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9일 일요일

아급형제동수친혈: 我及兄弟同受親血

아급형제동수친혈 (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我及兄弟同受親血 한자 뜻 풀이

  • 我(나 아) : 나, 나의, 아집(我執), 굶주리다. 창과 같은 무기를 들고 있는 모양인데, 몸을 구부려 자신을 드러내는 의미[施身謂自]에서 '자신'의 의미를 파생함
  • 及(미칠 급) : 미치다, 미치게 하다, 및, 더불어 하다, 급제(及第)의 준말. 사람[人]과 손[又]의 결합으로, 손으로 앞사람에게 닿는다는 의미에서 '미치다'는 뜻 생성
  • 兄(맏 형) : 맏이, 하물며, 형, 두려워하다, 근심. 머리부분을 크게 강조한 사람의 모양으로 머리가 큰 것으로 '형'의 의미를 표현함
  • 弟(아우 제) : 아우, 공손하다, 차례, 즐기다, 단지. 본래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의 모양인데, 후에 아우나 제자의 의미로 변함. 사다리는 '竹'을 더해 '第'로 만들고 '순서' 의미를 파생
  • 同(한가지 동) : 한가지, 같이하다, 모이다, 화(和)하다, 함께. '口(구)'를 제외한 부분은 덮어 가린 일정한 장소의 의미로, 사람들[口]이 일정 장소에 '모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모였다는 의미에서 '한가지', '같다' 등의 의미 파생
  • 受(받을 수) : 받다, 당하다, 입음, 손에 받아 쥐다, 받아 들이다. 손에 물건을 주고받는 모양에서 '주다'와 '받다'를 다 사용하다가 후에 '手'를 더해 '주다'는 별도로 授(수)를 만듦
  • 親(친할 친) : 친하다, 화목하다, 친히, 몸소 하다, 자애(慈愛). 돌보아 줄 수 있는 사람의 의미에서 '어버이'와 '친하다', '몸소' 등의 의미 도출
  • 血(피 혈) : 피, 골육(骨肉), 피칠하다, 물들이다, 흠. 희생물의 피를 그릇[皿(명)] 위에 핏방울의 형상 [`]을 더해 '희생의 피'를 의미해서 널리 '피'의 의미로 사용됨


[兄] 맏 형 (맏이, 하물며, 형, 두려워하다, 근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형랑 획순 이미지 형랑(兄郞) : 언니의 남편을 이르는 말. [ (: 맏 형) (: 사내 랑) ]
  • 동복형(同腹兄) : 한 어머니에게서 난 형. [ (: 한가지 동) (: 배 복) (: 맏 형)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及] 미칠 급 (미치다, 미치게 하다, 및, 더불어 하다, 급제(及第)의 준말)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아급형제동수친혈 획순 이미지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 사불급설(駟不及舌) : 아무리 빠른 사마(駟馬)라도 혀를 놀려서 하는 말을 따르지 못한다는 뜻으로, 소문은 순식간에 퍼지는 것이므로 말을 조심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 사마 사) (: 아니 불) (: 미칠 급) (: 혀 설) ]
  • 앙망불급(仰望不及) : 우러러 바라보아도 미치지 못함. [ (: 우러를 앙) (: 바랄 망) (: 아니 불) (: 미칠 급) ]
  • 조수불급(助手不及) : 일이 썩 급(急)하여 손을 댈 나위가 없음. [ (: 도울 조) (: 손 수) (: 아니 불) (: 미칠 급) ]
  • 애급옥오(愛及屋烏) : 사람을 사랑하면 그 집 지붕 위에 앉은 까마귀까지도 귀엽게 보인다는 뜻으로, 그 사람과 연관된 사람이나 물건까지도 사랑함을 이르는 말. [ (: 사랑 애) (: 미칠 급) (: 집 옥) (: 까마귀 오) ]

