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9일 일요일

색거한처: 索居閑處

색거한처 (索居閑處) : 퇴직(退職)하여 한가(閑暇)한 곳에서 세상(世上)을 보냄.



索居閑處 한자 뜻 풀이

  • 索(찾을 색) : 동아줄, 찾다, 구(求)하다, 구함, 꼬다. '동아줄'이나 '꼬다' 등의 의미로 (삭)발음으로 사용되거나, '찾다' 등의 의미로 (색)발음으로 사용됨
  • 居(있을 거) : 있다, 어조사, 부를 때나 의문을 나타낼 때, 또는 어조를 고르는 조사, 살다, 앉다. 본래 尸(시)는 구부리고 앉아있는 사람의 모양으로 평하게 앉아있는 의미에서 '살다'는 의미 파생
  • 閑(한가할 한) : 한가하다, 막다, 문지방, 가로막다, 한정하다. 본래 문 안의 나무라는 뜻에서 '문지방'의 의미인데, 후에 '閒(한)'과 통용하여 '짬', '여가'의 의미로 사용됨
  • 處(머무를 처) : 머무르다, 곳, 사람 이름, 두다, 분별하다. 사람이 의자에 앉아있는 모양에서 '장소', '처하다'의 의미 생성. 부수인 호랑이머리(호)는 발음 역할임


[居] 있을 거 (있다, 어조사, 부를 때나 의문을 나타낼 때, 또는 어조를 고르는 조사, 살다, 앉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색거한처 획순 이미지 색거한처(索居閑處) : 퇴직(退職)하여 한가(閑暇)한 곳에서 세상(世上)을 보냄. [ (: 찾을 색) (: 있을 거) (: 한가할 한) (: 머무를 처) ]
  • 추조거습(推燥居濕) : {아이는} 마른 곳으로 밀고, {자기는} 젖은 자리에 앉는다는 뜻으로, 자식을 기르는 어머니의 노고(勞苦)를 마다하지 않는 사랑을 이르는 말. [ (: 옮을 추) (: 마를 조) (: 있을 거) (: 축축할 습) ]
  • 좌와기거(坐臥起居) : (1)'일상생활'을 달리 이르는 말. (2)좌와와 기거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앉을 좌) (: 누울 와) (: 일어날 기) (: 있을 거) ]
  • 안거위사(安居危思) : 편안할 때에 어려움이 닥칠 것을 미리 대비하여야 함. [ (: 편안할 안) (: 있을 거) (: 위태할 위) (: 생각할 사) ]
  • 거지중천(居之中天) : 텅 빈 공중. [ (: 있을 거) (: 갈 지) (: 가운데 중) (: 하늘 천) ]

[索] 찾을 색 (동아줄, 찾다, 구(求)하다, 구함, 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색거한처 획순 이미지 색거한처(索居閑處) : 퇴직(退職)하여 한가(閑暇)한 곳에서 세상(世上)을 보냄. [ (: 찾을 색) (: 있을 거) (: 한가할 한) (: 머무를 처) ]
  • 추풍삭막(秋風索莫) : 가을바람이 황량하고 쓸쓸하게 분다는 뜻으로, 예전의 권세는 간 곳이 없고 초라해진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가을 추) (: 바람 풍) (: 동아줄 삭) (: 없을 막) ]
  • 암색(暗索) : (1)물건 따위를 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음. (2)어림으로 무엇을 알아내거나 찾아내려 함. [ (: 어두울 암) (: 찾을 색) ]
  • 색은행괴(索隱行怪) : 궁벽한 것을 캐내고 괴이한 일을 행함. [ (: 찾을 색) (: 숨을 은) (: 갈 행) (: 기이할 괴) ]
  • 후삭어육마(朽索馭六馬) : 썩은 새끼로 여섯 필의 말을 몬다는 뜻으로, 매우 어렵고 위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썩을 후) (: 동아줄 삭) (: 말 부릴 어) (: 말 마) ]

[處] 머무를 처 (머무르다, 곳, 사람 이름, 두다, 분별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경선처단 획순 이미지 경선처단(徑先處斷) : 범인의 진술을 기다리지 않고 처단하는 일. [ (: 지름길 경) (: 먼저 선) (: 머무를 처) (: 끊을 단) ]
  • 산림처사(山林處士) : 벼슬을 하지 않고 세속을 떠나 산골에 파묻혀 글이나 읽고 지내는 선비. [ (: 메 산) (: 수풀 림) (: 머무를 처) (: 선비 사) ]
  • 색거한처(索居閑處) : 퇴직(退職)하여 한가(閑暇)한 곳에서 세상(世上)을 보냄. [ (: 찾을 색) (: 있을 거) (: 한가할 한) (: 머무를 처) ]
  • 슬처두이흑(蝨處頭而黑) : 흰 이도 머리 속에 있으면 검다는 뜻으로, 사람도 사귀는 사람에 따라 성질이 달라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이 슬) (: 머무를 처) (: 머리 두) (: 말 이을 이) (: 검을 흑) ]
  • 촉처봉패(觸處逢敗) : 가서 닥치는 곳마다 낭패를 당함. [ (: 닿을 촉) (: 머무를 처) (: 만날 봉) (: 패할 패) ]

[閑] 한가할 한 (한가하다, 막다, 문지방, 가로막다, 한정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한담객설 획순 이미지 한담객설(閑談客說) : 심심풀이로 하는 실없는 말. [ (: 한가할 한) (: 말씀 담) (: 손 객) (: 말씀 설) ]
  • 색거한처(索居閑處) : 퇴직(退職)하여 한가(閑暇)한 곳에서 세상(世上)을 보냄. [ (: 찾을 색) (: 있을 거) (: 한가할 한) (: 머무를 처) ]
  • 어초한화(漁樵閑話)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땔나무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 안한자적(安閑自適) : 평화롭고 한가하여 마음 내키는 대로 즐김. [ (: 편안할 안) (: 한가할 한) (: 스스로 자) (: 갈 적) ]
  • 어초한화(漁焦閑話) :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 고기잡을 어) (: 그스를 초) (: 한가할 한) (: 말할 화) ]

[세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 획순 이미지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 :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 (: 좋을 호) (: 일 사) (: 아니 불) (: 날 출) (: 문 문) (: 악할 악) (: 일 사) (: 갈 행) (: 일천 천) (: 마을 리) ]
  • 초목구후(草木俱朽) :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풀 초) (: 나무 목) (: 함께 구) (: 썩을 후) ]
  • 천하지지(天下之志) : 세상 사람들의 생각이나 뜻. [ (: 하늘 천) (: 아래 하) (: 갈 지) (: 뜻 지) ]
  • 발산개세(拔山蓋世) : 힘은 산을 뽑을 만큼 매우 세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큼 웅대함을 이르는 말. [ (: 뺄 발) (: 메 산) (: 덮을 개) (: 인간 세) ]
  • 무상천류(無常遷流) : 인간 세상이 쉬지 않고 변천함. [ (: 없을 무) (: 항상 상) (: 옮길 천) (: 흐를 류)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