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1일 화요일

토호열신: 土豪劣紳

토호열신 (土豪劣紳) : 중국 국민 혁명 때에, 노동 운동가가 관료나 군벌과 짜고 농민을 착취하던 대지주나 자본가를 이르던 말.



土豪劣紳 한자 뜻 풀이

  • 土(흙 토) : 흙, 뿌리, 토양, 땅, 나라.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흙'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 豪(호걸 호) : 호걸, 귀인, 호협(豪俠), 장(長), 빼어나다. 큰집에서 돼지를 사용해 제례나 행사를 하는 의미에서 뛰어나다는 의미로 '호걸스럽다'나 그런 사람 의미 생성
  • 劣(못할 렬) : 못하다, 적다, 낮다, 약하다, 어리다. 힘이 적어 약하다는 의미에서 '못나다'는 뜻을 생성
  • 紳(큰띠 신) : 큰 띠, 다발짓다, 예복에 갖추어 매는 띠. 의복을 묶는 역할을 하는 '띠'의 의미. 申은 발음


[劣] 못할 렬 (못하다, 적다, 낮다, 약하다, 어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저속열악 획순 이미지 저속열악(低俗劣惡) : 품위나 질 따위가 속되고 낮음. [ (: 낮을 저) (: 풍속 속) (: 악할 악) ]
  • 토호열신(土豪劣紳) : 중국 국민 혁명 때에, 노동 운동가가 관료나 군벌과 짜고 농민을 착취하던 대지주나 자본가를 이르던 말. [ (: 흙 토) (: 호걸 호) (: 큰띠 신) ]
  • 우승열패(優勝劣敗) : 나은 자는 이기고 못한 자는 패함. 또는 강한 자는 번성하고 약한 자는 쇠멸함. [ (: 부드러울 우) (: 이길 승) (: 패할 패) ]

[土] 흙 토 (흙, 뿌리, 토양, 땅, 나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토양세류 획순 이미지 토양세류(土壤細流) : 작은 흙덩이와 가느다란 시내라는 뜻으로, 미세한 것도 이것을 쌓으면 큰 것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흙 토) (: 흙 양) (: 가늘 세) (: 흐를 류) ]
  • 전본분토(錢本糞土) : 돈은 본래 똥을 섞은 흙이라는 뜻으로, 돈은 원래 썩은 인분(人糞)처럼 천한 것이라는 의미. [ (: 돈 전) (: 밑 본) (: 똥 분) (: 흙 토) ]
  • 막비왕토(莫非王土) : 왕의 땅이 아닌 곳이 없음. [ (: 없을 막) (: 아닐 비) (: 임금 왕) (: 흙 토) ]
  • 솔토지빈(率土之濱) : 온 나라의 영토 안. [ (: 거느릴 솔) (: 흙 토) (: 갈 지) (: 물가 빈) ]
  • 무량청정토(無量淸淨土)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 (: 없을 무) (: 헤아릴 량) (: 맑을 청) (: 깨끗할 정) (: 흙 토) ]

[紳] 큰띠 신 (큰 띠, 다발짓다, 예복에 갖추어 매는 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토호열신 획순 이미지 토호열신(土豪劣紳) : 중국 국민 혁명 때에, 노동 운동가가 관료나 군벌과 짜고 농민을 착취하던 대지주나 자본가를 이르던 말. [ (: 흙 토) (: 호걸 호) (: 큰띠 신) ]

[豪] 호걸 호 (호걸, 귀인, 호협(豪俠), 장(長), 빼어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녹림호걸 획순 이미지 녹림호걸(綠林豪傑) : (1)'녹림호걸'의 북한어. (2)화적이나 도둑을 달리 이르는 말. [ (: 수풀 림) (: 호걸 호) (: 뛰어날 걸) ]
  • 록림호객(綠林豪客) : (1)화적이나 도둑을 달리 이르는 말. (2)'녹림호객'의 북한어. [ (: 수풀 림) (: 호걸 호) (: 손 객) ]
  • 호기만발(豪氣滿發) : 꺼드럭거리며 뽐내는 기운이 온몸에 가득 차서 겉으로 드러남. [ (: 호걸 호) (: 기운 기) (滿: 찰 만) (: 필 발) ]
  • 호언장담(豪言壯談) : 호기롭고 자신 있게 말함. 또는 그 말. [ (: 호걸 호) (: 말씀 언) (: 씩씩할 장) (: 말씀 담) ]
  • 여중호걸(女中豪傑) : (1)'여중호걸'의 북한어. (2)도량이 크고 의협심이 강하여 타고난 기품이 있는 여자. [ (: 너 여) (: 가운데 중) (: 호걸 호) (: 뛰어날 걸) ]

