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9일 일요일

강장하무약병: 强將下無弱兵

강장하무약병 (强將下無弱兵) :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强將下無弱兵 한자 뜻 풀이

  • 强(굳셀 강) : 強의 俗字. 본래 벌레의 종류를 의미했는데, 후에 약한 벌레에 역설적으로 '강하다'는 의미를 부여함. 왼쪽의 '弘(홍)'은 발음 변화
  • 將(장수 장) : 장수, 장차, 인솔자, 거느리다, 원컨대. 나무 위에 고기를 놓고 요리하려는 의미에서 '앞으로 일어날 상황'인 '장차'의 의미 생성. 후에 '장수'의 의미 파생
  • 下(아래 하) : 아래, 내리다, 손아래, 뒷부분, 백성. 땅 속의 뿌리를 표시해서 아직 싹이 나오지 않은 상태로 '아니다'는 의미 도출
  • 無(없을 무) : 없다, 허무의 도(道), 무엇, 비록 …하더라도, 발어사(發語辭).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舞'를 만듦. ◎ 效(효) 채찍질하여 배우고 '본받게하다'는 의미 생성
  • 弱(약할 약) : 약하다, 쇠약하여지다, 약하게 하다, 날씬하다, 어리다. 나무 기둥들이 휘어서 쪼개지는 모양을 본떠 '약하다'는 의미 생성. 혹은 아래 '羽'의 빗금 모양을 새의 깃털로 보기도 함
  • 兵(군사 병) : 군사, 무기, 전쟁, 치다, 재앙. 도끼를 두 손으로 들고 있는 모양에서 무기를 든 병사의 의미를 생성함


[下] 아래 하 (아래, 내리다, 손아래, 뒷부분, 백성)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상원하추 획순 이미지 상원하추(上援下推) : 윗자리에 있는 자는 아랫사람을 끌어올리고, 아랫사람은 윗사람을 추대(推戴)함. [ (: 위 상) (: 당길 원) (: 아래 하) (: 옮을 추) ]
  • 풍사재하(風斯在下) :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오름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이 사) (: 있을 재) (: 아래 하) ]
  • 하성(下誠) : 주로 편지글에서, 웃어른에게 자기의 정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 (: 아래 하) (: 정성 성) ]
  • 손상익하(損上益下) : 윗사람에게 해를 끼쳐서 아랫사람을 이롭게 함. [ (: 덜 손) (: 위 상) (: 더할 익) (: 아래 하) ]
  • 상화하목(上和下睦) : 위에서 사랑하고 아래에서 공경(恭敬)함으로써 화목(和睦)이 됨. [ (: 위 상) (: 고를 화) (: 아래 하) (: 화목할 목) ]

[兵] 군사 병 (군사, 무기, 전쟁, 치다, 재앙)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강장하무약병 획순 이미지 강장하무약병(强將下無弱兵) :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 (: 굳셀 강) (: 장수 장) (: 아래 하) (: 없을 무) (: 약할 약) (: 군사 병) ]
  • 휘하장병(麾下將兵) : 대장기 아래의 장수와 병사라는 뜻으로, 대장의 진영(陣營)이나 장수가 거느린 장교, 하사관, 병사 등 총칭. [ (: 대장기 휘) (: 아래 하) (: 장수 장) (: 군사 병) ]
  • 단병접전(短兵接戰) : 칼이나 창 따위의 단병으로 적과 직접 맞부딪쳐 싸움. 또는 그런 전투. [ (: 짧을 단) (: 군사 병) (: 사귈 접) (: 싸움 전) ]

[將] 장수 장 (장수, 장차, 인솔자, 거느리다, 원컨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다발장리 획순 이미지 다발장리(多發將吏) : 조선 시대에, 수령이 죄인을 잡으려고 많은 수의 포교(捕校)와 사령(使令)을 보내던 일. [ (: 많을 다) (: 필 발) (: 장수 장) (: 벼슬아치 리) ]
  • 장문유장(將門有將) : 장수(將帥) 집안에서 장수(將帥)가 남. [ (: 장수 장) (: 문 문) (: 있을 유) (: 장수 장) ]
  • 허전장령(虛傳將令) : (1)장수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 (2)윗사람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빌 허) (: 전할 전) (: 장수 장) (: 하여금 령) ]
  • 강장하무약병(强將下無弱兵) :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 (: 굳셀 강) (: 장수 장) (: 아래 하) (: 없을 무) (: 약할 약) (: 군사 병) ]
  • 무장지졸(無將之卒) : (1)지휘하는 장수가 없는 군사. (2)이끌어 갈 지도자가 없는 무리. [ (: 없을 무) (: 장수 장) (: 갈 지) (: 군사 졸) ]

[弱] 약할 약 (약하다, 쇠약하여지다, 약하게 하다, 날씬하다, 어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강장하무약병 획순 이미지 강장하무약병(强將下無弱兵) :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 (: 굳셀 강) (: 장수 장) (: 아래 하) (: 없을 무) (: 약할 약) (: 군사 병) ]
  • 약이능강(弱而能强) : 약하면서도 강한 것을 능가한다는 뜻으로, 겉보기는 약한 듯하나 내실은 매우 강함을 이르는 말. [ (: 약할 약) (: 말 이을 이) (: 능할 능) (: 굳셀 강) ]
  • 약능제강(弱能制强) :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제어할 수 있다는 뜻으로, 약자가 강자를 이길 수 있다는 의미. [ (: 약할 약) (: 능할 능) (: 마를 제) (: 굳셀 강) ]
  • 경진서약초(輕塵棲弱草) : 미진(微塵)이 연약(軟弱)한 풀잎에서 쉰다는 뜻으로, 덧없음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 (: 가벼울 경) (: 티끌 진) (: 살 서) (: 약할 약) (: 풀 초) ]
  • 제약부경(濟弱扶傾) : 약한 나라를 구제(救濟)하고 기울어지는 제신(諸臣)을 도와서 붙들어 줌. [ (: 건널 제) (: 약할 약) (: 도울 부) (: 기울 경) ]

