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27일 일요일

갈식: 喝食

갈식 (喝食) : (1)선원에서, 식사 때에 대중들에게 탕과 반찬의 종류를 알리는 소임. (2)선원에서, 식사 때에 심부름하는 아이.



喝食 한자 뜻 풀이

  • 喝(꾸짖을 갈) : 꾸짖다, 목메다, 큰 소리로 나무람, 소리를 죽여 욺, 으르다. 큰 소리로 나무라거나 고함을 치며 위협한다는 의미
  • 食(밥 식) : 밥, 사람 이름, 음식, 먹다, 마시다. 음식을 담는 그릇에 뚜껑까지 덮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음식물', '먹다', '밥' 등의 뜻으로 사용되고, 부수로도 음식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喝] 꾸짖을 갈 (꾸짖다, 목메다, 큰 소리로 나무람, 소리를 죽여 욺, 으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통의허갈 획순 이미지 통의허갈(恫疑虛喝) : 두려워하면서 헛되게 소리친다는 뜻으로, 속으로는 떨면서 겉으로 위협함을 이르거나, 숨을 헐떡거리며 두려워하는 일을 이르는 말. [ (: 상심할 통) (: 의심할 의) (: 빌 허) (: 꾸짖을 갈) ]
  • 갈식(喝食) : (1)선원에서, 식사 때에 대중들에게 탕과 반찬의 종류를 알리는 소임. (2)선원에서, 식사 때에 심부름하는 아이. [ (: 꾸짖을 갈) (: 밥 식) ]
  • 박수갈채(拍手喝采) : 손뼉을 치고 소리를 질러 환영하거나 찬성함. [ (: 칠 박) (: 손 수) (: 꾸짖을 갈) (: 캘 채) ]
  • 대갈일성(大喝一聲) : 크게 외쳐 꾸짖는 한마디의 소리. [ (: 큰 대) (: 꾸짖을 갈) (: 한 일) (: 소리 성) ]

[食] 밥 식 (밥, 사람 이름, 음식, 먹다, 마시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단사표음 획순 이미지 단사표음(簞食瓢飮)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 (: 대광주리 단) (: 밥 사) (: 박 표) (: 마실 음) ]
  • 사사명식(四邪命食) : 승려의 떳떳하지 못한 네 가지 생활 방식. 하구식(下口食), 앙구식(仰口食), 방구식(方口食), 유구식(維口食)이다. 비구는 본디 걸식 생활을 본의로 하는데 다른 생활도 함을 이르는 말이다. [ (: 넉 사) (: 간사할 사) (: 목숨 명) (: 밥 식) ]
  • 발분망식(發憤忘食) : 끼니까지도 잊을 정도로 어떤 일에 열중하여 노력함. [ (: 필 발) (: 결낼 분) (: 잊을 망) (: 밥 식) ]
  • 계서봉황식(鷄棲鳳凰食) : 닭집에서 봉황(鳳凰)이 함께 살면서 모이를 먹는다는 뜻으로, 충신(忠臣)이 천(賤)한 죄인(罪人)들과 함께 하는 삶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닭 계) (: 살 서) (: 봉새 봉) (: 봉황새 황) (: 밥 식) ]
  • 만식당육(晩食當肉) : 배가 고플 때는 무엇을 먹든지 고기 맛과 같음. [ (: 늦을 만) (: 밥 식) (: 마땅할 당) (: 고기 육) ]

[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사재하 획순 이미지 풍사재하(風斯在下) :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오름을 이르는 말. [ (: 바람 풍) (: 이 사) (: 있을 재) (: 아래 하) ]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피리 우) ]
  • 감회(感懷) :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 (: 느낄 감) (: 품을 회) ]
  • 두동미서(頭東尾西)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 (: 머리 두) (: 동녘 동) (: 꼬리 미) (西: 서녘 서) ]
  • 살생유택(殺生有擇) :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 (: 죽일 살) (: 날 생) (: 있을 유) (: 가릴 택) ]

[밥]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영고일취 획순 이미지 영고일취(榮枯一炊) : 인생이 꽃피고 시드는 것은 한번 밥짓는 순간같이 덧없고 부질없음을 이르는 말. [ (: 영화 영) (: 마를 고) (: 한 일) (: 불땔 취) ]
  • 일반지덕(一飯之德) : 밥 한 끼를 베푸는 덕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은덕을 이르는 말. [ (: 한 일) (: 밥 반) (: 갈 지) (: 덕 덕) ]
  • 단사표음(簞食瓢飮)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 (: 대광주리 단) (: 밥 사) (: 박 표) (: 마실 음) ]
  • 항다반(恒茶飯) : 항상 있는 차와 밥이라는 뜻으로, 항상 있어 이상하거나 신통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 (: 항상 항) (: 차 다) (: 밥 반) ]
  • 주낭반대(酒囊飯袋) : 술을 담는 부대와 밥을 담는 주머니라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축내며 일은 아니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 술 주) (: 주머니 낭) (: 밥 반) (: 자루 대) ]