[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사재하 획순 이미지 풍사재하(風斯在下) :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오름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이 사) (: 있을 재) (: 아래 하)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 두동미서(頭東尾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 (: 머리 두) (: 동녘 동) (: 꼬리 미) (西: 서녘 서) ]
  • 살생유택(殺生有擇) :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 (: 죽일 살) (: 날 생) (: 있을 유) (: 가릴 택) ]

[관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토호열신 획순 이미지 토호열신(土豪劣紳) : 중국 국민 혁명 때에, 노동 운동가가 관료나 군벌과 짜고 농민을 착취하던 대지주나 자본가를 이르던 말. [ (: 흙 토) (: 호걸 호) (: 큰띠 신) ]
  • 법복귀족(法服貴族) : 프랑스 절대 왕정의 관료 귀족. 관직 매매 제도를 통하여 주로 사법(司法) 관계의 관직을 사서 귀족의 신분으로 오르게 된 신흥 귀족으로, 오래된 봉건 귀족인 대검(帶劍) 귀족과 구별된다. 그들이 입은 관복에서 명칭이 유래하였으며, 부를 소유하고 관직을 장악하였으므로 주도적으로 개혁에 반대하였다. [ (: 법 법) (: 옷 복) (: 귀할 귀) (: 겨레 족) ]

[국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국안민 획순 이미지 부국안민(富國安民) : 나라를 넉넉하게 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백성들을 편안하게 안정시킨다는 의미. [ (: 가멸 부) (: 나라 국) (: 편안할 안) (: 백성 민) ]
  • 국치민욕(國恥民辱) : 나라의 부끄러움과 백성의 욕됨. 외세에 국권이 농락당하는 것을 이른다. [ (: 나라 국) (: 부끄러워할 치) (: 백성 민) (: 욕될 욕) ]
  • 토호열신(土豪劣紳) : 중국 국민 혁명 때에, 노동 운동가가 관료나 군벌과 짜고 농민을 착취하던 대지주나 자본가를 이르던 말. [ (: 흙 토) (: 호걸 호) (: 큰띠 신) ]

[농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갈민대우 획순 이미지 갈민대우(渴民待雨) : 목마른 백성이 비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아주 간절히 기다림을 이르는 말. [ (: 목마를 갈) (: 백성 민) (: 기다릴 대) (: 비 우) ]
  • 태평천국(太平天國) : (1)근심이나 걱정이 없는 편안한 이상국. (2)1851년에 홍수전과 농민 반란군이 중국 광시성(廣西省)에 세운 나라. 청나라의 지배에 항거하고, 기독교의 평등사상과 토지의 균등 분배 따위를 바탕으로 한 이상 국가를 세우고자 하였으나, 1864년에 내부의 분열과 증국번ㆍ이홍장 등이 이끄는 한인 의용군, 외국 의용군의 힘을 빌린 청나라에 의하여 망하였다. [ (: 클 태) (: 평평할 평) (: 하늘 천) (: 나라 국) ]
  • 사농공상(士農工商) : 예전에, 백성을 나누던 네 가지 계급. 선비, 농부, 공장(工匠), 상인을 이르던 말이다. [ (: 선비 사) (: 농사 농) (: 장인 공) (: 헤아릴 상) ]
  • 토호열신(土豪劣紳) : 중국 국민 혁명 때에, 노동 운동가가 관료나 군벌과 짜고 농민을 착취하던 대지주나 자본가를 이르던 말. [ (: 흙 토) (: 호걸 호) (: 큰띠 신) ]
  • 영세농민(零細農民) : 농사짓는 경지가 적어 생계를 겨우 유지하는 농민. 또는 매우 적은 규모의 농업. [ (: 가늘 세) (: 농사 농) (: 백성 민) ]