[受] 받을 수 (받다, 당하다, 입음, 손에 받아 쥐다, 받아 들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書차이소자경수서 획순 이미지 書차이소자경수서(嗟爾小子敬受此) : 자, 너희 어린이들아! 공경(恭敬)하는 마음으로 이글을 받아들여야 함. [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 복배수적(腹背受敵) : 앞뒤로 적을 만남. [ (: 배 복) (: 등 배) (: 받을 수) (: 원수 적) ]
  • 배임수뢰(背任受賂) : 본분의 임무(任務)를 어기고 부정(不正)한 청탁(請託)을 받으며 뇌물(賂物)을 받아 재산(財産) 상(上)의 이익(利益)을 취득(取得)하는 죄(罪). [ (: 등 배) (: 맡길 임) (: 받을 수) (: 뇌물줄 뢰) ]
  • 동문수학(同文受學) : 한 스승 밑에서 같이 학문을 닦고 배운다는 의미. [ (: 한가지 동) (: 글월 문) (: 받을 수) (: 배울 학) ]

[同] 한가지 동 (한가지, 같이하다, 모이다, 화(和)하다, 함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동악상조 획순 이미지 동악상조(同惡相助) : 악인(惡人)도 악(惡)한 일을 이루기 위(爲)해서는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끼리 서로 도움을 이르는 말. [ (: 한가지 동) (: 악할 악) (: 서로 상) (: 도울 조) ]
  • 동복형(同腹兄) : 한 어머니에게서 난 형. [ (: 한가지 동) (: 배 복) (: 맏 형) ]
  • 동심지언기취여란(同心之言其臭如蘭) : 마음을 함께 하는 말은 그 냄새가 난초(蘭草)와 같음. [ (: 한가지 동) (: 마음 심) (: 갈 지) (: 말씀 언) (: 그 기) (: 냄새 취) (: 같을 여) (: 난초 란) ]
  • 동근연지(同根連枝) : 같은 뿌리와 잇닿은 나뭇가지라는 뜻으로, 형제(兄弟), 자매(姉妹)를 일컫는 말. [ (: 한가지 동) (: 뿌리 근) (: 가지 지) ]
  • 동심동력(同心同力) : 마음을 같이하여 힘을 합침. [ (: 한가지 동) (: 마음 심) (: 한가지 동) (: 힘 력) ]

[弟] 아우 제 (아우, 공손하다, 차례, 즐기다, 단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적제 획순 이미지 적제(嫡弟) : 서자가 자기 아버지의 정실에게서 난 아우를 이르는 말. [ (: 큰마누라 적) (: 아우 제) ]
  • 경화자제(京華子弟) : 번화한 서울에서 곱게 자란 젊은이라는 뜻으로, 주로 부잣집 자녀들을 이르는 말. [ (: 서울 경) (: 빛날 화) (: 아들 자) (: 아우 제)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我] 나 아 (나, 나의, 아집(我執), 굶주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면찬아선첨유지인 획순 이미지 면찬아선첨유지인(面讚我善諂諛之人) : 면전(面前)에서 나를 착하다고 칭찬(稱讚)하는 사람이라면 아첨(阿諂)하는 사람임. [ (: 낯 면) (: 기릴 찬) (: 나 아) (: 착할 선) (: 아첨할 첨) (: 알랑거릴 유) (: 갈 지) (: 사람 인) ]
  • 복이회아유이포아(腹以懷我乳以哺我) : 배로써 나를 품어 주시고 젖으로써 나를 먹이심. [ (: 배 복) (: 써 이) (: 품을 회) (: 나 아) (: 젖 유) (: 써 이) (: 먹일 포) (: 나 아) ]
  • 망아지경(忘我之境) : 어떤 사물에 마음을 빼앗겨 자기 자신을 잊어버리는 경지. [ (: 잊을 망) (: 나 아) (: 갈 지) (: 지경 경)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血] 피 혈 (피, 골육(骨肉), 피칠하다, 물들이다, 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혈기방장 획순 이미지 혈기방장(血氣方壯) : 힘을 쓰고 활동하게 하는 원기가 왕성함. [ (: 피 혈) (: 기운 기) (: 모 방) (: 씩씩할 장)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 혈맥상통(血脈相通) : (1)핏줄이 서로 통함. 곧 혈육의 관계가 있음을 이른다. (2)서로 잘 조화되고 어울림. [ (: 피 혈) (: 맥 맥) (: 서로 상) (: 통할 통) ]
  • 혈맥상승(血脈上昇) : 서로 계승(繼承)하여 법통을 전(傳)하는 일. [ (: 피 혈) (: 맥 맥) (: 위 상) (: 오를 승) ]
  • 혈성남자(血誠男子) : 용감(勇敢)스럽고 의기(義氣)가 있어서 죽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나이. [ (: 피 혈) (: 정성 성) (: 사내 남) (: 아들 자) ]

