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15일 화요일

백벽미하: 白壁微瑕

백벽미하 (白壁微瑕) : 흰 옥에도 흠이 있다는 뜻으로, 훌륭한 것에도 약간의 결점(缺點)이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白壁微瑕 한자 뜻 풀이

  • 白(흰 백) : 희다, 서방(西方)의 빛깔, 작위, 말하다, 백작. 엄지 손톱의 흰 것에서 '희다'는 의미를 생성함. '日(일)'과 구별을 위해 '점'을 첨가함
  • 壁(벽 벽) : 벽, 담, 벼랑, 별 이름, 성채(城砦). 울타리나 바람벽의 의미
  • 微(작을 미) : 작다, 적다, 숨기다, 숨다, 몰래. '彳'으로 은밀하게 몰래 간다는 의미를 표현했는데, 후에 '미세하다', '미천하다' 등 파생. 彳을 제외한 오른쪽 부분이 발음
  • 瑕(티 하) : 티, 허물, 멀다, 어찌, 잘못. 옥의 티의 의미에서 잘못, 과오 등 파생


[壁] 벽 벽 (벽, 담, 벼랑, 별 이름, 성채(城砦))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면벽수도 획순 이미지 면벽수도(面壁修道) : 얼굴을 벽에 대고 도를 닦는 것. [ (: 낯 면) (: 벽 벽) (: 닦을 수) (: 길 도) ]
  • 가도사벽(家徒四壁) : 집안이 네 벽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 형편(形便)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 (: 집 가) (: 무리 도) (: 넉 사) (: 벽 벽) ]
  • 가도벽립(家徒壁立) : 가난한 집이라서 집 안에 세간살이는 하나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다는 말. ≪한서≫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에 나오는 말이다. [ (: 집 가) (: 무리 도) (: 벽 벽) (: 설 립) ]
  • 벽위화소립춘호조제래(壁危花笑立春好鳥啼來) : 벽이 위태(危殆)로우나 꽃은 웃으며 서 있고, 봄이 좋으나 새는 울면서 옴. [ (: 벽 벽) (: 위태할 위) (: 꽃 화) (: 웃을 소) (: 설 립) (: 봄 춘) (: 좋을 호) (: 새 조) (: 울 제) (: 올 래) ]
  • 백벽미하(白壁微瑕) : 흰 옥에도 흠이 있다는 뜻으로, 훌륭한 것에도 약간의 결점(缺點)이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흰 백) (: 벽 벽) (: 작을 미) (: 티 하) ]

[微] 작을 미 (작다, 적다, 숨기다, 숨다, 몰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무미불측 획순 이미지 무미불측(無微不測) : 아주 작은 일까지 샅샅이 다 헤아림. [ (: 없을 무) (: 작을 미) (: 아니 불) (: 잴 측) ]
  • 미관말직(微官末職) : 지위가 아주 낮은 벼슬. 또는 그런 위치에 있는 사람. [ (: 작을 미) (: 벼슬 관) (: 끝 말) (: 벼슬 직) ]
  • 백옥미하(白玉微瑕) : 흰 옥의 작은 티라는 뜻으로, 작은 과실이나 조그마한 실수의 의미. [ (: 흰 백) (: 구슬 옥) (: 작을 미) (: 티 하) ]
  • 복생어미(福生於微) : 복은 작은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행복은 조그마한 일에서부터 싹튼다는 의미. [ (: 복 복) (: 날 생) (: 어조사 어) (: 작을 미) ]
  • 백벽미하(白壁微瑕) : 흰 옥에도 흠이 있다는 뜻으로, 훌륭한 것에도 약간의 결점(缺點)이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흰 백) (: 벽 벽) (: 작을 미) (: 티 하) ]

[瑕] 티 하 (티, 허물, 멀다, 어찌, 잘못)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백옥미하 획순 이미지 백옥미하(白玉微瑕) : 흰 옥의 작은 티라는 뜻으로, 작은 과실이나 조그마한 실수의 의미. [ (: 흰 백) (: 구슬 옥) (: 작을 미) (: 티 하) ]
  • 하옥(瑕玉) : 흠이 없으면 완전(完全)한 것인데, 아깝게도 흠이 있어 결점(缺點)이 된다는 뜻으로, 옥에도 티가 있다는 말. [ (: 티 하) (: 구슬 옥) ]
  • 백벽미하(白壁微瑕) : 흰 옥에도 흠이 있다는 뜻으로, 훌륭한 것에도 약간의 결점(缺點)이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흰 백) (: 벽 벽) (: 작을 미) (: 티 하) ]
  • 촌지옥필유하적(寸之玉必有瑕適) : 아주 작은 옥에도 반드시 티가 있다는 뜻으로, 완전(完全)한 것이란 없음을 이르는 말. [ (: 마디 촌) (: 갈 지) (: 구슬 옥) (: 반드시 필) (: 있을 유) (: 티 하) (: 갈 적) ]