[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갈식 획순 이미지 갈식(喝食) : (1)선원에서, 식사 때에 대중들에게 탕과 반찬의 종류를 알리는 소임. (2)선원에서, 식사 때에 심부름하는 아이. [ (: 꾸짖을 갈) (: 밥 식) ]
  • 상림지설(桑林之說) : 중국 은나라의 탕왕이 하늘에 기우제를 지내고 비를 내리게 했다는 이야기. [ (: 뽕나무 상) (: 수풀 림) (: 갈 지) (: 말씀 설) ]

[대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효수경중 획순 이미지 효수경중(梟首警衆) :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은 곳에 매달아 놓아 뭇사람을 경계하던 일. [ (: 올빼미 효) (: 머리 수) (: 경계할 경) (: 무리 중) ]
  • 득중득국(得衆得國) : 대중을 얻으면 나라를 얻는다는 뜻으로, 대중의 마음을 얻으면 나라도 얻을 수 있다는 의미. [ (: 얻을 득) (: 무리 중) (: 얻을 득) (: 나라 국) ]
  • 중노난범(衆怒難犯) :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 (: 무리 중) (: 성낼 노) (: 어려울 난) (: 범할 범) ]
  • 인언이박(仁言利博) : 어진 말은 이로움이 넓다는 뜻으로, 인덕(仁德)이 있는 사람의 말은 널리 대중에게까지 이익을 미친다는 의미. [ (: 어질 인) (: 말씀 언) (: 넓을 박) ]

[반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감선철악 획순 이미지 감선철악(減膳撤樂) : 나라에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가 있을 때에 임금이 몸소 근신하는 뜻으로 수라상의 음식 가짓수를 줄이고 노래와 춤을 가까이하지 아니하던 일. [ (: 덜 감) (: 반찬 선) (: 거둘 철) (: 풍류 악) ]
  • 호장(壺漿) : 단지 안에 든 간장이라는 뜻으로, 보잘것없고 맛없는 반찬을 이르는 말. [ (: 병 호) (漿: 미음 장) ]
  • 식불이미(食不二味) : 먹을 것이 두 맛을 아니라는 뜻으로, 반찬 한 가지로 만족하고 두 가지를 차리지 않는 검약(儉約)하는 일의 의미. [ (: 밥 식) (: 아니 불) (: 두 이) (: 맛 미) ]
  • 반소사(飯蔬食) : 거칠고 반찬(飯饌) 없는 밥이라는 뜻으로, 안빈 낙도(安貧樂道)함을 일컫는 말. [ (: 밥 반) (: 나물 소) (: 밥 사) ]
  • 취금찬옥(炊金饌玉) : 금으로 밥을 짓고 옥으로 반찬을 만든다는 뜻으로, 좋은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불땔 취) (: 쇠 금) (: 반찬 찬) (: 구슬 옥) ]

[소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행유여력 획순 이미지 행유여력(行有餘力) : 일을 다 하고도 오히려 힘이 남음. [ (: 갈 행) (: 있을 유) (: 남을 여) (: 힘 력) ]
  • 갈식(喝食) : (1)선원에서, 식사 때에 대중들에게 탕과 반찬의 종류를 알리는 소임. (2)선원에서, 식사 때에 심부름하는 아이. [ (: 꾸짖을 갈) (: 밥 식) ]
  • 방면지임(方面之任) : 관찰사의 소임. [ (: 모 방) (: 낯 면) (: 갈 지) (: 맡길 임) ]

[식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노소이량 획순 이미지 노소이량(老少異糧) : 늙은이와 젊은이의 식사(食事)가 다름. [ (: 적을 소) (: 다를 이) (: 양식 량) ]
  • 갈식(喝食) : (1)선원에서, 식사 때에 대중들에게 탕과 반찬의 종류를 알리는 소임. (2)선원에서, 식사 때에 심부름하는 아이. [ (: 꾸짖을 갈) (: 밥 식) ]
  • 토포악발(吐哺握髮) : 민심을 잡고 국가 행정에 관계되는 사무를 보살피기에 잠시도 편안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 (: 토할 토) (: 먹일 포) (: 쥘 악) (: 터럭 발) ]
  • 종식지간(終食之間) : 식사를 하는 짧은 시간이라는 뜻으로, 얼마 되지 아니하는 동안을 이르는 말. [ (: 끝날 종) (: 밥 식) (: 갈 지) (: 틈 간) ]

