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역유도 (盜亦有道) : 도둑에게도 도둑 나름의 도덕이 있음을 이르는 말.
盜亦有道 한자 뜻 풀이
- 盜(도둑 도) : 도둑, 훔치다, 밀통(密通)하다, 도둑질하다, 소인(小人). 그릇에 담긴 음식물을 놓고 입을 벌리고 있는 모양에서 '훔치다'는 의미인 '도둑'의 의미 생성
- 亦(또 역) : 또, 어찌, 그래도, 크다, 또한. 본래 사람의 겨드랑이의 의미인데, 후에 '또한'의 의미 파생
- 有(있을 유) : 있다, 또, 많다, 자재(資材), 보유(保有)하다. 손에 고깃덩이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가지고 있다'는 소유의 의미 생성. 혹 자형의 분류에 따라 달 월[月] 부수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 道(길 도) : 길, 말하다, 다니다, 가다, 따르다. 首(수)는 신체의 위 부분으로 궁극적으로 가서 닿는 곳이라서 '갈 (착)[책받침]'을 더해 걸어가는 '길'의 의미 생성. 후에 마땅히 걸어갈 길인 '도리'의 의미 파생
[亦] 또 역 (또, 어찌, 그래도, 크다, 또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치망순역지(齒亡脣亦支) :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말. [ (齒: 이 치) (亡: 잃을 망) (脣: 입술 순) (亦: 또 역) (支: 가를 지) ]
- 재가빈역호(在家貧亦好) : 제 집에 있으면 가난하여도 마음은 편하다는 뜻으로, 객지(客地)에 있는 사람이 고향(故鄕)을 그리워하는 심정(心情)을 이르는 말. [ (在: 있을 재) (家: 집 가) (貧: 가난할 빈) (亦: 또 역) (好: 좋을 호) ]
- 학이시습지불역열호(學而時習之不亦說乎) :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 (學: 배울 학) (而: 말 이을 이) (時: 때 시) (習: 익힐 습) (之: 갈 지) (不: 아니 불) (亦: 또 역) (說: 기쁠 열) (乎: 온 호) ]
- 역참기중(亦參其中) : 남의 일에 또한 참여함. [ (亦: 또 역) (參: 참여할 참) (其: 그 기) (中: 가운데 중) ]
- 도역유도(盜亦有道) : 도둑에게도 도둑 나름의 도덕이 있음을 이르는 말. [ (盜: 도둑 도) (亦: 또 역) (有: 있을 유) (道: 길 도) ]
[有] 있을 유 (있다, 또, 많다, 자재(資材), 보유(保有)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장유유서(長幼有序) : 오륜(五倫)의 하나.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 (長: 길 장) (幼: 어릴 유) (有: 있을 유) (序: 차례 서) ]
- 백관유사(百官有司) : 조정(朝廷)의 많은 벼슬아치. 또는 모든 관리(官吏). [ (百: 일백 백) (官: 벼슬 관) (有: 있을 유) (司: 맡을 사) ]
- 살생유택(殺生有擇) :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 (殺: 죽일 살) (生: 날 생) (有: 있을 유) (擇: 가릴 택) ]
- 출언유장(出言有章) : 나오는 말마다 문채가 있다는 뜻으로, 하는 말이 아름답고 훌륭함을 이르는 말. [ (出: 날 출) (言: 말씀 언) (有: 있을 유) (章: 문채 장) ]
- 개권유득(開卷有得) : 책을 열면 소득이 있다는 뜻으로, 책을 읽게 되면 항상 유익함을 얻게 된다는 의미. [ (開: 열 개) (卷: 말 권) (有: 있을 유) (得: 얻을 득) ]
[盜] 도둑 도 (도둑, 훔치다, 밀통(密通)하다, 도둑질하다, 소인(小人))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도역유도(盜亦有道) : 도둑에게도 도둑 나름의 도덕이 있음을 이르는 말. [ (盜: 도둑 도) (亦: 또 역) (有: 있을 유) (道: 길 도) ]
- 도증주인(盜憎主人) : 도둑이 주인을 미워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다만 자기 형편에 맞지 않으면 이것을 싫어한다는 의미. [ (盜: 도둑 도) (憎: 미워할 증) (主: 주인 주) (人: 사람 인) ]
- 호서지도(狐鼠之盜) : 여우와 쥐 같은 도둑이라는 뜻으로, 여우와 쥐를 소인(小人)이나 좀도둑에 비유들어 그러한 소인배와 같은 간사하고 못된 무리나 좀도둑을 이르는 말로 사용함. [ (狐: 여우 호) (鼠: 쥐 서) (之: 갈 지) (盜: 도둑 도) ]