[白] 흰 백 (희다, 서방(西方)의 빛깔, 작위, 말하다, 백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편작불능육백골 획순 이미지 편작불능육백골(扁鵲不能肉白骨) : 천하(天下)의 명의(名醫) 편작도 죽은 사람을 소생시킬 수는 없다는 뜻으로, 충신(忠臣)도 망국(亡國)을 유지(維持)할 수는 없음을 이르는 말. [ (: 넓적할 편) (: 까치 작) (: 아니 불) (: 능할 능) (: 고기 육) (: 흰 백) (: 뼈 골) ]
  • 백색선전(白色宣傳) : 믿을 만한 증거나 자료를 가지고 하는 선전. [ (: 흰 백) (: 빛 색) (: 베풀 선) (: 전할 전) ]
  • 백색공포(白色恐怖) : 권력자나 지배 계급이 반정부 세력이나 혁명 운동에 대하여 행하는 탄압. [ (: 흰 백) (: 빛 색) (: 두려울 공) (: 두려워할 포) ]
  • 백수잔년(白首殘年) : 늙어서 머리가 세고 살날이 얼마 남지 않음. [ (: 흰 백) (: 머리 수) (: 해칠 잔) (: 해 년) ]
  • 백일비승(白日飛昇) : 도를 극진히 닦아 육신을 가진 채 신선이 되어 대낮에 하늘로 올라가는 일. [ (: 흰 백) (: 날 일) (: 날 비) (: 오를 승) ]

[결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하옥 획순 이미지 하옥(瑕玉) : 흠이 없으면 완전(完全)한 것인데, 아깝게도 흠이 있어 결점(缺點)이 된다는 뜻으로, 옥에도 티가 있다는 말. [ (: 티 하) (: 구슬 옥) ]
  • 백벽미하(白壁微瑕) : 흰 옥에도 흠이 있다는 뜻으로, 훌륭한 것에도 약간의 결점(缺點)이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흰 백) (: 벽 벽) (: 작을 미) (: 티 하) ]
  • 자시불각취(自屎不覺臭) : 제 똥은 냄새를 깨닫지 못한다는 뜻으로, 제 똥 구린지 모르는 것처럼 제 결점을 알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스스로 자) (: 똥 시) (: 아니 불) (: 깨달을 각) (: 냄새 취) ]
  • 백옥무하(白玉無瑕) : 백옥에 아무런 티나 흠이 없다는 뜻으로, 아무런 흠이나 결점이 없음 또는 그런 사람을 이르는 말. [ (: 흰 백) (: 구슬 옥) (: 없을 무) (: 티 하) ]

[비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 획순 이미지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귀신 귀) (: 서로 상) (: 반 반)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할계우도(割鷄牛刀)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 나눌 할) (: 닭 계) (: 소 우) (: 칼 도) ]
  • 거저척이(遽篨戚施) :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병이란 뜻으로, 오만(傲慢)하고 아첨(阿諂)하는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거저(遽篨)는 새가슴, 척이(戚施)는 곱사등이. [ (: 갑자기 거) (: 대자리 저) (: 겨레 척) (: 옮을 이) ]
  •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 (: 눈 설) (: 위 상) (: 더할 가) (: 서리 상) ]

[약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척촌지리 획순 이미지 척촌지리(尺寸之利) : 얼마 되지 않는 약간의 이익. [ (: 자 척) (: 마디 촌) (: 갈 지) (: 날카로울 리) ]
  • 척촌지공(尺寸之功) : 얼마 되지 않는 약간의 공로. [ (: 자 척) (: 마디 촌) (: 갈 지) (: 공 공) ]
  • 척촌지지(尺寸之地) : 얼마 안 되는 좁은 땅. [ (: 자 척) (: 마디 촌) (: 갈 지) (: 땅 지) ]

[훌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투과득경 획순 이미지 투과득경(投瓜得瓊)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 (: 던질 투) (: 오이 과) (: 얻을 득) (: 옥 경) ]
  • 출언유장(出言有章) : 나오는 말마다 문채가 있다는 뜻으로, 하는 말이 아름답고 훌륭함을 이르는 말. [ (: 날 출) (: 말씀 언) (: 있을 유) (: 문채 장) ]
  • 시부시자(是父是子) :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뜻으로, 그 아비를 닮은 그 자식이라는 의미에서 부자(父子)가 모두 훌륭함을 이르는 말. [ (: 옳을 시) (: 아비 부) (: 옳을 시) (: 아들 자) ]
  • 수용산출(水湧山出) :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 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물 수) (: 샘솟을 용) (: 메 산) (: 날 출) ]
  • 목후이관(沐猴而冠) : 원숭이가 관을 썼다는 뜻으로, 의관(衣冠)은 갖추었으나 사람답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머리감을 목) (: 원숭이 후) (: 말 이을 이) (: 갓 관)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