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9일 일요일

진합태산: 塵合泰山

진합태산 (塵合泰山)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塵合泰山 한자 뜻 풀이

  • 塵(티끌 진) : 티끌, 속세(俗世), 묵다, 유업(遺業), 흙먼지. 본래는 '록(鹿)'자 세 개와 아래 '흙 토(土)'를 결합한 것으로, 사슴무리가 달리면서 흙먼지를 일으킨다는 의미에서 '먼지', '티끌'의 뜻을 생성. 후에 속세나 속사(俗事)의 의미 파생
  • 合(합할 합) : 합하다, 홉, 하나가 되거나, 하나로 되게 함, 용량의 단위, 1되의 10분의 1. 밥그릇과 뚜껑이 합쳐져 있는 모양에서 '합하다'는 의미 생성
  • 泰(클 태) : 크다, 넉넉하다, 편안하다, 너그럽다, 통하다. 물을 사람들이 들어서 건너게 하는 모양에서 '편안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큰 사람만이 가능했기 때문에 '크다'는 의미 도출
  • 山(메 산) : 메, 산신(山神), 무덤, 절, 임금의 상(象). 솟아 있는 '산'과 봉우리들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合] 합할 합 (합하다, 홉, 하나가 되거나, 하나로 되게 함, 용량의 단위, 1되의 10분의 1)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합오의 획순 이미지 정합오의(正合吾意) : 나의 뜻에 딱 들어맞음. [ (: 바를 정) (: 합할 합) (: 나 오) (: 뜻 의) ]
  • 부부지도이성지합(夫婦之道二姓之合) : 부부(夫婦)의 도(道)는 두 성씨가 결합(結合)하는 것임. [ (: 지아비 부) (: 며느리 부) (: 갈 지) (: 길 도) (: 두 이) (: 성 성) (: 갈 지) (: 합할 합) ]
  • 진합태산(塵合泰山)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 (: 티끌 진) (: 합할 합) (: 클 태) (: 메 산) ]
  • 양궁상합(兩窮相合) : (1)'양궁상합'의 북한어. (2)가난한 두 사람이 함께 모여 관계를 맺는다는 뜻으로, 일이 잘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다할 궁) (: 서로 상) (: 합할 합) ]
  • 형제화합현처지덕(兄弟和合賢妻之德) : 형과 아우가 화합(和合)한 것은 어진 아내의 덕임. [ (: 맏 형) (: 아우 제) (: 고를 화) (: 합할 합) (: 어질 현) (: 아내 처) (: 갈 지) (: 덕 덕) ]

[塵] 티끌 진 (티끌, 속세(俗世), 묵다, 유업(遺業), 흙먼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진합태산 획순 이미지 진합태산(塵合泰山)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 (: 티끌 진) (: 합할 합) (: 클 태) (: 메 산) ]
  • 일진불염(一塵不染) : (1)토지가 깨끗함. (2)절조가 깨끗함. (3)문장 따위가 뛰어나게 맑고 아름다움. (4)모든 것이 맑고 깨끗함. (5)티끌만큼도 물욕에 물들어 있지 아니함. [ (: 한 일) (: 티끌 진) (: 아니 불) (: 물들일 염) ]
  • 누진취영(陋塵吹影) : 먼지에 새기고 그림자를 입으로 분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헛된 노력(努力)을 이르는 말. [ (: 티끌 진) (: 불 취) (: 그림자 영) ]
  • 진반도갱(塵飯塗羹) : 먼지를 담아 밥이라 하고 진흙을 담아 국이라 한다는 뜻으로, 어린 아이의 소꿉놀이란 의미에서 실제에 소용되지 않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티끌 진) (: 밥 반) (: 진흙 도) (: 국 갱) ]
  • 경진서약초(輕塵棲弱草) : 미진(微塵)이 연약(軟弱)한 풀잎에서 쉰다는 뜻으로, 덧없음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 (: 가벼울 경) (: 티끌 진) (: 살 서) (: 약할 약) (: 풀 초) ]

[山] 메 산 (메, 산신(山神), 무덤, 절, 임금의 상(象))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막막궁산 획순 이미지 막막궁산(寞寞窮山) : 고요하고 쓸쓸한 느낌이 드는 깊은 산속. [ (: 쓸쓸할 막) (: 쓸쓸할 막) (: 다할 궁) (: 메 산) ]
  • 형산지옥(荊山之玉) :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모형나무 형) (: 메 산) (: 갈 지) (: 구슬 옥) ]
  • 산고수청(山高水淸) : 산은 높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경치가 좋음을 이르는 말. [ (: 메 산) (: 높을 고) (: 물 수) (: 맑을 청) ]
  • 춘산여소(春山如笑) : 봄철의 산이 온자(蘊藉)함을 이르는 말. [ (: 봄 춘) (: 메 산) (: 같을 여) (: 웃을 소) ]

[泰] 클 태 (크다, 넉넉하다, 편안하다, 너그럽다, 통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안여태산 획순 이미지 안여태산(安如泰山) : 마음이 태산같이 끄떡없고 든든함. [ (: 편안할 안) (: 같을 여) (: 클 태) (: 메 산) ]
  • 진합태산(塵合泰山)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 (: 티끌 진) (: 합할 합) (: 클 태) (: 메 산) ]
  • 국태민안(國泰民安) :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 [ (: 나라 국) (: 클 태) (: 백성 민) (: 편안할 안) ]
  • 협태산이초북해(挾泰山以超北海) : 태산(泰山)을 끼고 북해(北海)를 뛰어 넘는다는 뜻으로, 용력(勇力)이 썩 장대(壯大)함의 비유(比喩). [ (: 낄 협) (: 클 태) (: 메 산) (: 써 이) (: 넘을 초) (: 북녘 북) (: 바다 해) ]
  • 천하태평(天下泰平) : (1)정치가 잘되어 온 세상이 평화로움. (2)어떤 일에 무관심한 상태로 걱정 없이 편안하게 있는 태도를 가벼운 놀림조로 이르는 말. [ (: 하늘 천) (: 아래 하) (: 클 태) (: 평평할 평) ]

