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행적식 (冥行擿植) : 명행(冥行)은 캄캄한 곳을 간다는 뜻이고, 적식(擿植)은 장님이 지팡이를 두드리면서 간다는 뜻으로, 학문(學文)을 하는 데 그 방도를 모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冥行擿植 한자 뜻 풀이
- 冥(어두울 명) : 어둡다, 밤, 깊숙하다, 하늘, 바다.
- 行(갈 행) : 가다, 행위, 줄, 행실, 대열(隊列). 사방의 네 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 擿(들출 적) : 들추다, 들추어내다, 때리다, 열리다, 치다, 따다(=摘).
- 植(심을 식) : 심다, 꽂다, 초목의 총칭, 일정한 곳에 근거를 두게 하다, 재목. 땅 속에 심는다는 의미에서 '세우다' 등의 의미 파생
[冥] 어두울 명 (어둡다, 밤, 깊숙하다, 하늘, 바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명명지지(冥冥之志) : 마음 속에 깊이 간직하여 외부(外部)에 드러내지 않고 힘쓰는 뜻. [ (冥: 어두울 명) (冥: 어두울 명) (之: 갈 지) (志: 뜻 지) ]
- 명행적식(冥行擿植) : 명행(冥行)은 캄캄한 곳을 간다는 뜻이고, 적식(擿植)은 장님이 지팡이를 두드리면서 간다는 뜻으로, 학문(學文)을 하는 데 그 방도를 모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冥: 어두울 명) (行: 갈 행) (擿: 들출 적) (植: 심을 식) ]
- 명명지중(冥冥之中) : (1)듣거나 볼 수 없이 은연중에 느끼는 상태. (2)어두운 저승. [ (冥: 어두울 명) (冥: 어두울 명) (之: 갈 지) (中: 가운데 중) ]
- 암수묘명(巖峀杳冥) : 큰 바위와 메 뿌리가 묘연(渺然)하고 아득함을 말함. [ (巖: 바위 암) (峀: 산굴 수) (杳: 어두울 묘) (冥: 어두울 명) ]
[擿] 들출 적 (들추다, 들추어내다, 때리다, 열리다, 치다, 따다(=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명행적식(冥行擿植) : 명행(冥行)은 캄캄한 곳을 간다는 뜻이고, 적식(擿植)은 장님이 지팡이를 두드리면서 간다는 뜻으로, 학문(學文)을 하는 데 그 방도를 모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冥: 어두울 명) (行: 갈 행) (擿: 들출 적) (植: 심을 식) ]
[植] 심을 식 (심다, 꽂다, 초목의 총칭, 일정한 곳에 근거를 두게 하다, 재목)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식강상(扶植綱常) : 인륜(人倫)의 길을 바로 세움. [ (扶: 도울 부) (植: 심을 식) (綱: 벼리 강) (常: 항상 상) ]
- 명행적식(冥行擿植) : 명행(冥行)은 캄캄한 곳을 간다는 뜻이고, 적식(擿植)은 장님이 지팡이를 두드리면서 간다는 뜻으로, 학문(學文)을 하는 데 그 방도를 모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冥: 어두울 명) (行: 갈 행) (擿: 들출 적) (植: 심을 식) ]
- 면기지식(勉其祗植) : 착한 것으로 자손(子孫)에 줄 것을 힘써야 좋은 가정(家庭)을 이룰 것임. [ (勉: 힘쓸 면) (其: 그 기) (祗: 삼갈 지) (植: 심을 식) ]
- 식송망정(植松望亭) : 소나무를 심어 정자를 바란다는 뜻으로, 앞날의 성공이 까마득함을 이르는 말. [ (植: 심을 식) (松: 솔 송) (望: 바랄 망) (亭: 정자 정) ]
- 고근약식(孤根弱植) : 외로운 뿌리, 약한 식목이라는 뜻으로, 친척이나 돌보는 사람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孤: 외로울 고) (根: 뿌리 근) (弱: 약할 약) (植: 심을 식) ]
[行] 갈 행 (가다, 행위, 줄, 행실, 대열(隊列))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 :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 (好: 좋을 호) (事: 일 사) (不: 아니 불) (出: 날 출) (門: 문 문) (惡: 악할 악) (事: 일 사) (行: 갈 행) (千: 일천 천) (里: 마을 리) ]
