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9일 일요일

형무의복제필헌지: 兄無衣服弟必獻之

형무의복제필헌지 (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兄無衣服弟必獻之 한자 뜻 풀이

  • 兄(맏 형) : 맏이, 하물며, 형, 두려워하다, 근심. 머리부분을 크게 강조한 사람의 모양으로 머리가 큰 것으로 '형'의 의미를 표현함
  • 無(없을 무) : 없다, 허무의 도(道), 무엇, 비록 …하더라도, 발어사(發語辭).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舞'를 만듦. ◎ 效(효) 채찍질하여 배우고 '본받게하다'는 의미 생성
  • 衣(옷 의) : 옷, 싸는 것, 이끼, 깃털, 살갗. 상의(上衣)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본래 '웃옷[저고리]'의 의미였는데, 후에 옷의 대표성으로 사용됨. 하의 치마는 '상(裳)'
  • 服(옷 복) : 옷, 기다, 의복, 포복함, 옷을 입다. 배에 사람이 있는 모양에서 '좇다'는 의미인데, 후에 '의복'의 의미로 확대되었고, 약을 '복용하다'까지 파생
  • 弟(아우 제) : 아우, 공손하다, 차례, 즐기다, 단지. 본래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의 모양인데, 후에 아우나 제자의 의미로 변함. 사다리는 '竹'을 더해 '第'로 만들고 '순서' 의미를 파생
  • 必(반드시 필) : 반드시, 기필(期必)하다, 오로지, 믿다, 구차히. 심장에 칼을 꽂은 형상을 본뜬 것으로 결정적인 결과를 의미하는 '반드시'의 의미를 생성함
  • 獻(바칠 헌) : 바치다, 술그릇 이름, 위의(威儀)가 있다, 비취로 장식한 것, 바치는 물건. 개고기를 솥[鬳(권)]에 담아 제례에 '진상하다'. '바치다' 등의 의미 생성. 鬳(권)은 발음 요소 역할도 함
  • 之(갈 지)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살활지권 획순 이미지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 죽일 살) (: 살 활) (: 갈 지) (: 저울추 권) ]
  •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 목 벨 문) (: 목 경) (: 갈 지) (: 벗 우)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兄] 맏 형 (맏이, 하물며, 형, 두려워하다, 근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형랑 획순 이미지 형랑(兄郞) : 언니의 남편을 이르는 말. [ (: 맏 형) (: 사내 랑) ]
  • 동복형(同腹兄) : 한 어머니에게서 난 형. [ (: 한가지 동) (: 배 복) (: 맏 형)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 형제자매우애이이(兄弟姉妹友愛而已) : 형제(兄弟)와 자매(姉妹)는 서로 우애(友愛)할 따름임. [ (: 맏 형) (: 아우 제) (: 손위누이 자) (: 누이 매) (: 벗 우) (: 사랑 애) (: 말 이을 이) (: 그칠 이) ]

