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신이찬 (秤新而爨) : 땔나무를 저울로 달아 땐다는 뜻으로, 소소한 일에 너무 잔소리가 심함을 이르는 말.
秤新而爨 한자 뜻 풀이
- 秤(저울 칭) : 저울, 稱의 俗字. 무게를 재는 '저울'의 의미인데, '稱(칭)'의 속자로도 사용됨
- 新(새 신) : 새, 새로, 새로와지다, 새로움, 새해. 나무를 도끼로 찍어 다듬은 모양에서 '새로운 재목'의 의미 생성
- 而(말 이을 이) : 편안하다, 평온함, 너, …와 같다, 그러하다.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 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 爨(부뚜막 찬) : 부뚜막, 불을 때다, 조미(調味)하다, 아궁이 위에 솥을 걸게 된 시설, 밥을 지음. 불을 때서 밥을 짓는다는 의미
[新] 새 신 (새, 새로, 새로와지다, 새로움, 새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온고지신(溫故知新) :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 (溫: 따뜻할 온) (故: 예 고) (知: 알 지) (新: 새 신) ]
- 송구영신(送舊迎新) :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 (送: 보낼 송) (舊: 옛 구) (迎: 맞을 영) (新: 새 신) ]
- 법고창신(法古創新) : 옛 것을 법으로 삼아 새 것을 창조한다는 뜻으로, 과거를 밑거름으로 해서 새로운 것을 도출해낸다는 의미. [ (法: 법 법) (古: 예 고) (創: 비롯할 창) (新: 새 신) ]
[爨] 부뚜막 찬 (부뚜막, 불을 때다, 조미(調味)하다, 아궁이 위에 솥을 걸게 된 시설, 밥을 지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칭신이찬(秤新而爨) : 땔나무를 저울로 달아 땐다는 뜻으로, 소소한 일에 너무 잔소리가 심함을 이르는 말. [ (秤: 저울 칭) (新: 새 신) (而: 말 이을 이) (爨: 부뚜막 찬) ]
[秤] 저울 칭 (저울, 稱의 俗字)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칭신이찬(秤新而爨) : 땔나무를 저울로 달아 땐다는 뜻으로, 소소한 일에 너무 잔소리가 심함을 이르는 말. [ (秤: 저울 칭) (新: 새 신) (而: 말 이을 이) (爨: 부뚜막 찬) ]
- 아심여칭(我心如秤) : 내 마음이 저울과 같다는 뜻으로, 어느 한쪽에 치우침이 없이 공평한 마음과 자세를 갖고 있음을 이르는 말. [ (我: 나 아) (心: 마음 심) (如: 같을 여) (秤: 저울 칭) ]
[而] 말 이을 이 (편안하다, 평온함, 너, …와 같다, 그러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현권이동(懸權而動) : 저울추를 매달아 움직인다는 뜻으로, 추를 저울에 걸어 무게를 달듯이, 일의 경중을 잘 헤아린 뒤에 행동함. [ (懸: 매달 현) (權: 저울추 권) (而: 말 이을 이) (動: 움직일 동) ]
- 노이무공(勞而無功) : 애는 썼으나 보람이 없음을 이르는 말. ≪장자≫ <천운편(天運篇)>, ≪관자(管子)≫ <형세편(形勢篇)>에 나오는 말이다. [ (而: 말 이을 이) (無: 없을 무) (功: 공 공) ]
- 천불언이신(天不言而信) : 하늘은 말하지 않아도 믿는다는 뜻으로, 하늘은 그 행하는 바가 떳떳하여 틀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 (天: 하늘 천) (不: 아니 불) (言: 말씀 언) (而: 말 이을 이) (信: 믿을 신) ]
- 낙이망우(樂而忘憂)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 (而: 말 이을 이) (忘: 잊을 망) (憂: 근심 우) ]
- 박이부정(博而不精) : 널리 알지만 정밀하지는 못함. [ (博: 넓을 박) (而: 말 이을 이) (不: 아닌가 부) (精: 정미할 정) ]
[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天: 하늘 천) (方: 모 방) (地: 땅 지) (方: 모 방) ]
- 가여낙성(可與樂成)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可: 옳을 가) (與: 줄 여) (成: 이룰 성)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竽: 피리 우) ]
[저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현권이동(懸權而動) : 저울추를 매달아 움직인다는 뜻으로, 추를 저울에 걸어 무게를 달듯이, 일의 경중을 잘 헤아린 뒤에 행동함. [ (懸: 매달 현) (權: 저울추 권) (而: 말 이을 이) (動: 움직일 동) ]
- 호리(毫釐) : (1)자나 저울눈의 호(毫)와 이(釐). (2)매우 적은 분량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毫: 가는 털 호) (釐: 다스릴 리) ]
- 칭신이찬(秤新而爨) : 땔나무를 저울로 달아 땐다는 뜻으로, 소소한 일에 너무 잔소리가 심함을 이르는 말. [ (秤: 저울 칭) (新: 새 신) (而: 말 이을 이) (爨: 부뚜막 찬) ]
- 아심여칭(我心如稱) : 나의 마음이 저울과 같다는 뜻으로, 자기 마음의 공평함을 이르는 말. [ (我: 나 아) (心: 마음 심) (如: 같을 여) (稱: 일컬을 칭) ]
- 아심여칭(我心如秤) : 내 마음이 저울과 같다는 뜻으로, 어느 한쪽에 치우침이 없이 공평한 마음과 자세를 갖고 있음을 이르는 말. [ (我: 나 아) (心: 마음 심) (如: 같을 여) (秤: 저울 칭) ]
[땔나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형(負荊) : 스스로 가시나무를 짊어진다는 뜻으로, 사죄함을 이르는 말. [ (負: 질 부) (荊: 모형나무 형) ]
- 신진화멸(薪盡火滅) :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불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 (薪: 섶나무 신) (盡: 다할 진) (火: 불 화) (滅: 멸망할 멸) ]
- 초동급부(樵童汲婦)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을 이르는 말. [ (樵: 땔나무 초) (童: 아이 동) (汲: 길을 급) (婦: 며느리 부) ]
- 초동목수(樵童牧豎)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樵: 땔나무 초) (童: 아이 동) (牧: 칠 목) (豎: 더벅머리 수) ]
- 어염시수(魚鹽柴水) : 생선ㆍ소금ㆍ땔나무ㆍ물이라는 뜻으로,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 [ (魚: 고기 어) (鹽: 소금 염) (柴: 섶 시) (水: 물 수) ]
[잔소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칭신이찬(秤新而爨) : 땔나무를 저울로 달아 땐다는 뜻으로, 소소한 일에 너무 잔소리가 심함을 이르는 말. [ (秤: 저울 칭) (新: 새 신) (而: 말 이을 이) (爨: 부뚜막 찬) ]
- 여저습반(如咀濕飯) : 마치 진 밥을 씹는 듯 한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로 잔소리를 되풀이 한다는 의미. [ (如: 같을 여) (咀: 씹을 저) (濕: 축축할 습) (飯: 밥 반) ]
- 황혼연설(黃昏演說) : 노인의 잔소리를 속되게 이르는 말. [ (黃: 누를 황) (昏: 어두울 혼) (演: 흐를 연) (說: 말씀 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