- 언행상반(言行相反) : 말과 행동이 하나로 이른다는 뜻으로, 말과 행동이 같다는 의미. [ (言: 말씀 언) (行: 갈 행) (相: 서로 상) (反: 돌이킬 반) ]
- 풍행초언(風行草偃) : 바람이 불면 풀이 쓰러진다는 뜻으로, 임금이 덕(德)으로서 백성을 교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風: 바람 풍) (行: 갈 행) (草: 풀 초) (偃: 누울 언) ]
- 조항(祖行) : (1)할아버지뻘의 항렬. ⇒규범 표기는 '조항'이다. (2)할아버지뻘의 항렬. [ (祖: 할아비 조) (行: 줄 항) ]
- 경정직행(徑情直行) : 예절이나 법식 따위에 얽매이지 않고 곧이곧대로 행동함. [ (徑: 지름길 경) (情: 뜻 정) (直: 곧을 직) (行: 갈 행) ]
[행]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천불언이신(天不言而信) : 하늘은 말하지 않아도 믿는다는 뜻으로, 하늘은 그 행하는 바가 떳떳하여 틀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 (天: 하늘 천) (不: 아니 불) (言: 말씀 언) (而: 말 이을 이) (信: 믿을 신) ]
- 낙이망우(樂而忘憂)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 (而: 말 이을 이) (忘: 잊을 망) (憂: 근심 우) ]
- 탁마(琢磨) : (1)옥이나 돌 따위를 쪼고 갊. (2)학문이나 덕행 따위를 닦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琢: 쫄 탁) (磨: 갈 마) ]
- 사기종인(舍己從人) : 자기(自己)의 이전(以前) 행위(行爲)를 버리고 타인(他人)의 선행(善行)을 본떠 행(行)함. [ (舍: 둘 사) (己: 몸 기) (從: 좇을 종) (人: 사람 인) ]
- 선양방벌(禪讓放伐) : 덕을 잃고 악정을 행하는 임금은 내쳐도 거리낄 바 없다는 중국의 역성혁명관. [ (禪: 봉선 선) (讓: 사양할 양) (放: 놓을 방) (伐: 칠 벌) ]
[모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안면부지(顔面不知) : 얼굴을 모름. 또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 [ (顔: 얼굴 안) (面: 낯 면) (不: 아닌가 부) (知: 알 지) ]
- 목불식정(目不識丁) : 아주 간단한 글자인 '丁' 자를 보고도 그것이 '고무래'인 줄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까막눈임을 이르는 말. [ (目: 눈 목) (不: 아니 불) (識: 알 식) (丁: 넷째 천간 정) ]
- 포어팽재(飽飫烹宰) : 배 부를 때에는 아무리 좋은 음식(飮食)이라도 그 맛을 모름. [ (飽: 배부를 포) (飫: 포식할 어) (烹: 삶을 팽) (宰: 벼슬아치 재) ]
- 출구입이(出口入耳) : 갑의 입에서 나온 말이 을의 귀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당사자 이외에는 아는 사람이 없으므로 비밀이 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出: 날 출) (口: 입 구) (入: 들 입) (耳: 귀 이) ]
- 다기망양(多岐亡羊) : (1)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한다는 뜻으로, 두루 섭렵하기만 하고 전공하는 바가 없어 끝내 성취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말이다. (2)방침이 많아서 도리어 갈 바를 모름. [ (多: 많을 다) (岐: 갈림길 기) (亡: 잃을 망) (羊: 양 양) ]
[방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백계무책(百計無策) : 어려운 일을 당하여 온갖 계교를 다 써도 해결할 방도를 찾지 못함. [ (百: 일백 백) (計: 셀 계) (無: 없을 무) (策: 꾀 책) ]
- 생계무책(生計無策) : 살아 나갈 방법이 없음. [ (生: 날 생) (計: 셀 계) (無: 없을 무) (策: 꾀 책) ]
- 명행적식(冥行擿植) : 명행(冥行)은 캄캄한 곳을 간다는 뜻이고, 적식(擿植)은 장님이 지팡이를 두드리면서 간다는 뜻으로, 학문(學文)을 하는 데 그 방도를 모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冥: 어두울 명) (行: 갈 행) (擿: 들출 적) (植: 심을 식) ]