[弟] 아우 제 (아우, 공손하다, 차례, 즐기다, 단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적제 획순 이미지 적제(嫡弟) : 서자가 자기 아버지의 정실에게서 난 아우를 이르는 말. [ (: 큰마누라 적) (: 아우 제) ]
  • 경화자제(京華子弟) : 번화한 서울에서 곱게 자란 젊은이라는 뜻으로, 주로 부잣집 자녀들을 이르는 말. [ (: 서울 경) (: 빛날 화) (: 아들 자) (: 아우 제)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必] 반드시 필 (반드시, 기필(期必)하다, 오로지, 믿다, 구차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출필곡지반필배알 획순 이미지 출필곡지반필배알(出必告之返必拜謁) : 밖에 나갈 때는 반드시 말미를 청해서 아뢰고 돌아와서는 배알(拜謁)함. [ (: 날 출) (: 반드시 필) (: 청할 곡) (: 갈 지) (: 돌아올 반) (: 반드시 필) (: 절 배) (: 뵐 알) ]
  •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 부모출입매필기립(父母出入每必起立) : 부모(父母)님께서 나가시거나 들어오시면 매양 반드시 일어나 서야 함. [ (: 아비 부) (: 어미 모) (: 날 출) (: 들 입) (: 매양 매) (: 반드시 필) (: 일어날 기) (: 설 립) ]
  • 언사필충사사필경(言思必忠事思必敬) : 말은 반드시 충직(忠直)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일은 반드시 공경(恭敬)의 자세(姿勢)로 할 것을 생각함. [ (: 말씀 언) (: 생각할 사) (: 반드시 필) (: 충성 충) (: 일 사) (: 생각할 사) (: 반드시 필) (: 공경 경) ]
  • 차인전적물훼필완(借人典籍勿毁必完) : 남의 책을 빌려 오면 훼손(毁損)시키지 말고 반드시 온전(穩全)하게 함. [ (: 빌 차) (: 사람 인) (: 법 전) (: 문서 적) (: 말 물) (: 헐 훼) (: 반드시 필) (: 완전할 완) ]

[服] 옷 복 (옷, 기다, 의복, 포복함, 옷을 입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개개복초 획순 이미지 개개복초(個個服招) : 죄를 낱낱이 자백함. [ (: 낱 개) (: 낱 개) (: 옷 복) (: 부를 초) ]
  •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 제무의복형필여지(弟無衣服兄必與之) : 아우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형은 반드시 이를 주어야 함. [ (: 아우 제)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맏 형) (: 반드시 필) (: 줄 여) (: 갈 지) ]
  • 유복지친(有服之親) : 복제(服制)에 따라 상복을 입어야 하는 가까운 친척. [ (: 있을 유) (: 옷 복) (: 갈 지) (: 친할 친) ]
  • 부모의복물유물천(父母衣服勿踰勿踐) : 부모(父母)님의 의복(衣服)은 넘어다니지 말고 밟지 않음. [ (: 아비 부) (: 어미 모) (: 옷 의) (: 옷 복) (: 말 물) (: 넘을 유) (: 말 물) (: 밟을 천) ]

[無] 없을 무 (없다, 허무의 도(道), 무엇, 비록 …하더라도, 발어사(發語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속수무책 획순 이미지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 묶을 속) (: 손 수) (: 없을 무) (: 꾀 책) ]
  • 무하지증(無何之症) : 병명을 몰라서 고칠 수 없는 병. [ (: 없을 무) (: 어찌 하) (: 갈 지) (: 증세 증) ]
  • 무위무사(無爲無事) : (1)하는 일이 없어서 탈도 없음. (2)하는 일도 없고 할 일도 없음. [ (: 없을 무) (: 할 위) (: 없을 무) (: 일 사) ]
  • 노이무공(勞而無功) : 애는 썼으나 보람이 없음을 이르는 말. ≪장자≫ <천운편(天運篇)>, ≪관자(管子)≫ <형세편(形勢篇)>에 나오는 말이다. [ (: 말 이을 이) (: 없을 무) (: 공 공) ]
  • 대악무도(大惡無道) : 대단히 악독하고 사람의 도리에 어긋나 있음. [ (: 큰 대) (: 악할 악) (: 없을 무) (: 길 도) ]

[獻] 바칠 헌 (바치다, 술그릇 이름, 위의(威儀)가 있다, 비취로 장식한 것, 바치는 물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형무의복제필헌지 획순 이미지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 차화헌불(借花獻佛) : 꽃을 빌려 부처에 바친다는 뜻으로, 남의 물건으로 자신의 이득을 꾀한다는 의미. [ (: 빌 차) (: 꽃 화) (: 바칠 헌) (: 부처 불) ]
  • 헌동일세(獻動一世) : '흔동일세'의 원말. [ (: 바칠 헌) (: 움직일 동) (: 한 일) (: 인간 세) ]
  • 헌근(獻芹) : 변변치 아니한 미나리를 바친다는 뜻으로, 남에게 선물을 하거나 의견을 적어 보냄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 (: 바칠 헌) (: 미나리 근) ]