[당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도읍화하 획순 이미지 도읍화하(都邑華夏) : 도읍(都邑)은 왕성(王城)의 지위(地位)를 말한 것이고, 화하(華夏)는 당시(當時) 중국(中國)을 지칭(指稱)하던 말임. [ (: 도읍 도) (: 고을 읍) (: 빛날 화) (: 여름 하) ]
  • 토호열신(土豪劣紳) : 중국 국민 혁명 때에, 노동 운동가가 관료나 군벌과 짜고 농민을 착취하던 대지주나 자본가를 이르던 말. [ (: 흙 토) (: 호걸 호) (: 큰띠 신) ]
  • 안서(雁書) : 먼 곳에서 소식을 전하는 편지. ≪한서(漢書)≫ <소무전(蘇武傳)>에 나오는 말로, 한무제 때 한나라의 사신 소무가 흉노에게 붙잡혀 있을 당시 기러기의 다리에 편지를 매어 한나라로 보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 기러기 안) (: 글 서) ]
  • 청춘(靑春) : (1)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이라는 뜻으로,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을 이르는 말. (2)1914년 10월에 최남선이 창간한 우리나라 최초의 월간 종합지. 청년을 상대로 한 계몽지로서 ≪소년≫지가 폐간된 후 그 후신으로 발간한 것으로, 신문학 운동이 일어나던 무렵에 문학 작품의 발표 및 문예 작품 현상 모집에 의한 창작 의욕의 진작, 해외 문학 번역 소개 등 문학 발전에 큰 구실을 하였다. 1918년 8월까지 통권 15호를 냈다. (3)독일의 극작가 할베(Halbe, M.)가 지은 희곡. 주인공 안헨은 대학생인 한스와 사랑을 나누나, 안헨의 이복 오빠가 질투심에서 한스를 죽이려다 잘못해서 동생 안헨을 죽이게 된다는 내용이다. 청춘의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그 당시 연애 희곡의 대표작이다. 1893년에 초연되었다. 3막. (4)1936년에 극작가 남궁만(南宮滿)이 쓴 희곡. 평양 변두리의 빈민굴에서 살아가는 실직 노동자 가족의 비극을 다룬 작품이다. [ (: 푸를 청) (: 봄 춘) ]

[보통]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언소자약 획순 이미지 언소자약(言笑自若) : 근심이나 놀라운 일을 당하였을 때도 보통 때와 같이 웃고 이야기함. [ (: 말씀 언) (: 웃을 소) (: 스스로 자) (: 같을 약) ]
  • 학이지지(學而知之) : 삼지(三知)의 하나. 도(道)를 배워서 깨달음을 이른다. [ (: 배울 학) (: 말 이을 이) (: 알 지) (: 갈 지) ]
  • 평평범범(平平凡凡) : '평평범범하다'의 어근. [ (: 평평할 평) (: 평평할 평) (: 무릇 범) (: 무릇 범) ]

[사용]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우문현답 획순 이미지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 어리석을 우) (: 물을 문) (: 어질 현) (: 대답할 답) ]
  •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 (: 눈 설) (: 위 상) (: 더할 가) (: 서리 상) ]
  • 옹산화병(甕算畵餠) :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독 옹) (: 셈할 산) (: 그림 화) (: 떡 병) ]
  • 양두색이(兩豆塞耳) : 두 콩으로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콩알 두 알로도 귀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처럼 조그마한 것이 큰 지장을 초래함을 비유하여 주로 마음이 물욕에 가려지면 도리를 분별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콩 두) (: 막을 색) (: 귀 이) ]
  • 송구영신(送舊迎新) :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 (: 보낼 송) (: 옛 구) (: 맞을 영) (: 새 신) ]

[중국]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문경지우 획순 이미지 문경지우(刎頸之友)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 목 벨 문) (: 목 경) (: 갈 지) (: 벗 우) ]
  •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불야성(不夜城)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 아니 불) (: 밤 야) (: 성 성) ]
  • 형산지옥(荊山之玉) :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모형나무 형) (: 메 산) (: 갈 지) (: 구슬 옥) ]