- 기세도명(欺世盜名) : 세상 사람을 속이고 헛된 명예를 탐함. [ (欺: 속일 기) (世: 인간 세) (盜: 도둑 도) (名: 이름 명) ]
- 엄이도령(掩耳盜鈴) :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이 그 잘못을 다 알고 있는데 얕은꾀를 써서 남을 속이려 함을 이르는 말. ≪여씨춘추≫ <불구론(不苟論)>의 <자지편(自知篇)>에 나오는 말이다. [ (掩: 가릴 엄) (耳: 귀 이) (盜: 도둑 도) (鈴: 방울 령) ]
[道] 길 도 (길, 말하다, 다니다, 가다, 따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대악무도(大惡無道) : 대단히 악독하고 사람의 도리에 어긋나 있음. [ (大: 큰 대) (惡: 악할 악) (無: 없을 무) (道: 길 도) ]
- 면벽수도(面壁修道) : 얼굴을 벽에 대고 도를 닦는 것. [ (面: 낯 면) (壁: 벽 벽) (修: 닦을 수) (道: 길 도) ]
- 부도지설(不道之說) : 입에 담지 못할 소리. [ (不: 아닌가 부) (道: 길 도) (之: 갈 지) (說: 말씀 설) ]
- 부부지도이성지합(夫婦之道二姓之合) : 부부(夫婦)의 도(道)는 두 성씨가 결합(結合)하는 것임. [ (夫: 지아비 부) (婦: 며느리 부) (之: 갈 지) (道: 길 도) (二: 두 이) (姓: 성 성) (之: 갈 지) (合: 합할 합) ]
- 도성덕립(道成德立) : 도를 이루어 덕이 섬. [ (道: 길 도) (成: 이룰 성) (德: 덕 덕) (立: 설 립) ]
[나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도역유도(盜亦有道) : 도둑에게도 도둑 나름의 도덕이 있음을 이르는 말. [ (盜: 도둑 도) (亦: 또 역) (有: 있을 유) (道: 길 도) ]
- 피리양추(皮裏陽秋) : 피리(皮裏)는 피부(皮膚)의 안을 뜻하고, 양추(陽秋)는 공자(孔子)가 지은 『춘추(春秋)』를 뜻하는 말로, 사람마다 제각기 나름대로의 속셈과 분별력(分別力)이 있음을 이르는 말. [ (皮: 가죽 피) (裏: 속 리) (陽: 볕 양) (秋: 가을 추) ]
- 노마지도(老馬知途) : 늙은 말이 갈 길을 안다는 뜻으로, (1) 연륜이 깊으면 나름의 장점(長點)과 특기가 있음 (2) 경험(經驗) 많은 사람이 갖춘 지혜(智慧). [ (馬: 말 마) (知: 알 지) (途: 길 도) ]
[도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위자강(父爲子綱) : 삼강(三綱)의 하나.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 (父: 아비 부) (爲: 할 위) (子: 아들 자) (綱: 벼리 강) ]
- 도학선생(道學先生) : 도덕의 이론에만 밝고 실제의 세상일에는 어두운, 융통성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道: 길 도) (學: 배울 학) (先: 먼저 선) (生: 날 생) ]
- 대의명분(大義名分) : (1)사람으로서 마땅히 지키고 행하여야 할 도리나 본분. (2)떳떳이 내세울 만한 도덕적 원칙이나 이유. [ (大: 큰 대) (義: 옳을 의) (名: 이름 명) (分: 나눌 분) ]
- 멸륜패상(滅倫敗常) : 오륜(五倫)을 없애고 오상(五常)을 깨뜨린다는 뜻으로, 예의와 도덕을 함부로 어기고 짓밟음을 이르는 말. [ (滅: 멸망할 멸) (倫: 인륜 륜) (敗: 패할 패) (常: 항상 상) ]
- 삼십이립(三十而立) : 서른 살이 되어 자립을 한다는 뜻으로, 서른 살을 달리 이르는 말.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말이다. [ (三: 석 삼) (十: 열 십) (而: 말 이을 이) (立: 설 립) ]
[도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개문납적(開門納賊) : 문을 열어 도둑이 들어오게 한다는 뜻으로, 제 스스로 화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 (開: 열 개) (門: 문 문) (納: 들일 납) (賊: 도둑 적) ]
- 녹림호걸(綠林豪傑) : (1)'녹림호걸'의 북한어. (2)화적이나 도둑을 달리 이르는 말. [ (林: 수풀 림) (豪: 호걸 호) (傑: 뛰어날 걸) ]