[衣] 옷 의 (옷, 싸는 것, 이끼, 깃털, 살갗)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녹의사자 획순 이미지 녹의사자(綠衣使者) : 푸른 옷을 입은 사자(使者)라는 뜻으로, 앵무새의 다른 명칭. [ (: 옷 의) (使: 부릴 사) (: 놈 자) ]
  • 칭체재의(稱體裁衣) : 몸에 맞추어서 옷을 만든다는 뜻으로, 사람에 따라 그 경우에 맞도록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일컬을 칭) (: 몸 체) (: 마를 재) (: 옷 의) ]
  •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 의금상경(衣錦尙絅) : 비단 옷에 오히려 홑옷이라는 뜻으로, 비단 옷 위에 얇은 홑옷을 더 입어 표시 안 나게 하는 것처럼 군자(君子)는 미덕이 있어도 드러내지 않음을 비유한 말. [ (: 옷 의) (: 비단 금) (: 오히려 상) (: 끌어죌 경) ]
  • 제무의복형필여지(弟無衣服兄必與之) : 아우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형은 반드시 이를 주어야 함. [ (: 아우 제)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맏 형) (: 반드시 필) (: 줄 여) (: 갈 지) ]

[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칠보지재 획순 이미지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 난백난중(難伯難仲) : 누가 맏형이고 누가 둘째 형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비교되는 대상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 (: 어려울 난) (: 맏 백) (: 어려울 난) (: 버금 중) ]
  • 형산지옥(荊山之玉) :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모형나무 형) (: 메 산) (: 갈 지) (: 구슬 옥) ]
  • 동복형(同腹兄) : 한 어머니에게서 난 형. [ (: 한가지 동) (: 배 복) (: 맏 형) ]
  •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아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적제 획순 이미지 적제(嫡弟) : 서자가 자기 아버지의 정실에게서 난 아우를 이르는 말. [ (: 큰마누라 적) (: 아우 제) ]
  •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 난위형난위제(難爲兄難爲弟) : 누구를 형이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1) 누가 더 낫다고 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서로 비슷함 (2) 사물(事物)의 우열(優劣)이 없다는 말로 곧 비슷하다는 말. [ (: 어려울 난) (: 할 위) (: 맏 형) (: 어려울 난) (: 할 위) (: 아우 제) ]

[의복]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형무의복제필헌지 획순 이미지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 제무의복형필여지(弟無衣服兄必與之) : 아우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형은 반드시 이를 주어야 함. [ (: 아우 제)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맏 형) (: 반드시 필) (: 줄 여) (: 갈 지) ]
  • 온의미반(溫衣美飯) : 따뜻한 옷과 맛좋은 밥이라는 뜻으로, 따뜻한 의복을 입고 맛있는 음식을 먹는 안락한 생활을 한다는 의미. [ (: 따뜻할 온) (: 옷 의) (: 아름다울 미) (: 밥 반) ]
  • 부모의복물유물천(父母衣服勿踰勿踐) : 부모(父母)님의 의복(衣服)은 넘어다니지 말고 밟지 않음. [ (: 아비 부) (: 어미 모) (: 옷 의) (: 옷 복) (: 말 물) (: 넘을 유) (: 말 물) (: 밟을 천) ]
  • 사기의복이적지도(私其衣服夷狄之徒) : (형제(兄弟) 간(間)에)의복(衣服)을 사사(私事)로이 함은 오랑캐의 무리들이 하는 짓임. [ (: 사사 사) (: 그 기) (: 옷 의) (: 옷 복) (: 오랑캐 이) (: 오랑캐 적) (: 갈 지) (: 무리 도)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