[지방]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양이천석 획순 이미지 양이천석(良二千石) : 선정(善政)을 베푸는 지방 장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한(漢)나라 때에 태수(太守)의 연봉이 이천 석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 (: 두 이) (: 일천 천) (: 돌 석) ]
  • 거동궤(車同軌) : 여러 지방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 (: 수레 거) (: 한가지 동) (: 길 궤) ]
  • 활인지방(活人之方) : (1)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법. (2)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위나 지방. [ (: 살 활) (: 사람 인) (: 갈 지) (: 모 방) ]
  • 화외지맹(化外之氓) : 교화가 미치지 못하는 지방의 백성. [ (: 화할 화) (: 바깥 외) (: 갈 지) (: 백성 맹) ]
  • 파가현령(破家縣令) : 집안을 부수는 현령이라는 뜻으로, 백성들에게 가렴주구(苛斂誅求)의 횡포를 부리는 지방 관리를 이르는 말. [ (: 깨뜨릴 파) (: 집 가) (: 고을 현) (: 하여금 령) ]

[착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토호열신 획순 이미지 토호열신(土豪劣紳) : 중국 국민 혁명 때에, 노동 운동가가 관료나 군벌과 짜고 농민을 착취하던 대지주나 자본가를 이르던 말. [ (: 흙 토) (: 호걸 호) (: 큰띠 신) ]
  • 준민고택(浚民膏澤) : 백성의 고혈을 뽑아낸다는 뜻으로, 재물을 마구 착취하여 백성을 괴롭힘을 이르는 말. [ (: 깊을 준) (: 백성 민) (: 기름 고) (: 못 택) ]

[혁명]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백색공포 획순 이미지 백색공포(白色恐怖) : 권력자나 지배 계급이 반정부 세력이나 혁명 운동에 대하여 행하는 탄압. [ (: 흰 백) (: 빛 색) (: 두려울 공) (: 두려워할 포) ]
  • 선양방벌(禪讓放伐) : 덕을 잃고 악정을 행하는 임금은 내쳐도 거리낄 바 없다는 중국의 역성혁명관. [ (: 봉선 선) (: 사양할 양) (: 놓을 방) (: 칠 벌) ]
  • 무혈혁명(無血革命) : 피를 흘리지 아니하고 평화적 수단으로 이루는 혁명. [ (: 없을 무) (: 피 혈) (: 가죽 혁) (: 목숨 명) ]
  • 탕무방벌(湯武放伐) : 탕왕과 무왕이 쫓아내어 죽인다는 뜻으로, 중국 고대 은(殷)나라의 탕왕(湯王)이 하(夏)나라의 걸왕(桀王)을 내치고,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이 은나라 주왕(紂王)을 친 폭군을 정벌한 역성혁명(易姓革命)을 일컫는 말. [ (: 끓일 탕) (: 호반 무) (: 놓을 방) (: 칠 벌) ]
  • 토호열신(土豪劣紳) : 중국 국민 혁명 때에, 노동 운동가가 관료나 군벌과 짜고 농민을 착취하던 대지주나 자본가를 이르던 말. [ (: 흙 토) (: 호걸 호) (: 큰띠 신) ]

[횡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호이관 획순 이미지 호이관(虎而冠) : 호랑이면서 관을 쓰고 있다는 뜻으로, 마음은 범처럼 잔인 횡포(殘忍橫暴)하면서도, 사람의 의관(衣冠)을 하여 외모를 꾸미고 있음을 이르는 말 . [ (: 범 호) (: 말 이을 이) (: 갓 관) ]
  • 파가현령(破家縣令) : 집안을 부수는 현령이라는 뜻으로, 백성들에게 가렴주구(苛斂誅求)의 횡포를 부리는 지방 관리를 이르는 말. [ (: 깨뜨릴 파) (: 집 가) (: 고을 현) (: 하여금 령) ]
  • 포학무도(暴虐無道) : 성질 따위가 몹시 잔인하고 난폭하며 도리에 어긋나 막됨. [ (: 사나울 포) (: 모질 학) (: 없을 무) (: 길 도) ]
  • 토호열신(土豪劣紳) : 중국 국민 혁명 때에, 노동 운동가가 관료나 군벌과 짜고 농민을 착취하던 대지주나 자본가를 이르던 말. [ (: 흙 토) (: 호걸 호) (: 큰띠 신) ]
  • 의관금수(衣冠禽獸) : 의관을 갖춘 짐승이라는 뜻으로, 횡포하고 무례한 관리를 비난하는 말이나, 무지막지하고 덕행이 없는 사람을 욕하여 이르는 말로 사용됨. [ (: 옷 의) (: 갓 관) (: 날짐승 금) (: 짐승 수)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