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28일 월요일

묵색창윤: 墨色蒼潤

묵색창윤 (墨色蒼潤) : 그림이나 글씨의 먹빛이 썩 좋아 예술적인 아름다움이 있음.



墨色蒼潤 한자 뜻 풀이

  • 墨(먹 묵) : 먹, 형벌 이름, 검다, 더러워지다, 먹줄. 검은 숯 덩어리의 의미에서 '먹'의 의미 생성
  • 色(빛 색) : 빛, 종류, 색정(色情), 얼굴의 예쁨, 꾸미다. 무릎을 꿇은 사람[巴] 위에 또 사람을 더해 남녀 사이의 정을 의미하는 '색정'의 의미 생성, 후에 얼굴 색으로 인해 '색깔'의 의미 파생
  • 蒼(푸를 창) : 푸르다, 어슴푸레하다, 근교(近郊)의 푸른 경치, 우거지다, 늙은 모양. 풀의 '푸른색'으로 만든 글자. 倉(창)은 발음
  • 潤(젖을 윤) : 젖다, 적시다, 윤기, 붇다, 꾸미다. 물기를 머금어 '적시다'는 의미에서 후에 더해지다는 뜻이 확대되어 '윤택하다', '은혜' 등 파생함. '閏(윤)'은 발음 역할


[墨] 먹 묵 (먹, 형벌 이름, 검다, 더러워지다, 먹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묵색창윤 획순 이미지 묵색창윤(墨色蒼潤) : 그림이나 글씨의 먹빛이 썩 좋아 예술적인 아름다움이 있음. [ (: 먹 묵) (: 빛 색) (: 푸를 창) (: 젖을 윤) ]
  • 묵비사염(墨悲絲染) : 흰 실에 검은 물이 들면 다시 희지 못함을 슬퍼함. 즉 사람도 매사(每事)를 조심하여야 함. [ (: 먹 묵) (: 슬플 비) (: 실 사) (: 물들일 염) ]
  • 묵수(墨守) : 제 의견이나 생각, 또는 옛날 습관 따위를 굳게 지킴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송나라의 묵자(墨子)가 성을 잘 지켜 초나라의 공격을 아홉 번이나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 (: 먹 묵) (: 지킬 수) ]
  • 필주묵벌(筆誅墨伐) : 붓과 먹으로 징벌한다는 뜻으로, 남의 죄과를 신문(新聞)ㆍ잡지(雜誌) 따위를 통(通)해 글로써 공격(攻擊)함을 이르는 말. [ (: 붓 필) (: 벨 주) (: 먹 묵) (: 칠 벌) ]
  • 묵자읍사(墨子泣絲) : 묵자가 실을 보고 울었다는 뜻으로, 사람은 습관(習慣)이나 환경(環境)에 따라 그 성품(性品)이 착해지기도 악해지기도 함을 이르는 말. [ (: 먹 묵) (: 아들 자) (: 울 읍) (: 실 사) ]

[潤] 젖을 윤 (젖다, 적시다, 윤기, 붇다, 꾸미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묵색창윤 획순 이미지 묵색창윤(墨色蒼潤) : 그림이나 글씨의 먹빛이 썩 좋아 예술적인 아름다움이 있음. [ (: 먹 묵) (: 빛 색) (: 푸를 창) (: 젖을 윤) ]
  • 내윤외랑(內潤外朗) : 옥(玉)의 광택(光澤)이 안에 함축(含蓄)된 것(內潤)과 밖으로 나타난 것(外朗)이라는 뜻으로, 인물(人物)의 재덕(才德)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 (: 안 내) (: 젖을 윤) (: 바깥 외) (: 밝을 랑) ]
  • 운증초윤(雲蒸礎潤) : 구름이 피어오르면 주추가 젖는다는 뜻으로, 구름이 껴 비가 내리려하면 먼저 집의 주추가 눅눅해지는 것처럼 사물의 조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구름 운) (: 찔 증) (: 주춧돌 초) (: 젖을 윤) ]

