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9일 일요일

현조: 玄祖

현조 (玄祖) : 고조(高祖)의 어버이.



玄祖 한자 뜻 풀이

  • 玄(검을 현) : 검다, 적흑색, 하늘빛, 아득히 멂, 깊다. 위 부분[ㅗ]은 '덮는다'는 의미이고, 아래 부분은 '멀고 깊다'는 의미로 둘이 결합하여 '그윽하고 멀다'는 의미를 지님
  • 祖(할아비 조) : 할아비, 조상(祖上), 사당(祠堂), 처음, 근본. 인간이 정성을 보이는 영적인 존재의 상징으로 '조상'의 의미 생성


[玄] 검을 현 (검다, 적흑색, 하늘빛, 아득히 멂, 깊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지현황 획순 이미지 천지현황(天地玄黃) : 하늘은 위에 있어 그 빛이 검고 땅은 아래 있어서 그 빛이 누름. [ (: 하늘 천) (: 땅 지) (: 검을 현) (: 누를 황) ]
  • 현조(玄祖) : 고조(高祖)의 어버이. [ (: 검을 현) (: 할아비 조) ]
  • 현상백(玄尙白) : 검지만 아직도 희다는 뜻으로, 아직 다 검어지지 않았다는 의미에서 도(道)가 미숙(未熟)함을 비웃어 일컫는 말. [ (: 검을 현) (: 오히려 상) (: 흰 백) ]
  • 현지우현(玄之又玄) : 오묘(奧妙)하고 또 오묘(奧妙)하다는 뜻으로, 도(道)의 광대(廣大) 무변함을 찬탄(讚歎)한 말. [ (: 검을 현) (: 갈 지) (: 또 우) (: 검을 현) ]

[祖] 할아비 조 (할아비, 조상(祖上), 사당(祠堂), 처음, 근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현조고 획순 이미지 현조고(懸祖考) : 신주(神主)나 축문(祝文)에서 '돌아간 할아버지'를 일컫는 말. [ (: 매달 현) (: 할아비 조) (: 상고할 고) ]
  • 조항(祖行) : (1)할아버지뻘의 항렬. ⇒규범 표기는 '조항'이다. (2)할아버지뻘의 항렬. [ (: 할아비 조) (: 줄 항) ]
  • 비조(鼻祖) : (1)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2)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3)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 (: 코 비) (: 할아비 조) ]
  • 현조(玄祖) : 고조(高祖)의 어버이. [ (: 검을 현) (: 할아비 조) ]
  • 조고여생(祖考餘生) : 어려서 어버이를 잃고 자란 사람. [ (: 할아비 조) (: 상고할 고) (: 남을 여) (: 날 생) ]

[고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현조 획순 이미지 현조(玄祖) : 고조(高祖)의 어버이. [ (: 검을 현) (: 할아비 조) ]
  • 고대고모(高大姑母) : 고조할아버지의 누이. [ (: 높을 고) (: 큰 대) (: 시어미 고) (: 어미 모) ]
  • 법약삼장(法約三章) : 한(漢)나라 고조(高祖)가 진(秦)의 가혹(苛酷)한 법을 고쳐 세 조문(條文)으로 줄인 일. [ (: 법 법) (: 묶을 약) (: 석 삼) (: 문채 장) ]
  • 삼종형제(三從兄弟) : 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 (: 석 삼) (: 좇을 종) (: 맏 형) (: 아우 제) ]
  • 일패도지(一敗塗地) : 싸움에 한 번 패하여 간과 뇌가 땅바닥에 으깨어진다는 뜻으로,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 일어날 수 없게 되는 지경에 이름을 이르는 말. 한 고조 유방의 말로서 ≪사기≫의 <고조본기(高祖本紀)>에 나오는 말이다. [ (: 한 일) (: 패할 패) (: 진흙 도) (: 땅 지) ]

[어버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목지비 획순 이미지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명주출로방(明珠出老蚌) : 오래 묵은 조개에서 명주(明珠)가 나온다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어버이가 뛰어난 자식(子息)을 낳은 것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밝을 명) (: 구슬 주) (: 날 출) (: 늙을 로) (: 방합 방) ]
  • 망운(望雲) :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이 타향에서 부모가 계신 쪽의 구름을 바라보고 어버이를 그리워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바랄 망) (: 구름 운)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 현조(玄祖) : 고조(高祖)의 어버이. [ (: 검을 현) (: 할아비 조) ]

[할아버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현조고 획순 이미지 현조고(懸祖考) : 신주(神主)나 축문(祝文)에서 '돌아간 할아버지'를 일컫는 말. [ (: 매달 현) (: 할아비 조) (: 상고할 고) ]
  • 조항(祖行) : (1)할아버지뻘의 항렬. ⇒규범 표기는 '조항'이다. (2)할아버지뻘의 항렬. [ (: 할아비 조) (: 줄 항) ]
  • 야야(爺爺) : 예전에, '아버지'를 높여 이르던 말. [ (: 아비 야) (: 아비 야) ]
  • 장인(丈人) : (1)아내의 아버지. (2)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3)늙은이를 이르는 말. (4)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5)덕이 많고 학식이 많은 사람. (6)아버지의 벗. [ (: 어른 장) (: 사람 인) ]
  • 무사(無似) : 어진 사람을 닮지 못함이라는 뜻으로, 주로 편지에서 글쓴이가 아버지나 할아버지에게 자기를 못난 사람이라고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 (: 없을 무) (: 같을 사)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