[强] 굳셀 강 (強의 俗字)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강장하무약병 획순 이미지 강장하무약병(强將下無弱兵) :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 (: 굳셀 강) (: 장수 장) (: 아래 하) (: 없을 무) (: 약할 약) (: 군사 병) ]
  • 강장지년(强壯之年) : 몸이 씩씩하고 왕성한 나이의 뜻으로, 원기가 왕성한 나이인 30-40대의 나이를 의미. [ (: 굳셀 강) (: 씩씩할 장) (: 갈 지) (: 해 년) ]
  • 약이능강(弱而能强) : 약하면서도 강한 것을 능가한다는 뜻으로, 겉보기는 약한 듯하나 내실은 매우 강함을 이르는 말. [ (: 약할 약) (: 말 이을 이) (: 능할 능) (: 굳셀 강) ]
  • 박문강식(博聞强識) : 널리 사물(事物)을 보고 들어 잘 기억(記憶)하고 있음. [ (: 넓을 박) (: 들을 문) (: 굳셀 강) (: 알 식) ]
  • 강고무비(强固無比) : 비교(比較)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굳세고 튼튼함. [ (: 굳셀 강) (: 굳을 고) (: 없을 무) (: 견줄 비) ]

[無] 없을 무 (없다, 허무의 도(道), 무엇, 비록 …하더라도, 발어사(發語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속수무책 획순 이미지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무하지증(無何之症) : 병명을 몰라서 고칠 수 없는 병. [ (: 없을 무) (: 어찌 하) (: 갈 지) (: 증세 증) ]
  • 무위무사(無爲無事) : (1)하는 일이 없어서 탈도 없음. (2)하는 일도 없고 할 일도 없음. [ (: 없을 무) (: 할 위) (: 없을 무) (: 일 사) ]
  • 노이무공(勞而無功) : 애는 썼으나 보람이 없음을 이르는 말. ≪장자≫ <천운편(天運篇)>, ≪관자(管子)≫ <형세편(形勢篇)>에 나오는 말이다. [ (: 말 이을 이) (: 없을 무) (: 공 공) ]

[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항사 획순 이미지 항사(恒沙) : 항하(갠지스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한(無限)히 많은 수량(數量)'을 일컬음. [ (: 항상 항) (: 모래 사) ]
  • 강장하무약병(强將下無弱兵) :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 (: 굳셀 강) (: 장수 장) (: 아래 하) (: 없을 무) (: 약할 약) (: 군사 병) ]
  • 면리침(綿裏針) : 겉으로는 부드러운 체하나 속으로는 아주 흉악함을 이르는 말. [ (綿: 솜 면) (: 속 리) (: 바늘 침) ]
  • 하량별(河梁別) : 떠나는 사람을 전송할 때에 강의 근처에서 헤어진다는 뜻으로, '송별'을 이르는 말. [ (: 강 이름 하) (: 들보 량) (: 나눌 별) ]
  • 장강대해(長江大海) : 길고 큰 강과 너른 바다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길 장) (: 강 강) (: 큰 대) (: 바다 해) ]

[병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강장하무약병 획순 이미지 강장하무약병(强將下無弱兵) :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 (: 굳셀 강) (: 장수 장) (: 아래 하) (: 없을 무) (: 약할 약) (: 군사 병) ]
  • 가동주졸(街童走卒) : 길거리에서 노는 철없는 아이들이나 떠돌아다니는 사람들. [ (: 거리 가) (: 아이 동) (: 달릴 주) (: 군사 졸) ]
  • 감사지졸(敢死之卒) : 죽음을 두려워하지 아니하고 대담하게 싸우는 병졸. [ (: 감히 감) (: 죽을 사) (: 갈 지) (: 군사 졸) ]
  • 항오발천(行伍發薦) : (1)병졸로 시작하여 장관에 오름. (2)낮은 벼슬자리에서 점차 높은 벼슬자리로 오름. [ (: 줄 항) (: 대오 오) (: 필 발) (: 천거할 천) ]
  • 수하친병(手下親兵) : (1)자기에게 직접 딸린 병졸. (2)자기의 손발처럼 가까이 두고 쓰는 부하. [ (: 손 수) (: 아래 하) (: 친할 친) (: 군사 병) ]

[장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옹산화병 획순 이미지 옹산화병(甕算畵餠) :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독 옹) (: 셈할 산) (: 그림 화) (: 떡 병) ]
  • 장문유장(將門有將) : 장수(將帥) 집안에서 장수(將帥)가 남. [ (: 장수 장) (: 문 문) (: 있을 유) (: 장수 장) ]
  • 허전장령(虛傳將令) : (1)장수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 (2)윗사람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빌 허) (: 전할 전) (: 장수 장) (: 하여금 령) ]
  • 강장하무약병(强將下無弱兵) :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 (: 굳셀 강) (: 장수 장) (: 아래 하) (: 없을 무) (: 약할 약) (: 군사 병) ]
  • 무장지졸(無將之卒) : (1)지휘하는 장수가 없는 군사. (2)이끌어 갈 지도자가 없는 무리. [ (: 없을 무) (: 장수 장) (: 갈 지) (: 군사 졸)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