[나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진합태산 획순 이미지 진합태산(塵合泰山)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 (: 티끌 진) (: 합할 합) (: 클 태) (: 메 산) ]
  • 비조(鼻祖) : (1)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2)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3)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 (: 코 비) (: 할아비 조) ]
  • 선공후사(先公後私) : 공적인 일을 먼저 하고 사사로운 일은 뒤로 미룸. [ (: 먼저 선) (: 공변될 공) (: 뒤 후) (: 사사 사) ]
  • 삼불거(三不去) :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 (: 석 삼) (: 아니 불) (: 갈 거) ]
  • 제간하회(第看下回) : 나중에 결과가 나타나게 되는 일. [ (: 차례 제) (: 볼 간) (: 아래 하) (: 돌 회) ]

[모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억만지심 획순 이미지 억만지심(億萬之心) : 백성마다 제각각의 마음이라는 뜻으로, 마음을 하나로 모아 나라를 위하여 이바지하려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억 억) (: 일만 만) (: 갈 지) (: 마음 심) ]
  • 진합태산(塵合泰山)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 (: 티끌 진) (: 합할 합) (: 클 태) (: 메 산) ]
  • 중족측목(重足側目) : 발을 모으고 곁눈질을 한다는 뜻으로, 두 발을 모아 서서 곁눈질로 보는 것처럼 매우 두려워하는 모양을 이르는 말. [ (: 무거울 중) (: 발 족) (: 곁 측) (: 눈 목) ]
  • 적토성산(積土成山) :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 (: 쌓을 적) (: 흙 토) (: 이룰 성) (: 메 산) ]

[물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해륙진미 획순 이미지 해륙진미(海陸珍味)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 (: 바다 해) (: 뭍 륙) (: 보배 진) (: 맛 미) ]
  • 호상불육어(湖上不鬻魚) : 호수가에서는 물고기를 팔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이 많은 곳에서는 같은 물건을 파는 어리석은 짓은 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호수 호) (: 위 상) (: 아니 불) (: 팔 육) (: 고기 어) ]
  • 견물생심(見物生心) :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 (: 볼 견) (: 만물 물) (: 날 생) (: 마음 심) ]
  • 조각(爪角) : 짐승의 발톱과 뿔이라는 뜻으로, 자신을 적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손톱 조) (: 뿔 각) ]
  • 양상화매(兩相和賣) : 파는 쪽과 사는 쪽이 서로 잘 의논하여서 물건을 팔고 삼. [ (: 서로 상) (: 고를 화) (: 팔 매) ]

[비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 획순 이미지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귀신 귀) (: 서로 상) (: 반 반)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나무 목) (: 갈 지) (: 슬플 비) ]
  • 할계우도(割鷄牛刀)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 나눌 할) (: 닭 계) (: 소 우) (: 칼 도) ]
  • 거저척이(遽篨戚施) :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병이란 뜻으로, 오만(傲慢)하고 아첨(阿諂)하는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거저(遽篨)는 새가슴, 척이(戚施)는 곱사등이. [ (: 갑자기 거) (: 대자리 저) (: 겨레 척) (: 옮을 이) ]

[태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안여태산 획순 이미지 안여태산(安如泰山) : 마음이 태산같이 끄떡없고 든든함. [ (: 편안할 안) (: 같을 여) (: 클 태) (: 메 산) ]
  • 진합태산(塵合泰山)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 (: 티끌 진) (: 합할 합) (: 클 태) (: 메 산) ]
  • 악종항대(嶽宗恒岱) : 오악(五嶽)은 동(東) 태산(泰山), 서(西) 화산(華山), 남(南) 형산(衡山), 북(北) 항산(恒山), 중(中) 숭산(嵩山)이니, 항산(恒山)과 태산(泰山)이 조종(祖宗)임. [ (: 큰산 악) (: 마루 종) (: 항상 항) (: 대산 대) ]
  • 적토성산(積土成山) :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 (: 쌓을 적) (: 흙 토) (: 이룰 성) (: 메 산) ]
  • 적진성산(積塵成山) :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 (: 쌓을 적) (: 티끌 진) (: 이룰 성) (: 메 산) ]

[티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진합태산 획순 이미지 진합태산(塵合泰山)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 (: 티끌 진) (: 합할 합) (: 클 태) (: 메 산) ]
  • 일진불염(一塵不染) : (1)토지가 깨끗함. (2)절조가 깨끗함. (3)문장 따위가 뛰어나게 맑고 아름다움. (4)모든 것이 맑고 깨끗함. (5)티끌만큼도 물욕에 물들어 있지 아니함. [ (: 한 일) (: 티끌 진) (: 아니 불) (: 물들일 염) ]
  • 초개(草芥) : (1)풀과 티끌을 아울러 이르는 말. 흔히 지푸라기를 이른다. (2)쓸모없고 하찮은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풀 초) (: 겨자 개) ]
  • 방애(芳埃) : 향기로운 티끌이란 뜻으로, 꽃 아래에서 나는 먼지나 티끌을 이르는 말. [ (: 꽃다울 방) (: 티끌 애) ]
  • 적토성산(積土成山) :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 (: 쌓을 적) (: 흙 토) (: 이룰 성) (: 메 산)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