[親] 친할 친 (친하다, 화목하다, 친히, 몸소 하다, 자애(慈愛))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당내지친 획순 이미지 당내지친(堂內至親) :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 (: 집 당) (: 안 내) (: 이를 지) (: 친할 친) ]
  • 친모(親母) : 자기를 낳은 어머니. [ (: 친할 친) (: 어미 모)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 대의멸친(大義滅親) : 큰 도리를 지키기 위하여 부모나 형제도 돌아보지 않음. [ (: 큰 대) (: 옳을 의) (: 멸망할 멸) (: 친할 친) ]

[형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재종숙 획순 이미지 재종숙(再從叔) : 아버지의 육촌 형제. [ (: 두 재) (: 좇을 종) (: 아재비 숙) ]
  • 동근연지(同根連枝) : 같은 뿌리와 잇닿은 나뭇가지라는 뜻으로, 형제(兄弟), 자매(姉妹)를 일컫는 말. [ (: 한가지 동) (: 뿌리 근) (: 가지 지)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 형제자매우애이이(兄弟姉妹友愛而已) : 형제(兄弟)와 자매(姉妹)는 서로 우애(友愛)할 따름임. [ (: 맏 형) (: 아우 제) (: 손위누이 자) (: 누이 매) (: 벗 우) (: 사랑 애) (: 말 이을 이) (: 그칠 이) ]
  • 사해형제(四海兄弟) : 온 세상 사람이 모두 형제와 같다는 뜻으로, 친밀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안연편(顔淵篇)>에서 사해 안에 있는 사람을 모두 형제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 (: 넉 사) (: 바다 해) (: 맏 형) (: 아우 제) ]

[어버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목지비 획순 이미지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명주출로방(明珠出老蚌) : 오래 묵은 조개에서 명주(明珠)가 나온다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어버이가 뛰어난 자식(子息)을 낳은 것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밝을 명) (: 구슬 주) (: 날 출) (: 늙을 로) (: 방합 방) ]
  • 망운(望雲) :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이 타향에서 부모가 계신 쪽의 구름을 바라보고 어버이를 그리워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바랄 망) (: 구름 운)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 현조(玄祖) : 고조(高祖)의 어버이. [ (: 검을 현) (: 할아비 조) ]

[한가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아급형제동수친혈 획순 이미지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 일념통천(一念通天) : 온 마음을 기울이면 하늘을 감동시킴. [ (: 한 일) (: 생각 념) (: 통할 통) (: 하늘 천) ]
  • 용지불분(用志不分) : 뜻을 베푸는데 나누지 않는다는 뜻으로, 오로지 한가지 일에 전념(專念)하고 여기저기 정신을 팔지 않음을 이르는 말. [ (: 쓸 용) (: 뜻 지) (: 아니 불) (: 나눌 분) ]
  • 전심전력(專心專力) : 온 마음과 온 힘을 한곳에 모아 씀. [ (: 오로지 전) (: 마음 심) (: 오로지 전) (: 힘 력) ]
  • 탄도토화(呑刀吐火) : 칼을 삼키고 불을 토한다는 뜻으로, 요술이나 마술의 한가지라는 의미. [ (: 삼킬 탄) (: 칼 도) (: 토할 토) (: 불 화)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