한가하여 마음 내키는 대로 즐김. [ (: 편안할 안) (: 한가할 한) (: 스스로 자) (: 갈 적) ]
  • 투한치산(投閑置散) : 한가함에 던지고 산만함에 두다는 뜻으로, 한산(閑散)한 자리에 몸을 두고 있어 요직(要職)에 오르지 못함을 이르는 말. [ (: 던질 투) (: 한가할 한) (: 둘 치) (: 흩을 산) ]

[나무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어초한화 획순 이미지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그스를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난가(爛柯) : (1)'난가'의 북한어. (2)도낏자루가 썩는다는 뜻으로, 바둑 따위의 놀이에 정신이 팔려 세월 가는 줄 모름. 중국 진(晉)나라 때 왕질(王質)이라는 나무꾼이 두 동자가 바둑 두는 것을 구경하는 동안에 도낏자루가 썩어 버리고, 마을에 돌아오니 아는 사람이 다 죽었더라는 <술이기(述異記)>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 가지 가)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