[色] 빛 색 (빛, 종류, 색정(色情), 얼굴의 예쁨, 꾸미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탐화호색 획순 이미지 탐화호색(探花好色) : 여색을 지나치게 좋아하고 밝힘. [ (: 찾을 탐) (: 꽃 화) (: 좋을 호) (: 빛 색) ]
  • 아연실색(啞然失色) : 뜻밖의 일에 얼굴빛이 변할 정도로 놀람. [ (: 벙어리 아) (: 그러할 연) (: 잃을 실) (: 빛 색) ]
  • 변색지언(變色之言) : 안색(顔色)을 바꾸고 노해 꾸짖는 말. [ (: 변할 변) (: 빛 색) (: 갈 지) (: 말씀 언) ]
  • 만면수색(滿面愁色) : 얼굴에 가득 찬 근심의 빛. [ (滿: 찰 만) (: 낯 면) (: 시름 수) (: 빛 색) ]
  • 백색선전(白色宣傳) : 믿을 만한 증거나 자료를 가지고 하는 선전. [ (: 흰 백) (: 빛 색) (: 베풀 선) (: 전할 전) ]

[蒼] 푸를 창 (푸르다, 어슴푸레하다, 근교(近郊)의 푸른 경치, 우거지다, 늙은 모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억만창생 획순 이미지 억만창생(億萬蒼生) : 수많은 백성. [ (: 억 억) (: 일만 만) (: 푸를 창) (: 날 생) ]
  • 여로창생(女露蒼生) : 아침 이슬과 같이 덧없는 많은 백성(百姓). [ (: 너 여) (: 이슬 로) (: 푸를 창) (: 날 생) ]
  • 묵색창윤(墨色蒼潤) : 그림이나 글씨의 먹빛이 썩 좋아 예술적인 아름다움이 있음. [ (: 먹 묵) (: 빛 색) (: 푸를 창) (: 젖을 윤) ]
  • 울울창창(鬱鬱蒼蒼) : '울울창창하다'의 어근. [ (: 답답할 울) (: 답답할 울) (: 푸를 창) (: 푸를 창) ]
  • 창안백발(蒼顔白髮) : 늙은이의 쇠한 얼굴빛과 센 머리털. [ (: 푸를 창) (: 얼굴 안) (: 흰 백) (: 터럭 발) ]

[빛]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박광 획순 이미지 호박광(琥珀光) : 맑고 아름다운 술의 누런빛을 이르는 말. [ (: 호박 호) (: 호박 박) (: 빛 광) ]
  • 만면수색(滿面愁色) : 얼굴에 가득 찬 근심의 빛. [ (滿: 찰 만) (: 낯 면) (: 시름 수) (: 빛 색) ]
  • 천지현황(天地玄黃) : 하늘은 위에 있어 그 빛이 검고 땅은 아래 있어서 그 빛이 누름. [ (: 하늘 천) (: 땅 지) (: 검을 현) (: 누를 황) ]

[그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옹산화병 획순 이미지 옹산화병(甕算畵餠) :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독 옹) (: 셈할 산) (: 그림 화) (: 떡 병) ]
  • 칠자불화(漆者不畵) : 옻칠을 하는 사람은 그림을 그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두 가지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곧 분업을 의미함. [ (: 옻 칠) (: 놈 자) (: 아니 불) (: 그림 화) ]
  • 묵색창윤(墨色蒼潤) : 그림이나 글씨의 먹빛이 썩 좋아 예술적인 아름다움이 있음. [ (: 먹 묵) (: 빛 색) (: 푸를 창) (: 젖을 윤) ]
  • 와유강산(臥遊江山) : 누워서 강산을 노닌다는 뜻으로, 산수화를 보며 즐김을 이르는 말. [ (: 누울 와) (: 놀 유) (: 강 강) (: 메 산) ]
  • 반면미인(半面美人) : 측면에서 얼굴의 한쪽 면만을 그린 미인의 그림. [ (: 반 반) (: 낯 면) (: 아름다울 미) (: 사람 인) ]