- 생재지방(生財之方) : (1)재물을 늘리는 방법. (2)생계를 이어갈 방법. [ (生: 날 생) (財: 재물 재) (之: 갈 지) (方: 모 방) ]
[비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人: 사람 인) (鬼: 귀신 귀) (相: 서로 상) (半: 반 반)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風: 바람 풍) (木: 나무 목) (之: 갈 지) (悲: 슬플 비) ]
- 할계우도(割鷄牛刀)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割: 나눌 할) (鷄: 닭 계) (牛: 소 우) (刀: 칼 도) ]
- 거저척이(遽篨戚施) :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병이란 뜻으로, 오만(傲慢)하고 아첨(阿諂)하는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거저(遽篨)는 새가슴, 척이(戚施)는 곱사등이. [ (遽: 갑자기 거) (篨: 대자리 저) (戚: 겨레 척) (施: 옮을 이) ]
[장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맹인모상(盲人摸象) : 일부분을 알면서도 전체를 아는 것처럼 여기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 (盲: 소경 맹) (人: 사람 인) (摸: 찾을 모) (象: 코끼리 상) ]
- 명행적식(冥行擿植) : 명행(冥行)은 캄캄한 곳을 간다는 뜻이고, 적식(擿植)은 장님이 지팡이를 두드리면서 간다는 뜻으로, 학문(學文)을 하는 데 그 방도를 모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冥: 어두울 명) (行: 갈 행) (擿: 들출 적) (植: 심을 식) ]
- 맹인안질(盲人眼疾) : 장님이 눈병이 걸렸다는 뜻으로, 별 상관이 없는 일이기 때문에 아무 영향이 없다는 의미. [ (盲: 소경 맹) (人: 사람 인) (眼: 눈 안) (疾: 병 질) ]
- 맹자정문(盲者正門) : 맹자가 정문을 바로 찾아 들어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盲: 소경 맹) (者: 놈 자) (正: 바를 정) (門: 문 문) ]
- 군맹무상(群盲撫象) : 맹인(盲人) 여럿이 코끼리를 만진다는 뜻으로, 사물을 좁은 소견과 주관으로 잘못 판단함을 이르는 말. 열반경에 나오는 말이다. [ (群: 무리 군) (盲: 소경 맹) (撫: 어루만질 무) (象: 코끼리 상) ]
[학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 (實: 열매 실) (事: 일 사) (求: 구할 구) (是: 옳을 시) ]
- 현가불철(絃歌不輟) :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 (絃: 악기줄 현) (歌: 노래 가) (不: 아니 불) (輟: 그칠 철) ]
- 확연대공(廓然大公) :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 (廓: 클 확) (然: 그러할 연) (大: 큰 대) (公: 공변될 공) ]
[지팡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명행적식(冥行擿植) : 명행(冥行)은 캄캄한 곳을 간다는 뜻이고, 적식(擿植)은 장님이 지팡이를 두드리면서 간다는 뜻으로, 학문(學文)을 하는 데 그 방도를 모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冥: 어두울 명) (行: 갈 행) (擿: 들출 적) (植: 심을 식) ]
- 십맹일장(十盲一杖) : 열 맹인(盲人)에 한 개의 지팡이라는 뜻으로, 여러 곳에 긴요하게 쓰이는 물건을 이르는 말. [ (十: 열 십) (盲: 소경 맹) (一: 한 일) (杖: 지팡이 장) ]
- 맹자실장(盲者失杖) : 소경이 지팡이를 잃다는 뜻으로, 믿고 의지할 곳이 없어졌다는 의미. [ (盲: 소경 맹) (者: 놈 자) (失: 잃을 실) (杖: 지팡이 장)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