- 적출관문(賊出關門) : 도둑이 나간 뒤에 문을 닫는다는 뜻으로,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의미. [ (賊: 도둑 적) (出: 날 출) (關: 빗장 관) (門: 문 문) ]
- 록림호객(綠林豪客) : (1)화적이나 도둑을 달리 이르는 말. (2)'녹림호객'의 북한어. [ (林: 수풀 림) (豪: 호걸 호) (客: 손 객) ]
[양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앙무괴(俯仰無傀) : 하늘을 우러러보나 땅을 굽어보나 양심(良心)에 부끄러움이 없음을 이르는 말. [ (俯: 구부릴 부) (仰: 우러를 앙) (無: 없을 무) (傀: 꼭두각시 괴) ]
- 존심양성(存心養性) : 마음을 간직하고 성품을 기른다는 뜻으로, 양심(良心)을 잃지 말고 그대로 간직하여, 하늘이 주신 본성(本性)을 키워 나가는 것을 이르는 말. [ (存: 있을 존) (心: 마음 심) (養: 기를 양) (性: 성품 성) ]
- 상유양심(尙有良心) : 악한 일을 한 사람에게도 양심은 남아 있다는 뜻으로, 바르게 인도할 여지가 있음을 이르는 말. [ (尙: 오히려 상) (有: 있을 유) (心: 마음 심) ]
- 도역유도(盜亦有道) : 도둑에게도 도둑 나름의 도덕이 있음을 이르는 말. [ (盜: 도둑 도) (亦: 또 역) (有: 있을 유) (道: 길 도) ]
- 벌성지부(伐性之斧) : 인성(人性)을 베는 도끼라는 뜻으로, 여색에 빠지는 일을 이르는 말. [ (伐: 칠 벌) (性: 성품 성) (之: 갈 지) (斧: 도끼 부) ]
[의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擧: 들 거) (棋: 바둑 기) (不: 아닌가 부) (定: 정할 정) ]
-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束: 묶을 속) (手: 손 수) (無: 없을 무) (策: 꾀 책) ]
- 공전절후(空前絶後)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空: 빌 공) (前: 앞 전) (絶: 끊을 절) (後: 뒤 후) ]
[활용]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간뇌도지(肝腦塗地) :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 (肝: 간 간) (腦: 뇌 뇌) (塗: 진흙 도) (地: 땅 지) ]
- 요순고설(搖脣鼓舌) : 입술을 움직이고 혀를 찬다는 뜻으로, 함부로 남을 비평한다는 의미로 활용됨. [ (搖: 흔들릴 요) (脣: 입술 순) (鼓: 북 고) (舌: 혀 설) ]
- 점철성금(點鐵成金) : (1)쇠를 달구어 황금을 만든다는 뜻으로, 나쁜 것을 고쳐서 좋은 것을 만듦을 이르는 말. (2)옛사람의 말을 따다가 글을 지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點: 점 점) (鐵: 쇠 철) (成: 이룰 성) (金: 쇠 금) ]
- 초동급부(樵童汲婦)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을 이르는 말. [ (樵: 땔나무 초) (童: 아이 동) (汲: 길을 급) (婦: 며느리 부) ]
- 조침안기(蚤寢晏起) : 일찍 자고 늦게 일어난다는 뜻으로, 부지런하지 못하거나 밤 시간을 활용하지 못한다는 의미. [ (蚤: 벼룩 조) (寢: 잠잘 침) (晏: 늦을 안) (起: 일어날 기) ]
[도덕적]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대의명분(大義名分) : (1)사람으로서 마땅히 지키고 행하여야 할 도리나 본분. (2)떳떳이 내세울 만한 도덕적 원칙이나 이유. [ (大: 큰 대) (義: 옳을 의) (名: 이름 명) (分: 나눌 분) ]
- 도역유도(盜亦有道) : 도둑에게도 도둑 나름의 도덕이 있음을 이르는 말. [ (盜: 도둑 도) (亦: 또 역) (有: 있을 유) (道: 길 도) ]
- 재도지기(載道之器) : 도덕적 가치를 담는 그릇이라는 뜻으로, '문학' 또는 '시'를 이르는 말. [ (載: 실을 재) (道: 길 도) (之: 갈 지) (器: 그릇 기) ]
- 위기지학(爲己之學) : 자기 자신의 인격 수양을 위한 학문. [ (爲: 할 위) (己: 몸 기) (之: 갈 지) (學: 배울 학) ]
- 부화(浮華) : (1)실속은 없고 겉만 화려함. (2)남녀 관계가 도덕적으로 타락하여 건전하지 못함. [ (浮: 뜰 부) (華: 빛날 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