[글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능문능필 획순 이미지 능문능필(能文能筆) : 글 짓는 솜씨와 글씨가 모두 능함. 또는 그런 사람. [ (: 능할 능) (: 글월 문) (: 능할 능) (: 붓 필) ]
  • 환아(換鵝) : 글씨를 청해 얻음을 이르는 말. [ (: 바꿀 환) (: 거위 아) ]
  • 대서특서(大書特書) : 특별히 두드러지게 보이도록 글자를 크게 쓴다는 뜻으로, 신문 따위의 출판물에서 어떤 기사에 큰 비중을 두어 다룸을 이르는 말. [ (: 큰 대) (: 글 서) (: 유다를 특) (: 글 서) ]
  • 대서특기(大書特記) : 특별히 두드러지게 보이도록 글자를 크게 쓴다는 뜻으로, 신문 따위의 출판물에서 어떤 기사에 큰 비중을 두어 다룸을 이르는 말. [ (: 큰 대) (: 글 서) (: 유다를 특) (: 적을 기) ]

[예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묵색창윤 획순 이미지 묵색창윤(墨色蒼潤) : 그림이나 글씨의 먹빛이 썩 좋아 예술적인 아름다움이 있음. [ (: 먹 묵) (: 빛 색) (: 푸를 창) (: 젖을 윤) ]
  • 면허개전(免許皆傳) : 스승이 예술(藝術)이나 무술(武術)의 깊은 뜻을 모두 제자(弟子)에게 전(傳)해 줌을 이르는 말. [ (: 벗어날 면) (: 허락할 허) (: 다 개) (: 전할 전) ]
  • 태산북두(泰山北斗) : (1)태산(泰山)과 북두칠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세상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클 태) (: 메 산) (: 북녘 북) (: 말 두) ]
  • 부회(附會) : 작품을 조직하는 원리.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창작론(創作論)에 해당하는 제43장의 제목이다. 말을 하나로 모으고 뜻과 이치를 통하게 한다는 뜻을 지니는 '부사회의(附辭會義)'의 준말이다. 문학 작품에 깃든 언어와 사고를 폭넓게 이해할 것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개념이다. 이 장에서 유협은 작품이 예술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서술하였다. [ (: 붙을 부) (: 모일 회) ]
  • 백화제방(百花齊放) : (1)많은 꽃이 일제히 핌. (2)온갖 학문이나 예술, 사상 따위가 함께 성(盛)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의 예술 정책으로 한때 고창되던 말이다. [ (: 일백 백) (: 꽃 화) (: 가지런할 제) (: 놓을 방) ]

[아름다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산명수자 획순 이미지 산명수자(山明水紫) : 산과 물이 맑고 자줏빛으로 선명하다는 뜻으로, 산수의 경치가 맑고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 메 산) (: 밝을 명) (: 물 수) (: 자주빛 자) ]
  • 일진불염(一塵不染) : (1)토지가 깨끗함. (2)절조가 깨끗함. (3)문장 따위가 뛰어나게 맑고 아름다움. (4)모든 것이 맑고 깨끗함. (5)티끌만큼도 물욕에 물들어 있지 아니함. [ (: 한 일) (: 티끌 진) (: 아니 불) (: 물들일 염) ]
  • 향알행운(響遏行雲) : 노래 소리가 지나가는 구름을 멈추게 한다는 뜻으로, 지나가는 구름도 잠깐 머물러 귀를 기울일 만큼 노래 소리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 울림 향) (: 막을 알) (: 갈 행) (: 구름 운) ]
  • 누월재운(鏤月裁雲) : 달을 아로새기고 구름을 마른다는 뜻으로, 세공이 아기자기하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달 월) (: 마를 재) (: 구름 운) ]
  • 묵색창윤(墨色蒼潤) : 그림이나 글씨의 먹빛이 썩 좋아 예술적인 아름다움이 있음. [ (: 먹 묵) (: 빛 색) (: 푸를 창) (: 젖을 윤)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