[아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추조거습 획순 이미지 추조거습(推燥居濕) : {아이는} 마른 곳으로 밀고, {자기는} 젖은 자리에 앉는다는 뜻으로, 자식을 기르는 어머니의 노고(勞苦)를 마다하지 않는 사랑을 이르는 말. [ (: 옮을 추) (: 마를 조) (: 있을 거) (: 축축할 습) ]
  • 파옹구아(破甕救兒) : 항아리를 깨뜨려 아이를 구한다는 뜻으로, 송(宋)의 사마광(司馬光)이 어릴 때 물독에 빠진 아이를 돌로 깨뜨려 구했다는 고사에서 어린아이의 지혜로움을 의미함. [ (: 깨뜨릴 파) (: 독 옹) (: 건질 구) (: 아이 아) ]
  • 황구유취(黃口乳臭) : 젖내 나는 어린아이같이 어려서 아직 젖비린내가 난다는 뜻으로, 어리고 하잘것없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 누를 황) (: 입 구) (: 젖 유) (: 냄새 취) ]
  • 해제지동(孩提之童) : 나이가 적은 아이. [ (: 어린아이 해) (: 끌 제) (: 갈 지) (: 아이 동) ]
  • 양소무시(兩小無猜) : 두 아이가 시기(猜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아이들의 천진한 모습을 이르는 말. [ (: 작을 소) (: 없을 무) (: 시기할 시) ]

[종류]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삼천세계 획순 이미지 삼천세계(三千世界) : 소천, 중천, 대천의 세 종류의 천세계가 이루어진 세계. 이 끝없는 세계가 부처 하나가 교화하는 범위가 된다. [ (: 석 삼) (: 일천 천) (: 인간 세) (: 지경 계) ]
  • 능지처참(陵遲處斬) : (1)'능지처참'의 북한어. (2)대역죄를 범한 자에게 과하던 극형. 죄인을 죽인 뒤 시신의 머리, 몸, 팔, 다리를 토막 쳐서 각지에 돌려 보이는 형벌이다. [ (: 늦을 지) (: 머무를 처) (: 벨 참) ]
  • 갈식(喝食) : (1)선원에서, 식사 때에 대중들에게 탕과 반찬의 종류를 알리는 소임. (2)선원에서, 식사 때에 심부름하는 아이. [ (: 꾸짖을 갈) (: 밥 식) ]
  • 유만부동(類萬不同) : (1)'유만부동'의 북한어. (2)비슷한 것이 많으나 서로 같지는 아니함. (3)정도에 넘침. 또는 분수에 맞지 아니함. [ (: 일만 만) (: 아닌가 부) (: 한가지 동) ]

[심부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화조사 획순 이미지 화조사(花鳥使) : 남녀 사이의 애정에 관계되는 일을 심부름하여 주는 사람. [ (: 꽃 화) (: 새 조) (使: 부릴 사) ]
  • 함흥차사(咸興差使) :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하거나 늦게 온 사람을 이르는 말. 조선 태조 이성계가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에 있을 때에, 태종이 보낸 차사를 혹은 죽이고 혹은 잡아 가두어 돌려보내지 아니하였던 데서 유래한다. [ (: 다 함) (: 일 흥) (: 어긋날 차) (使: 부릴 사) ]
  • 갈식(喝食) : (1)선원에서, 식사 때에 대중들에게 탕과 반찬의 종류를 알리는 소임. (2)선원에서, 식사 때에 심부름하는 아이. [ (: 꾸짖을 갈) (: 밥 식) ]
  • 아동주졸(兒童走卒) : 철없는 아이들과 어리석은 사람들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아이 아) (: 아이 동) (: 달릴 주) (: 군사 졸) ]
  • 쇄소응대(灑掃應對) : 물을 뿌려 쓸고 응대한다는 뜻으로, 집 안팎을 깨끗이 거두고 웃어른의 부름이나 물음에 응하여 상대함을 이르는 말. [ (: 뿌릴 쇄) (: 쓸 소) (: 응할 응) (: 대답할 대) ]

[큰소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앙천대소 획순 이미지 앙천대소(仰天大笑) : 터져 나오는 웃음을 참을 수 없거나 어이가 없어서 하늘을 쳐다보고 크게 웃음. [ (: 우러를 앙) (: 하늘 천) (: 큰 대) (: 웃을 소) ]
  • 제수유과수물성책(弟雖有過須勿聲責) : 아우에게 비록 허물이 있더라도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않음. [ (: 아우 제) (: 비록 수) (: 있을 유) (: 지날 과) (: 모름지기 수) (: 말 물) (: 소리 성) (: 꾸짖을 책) ]
  • 호언장담(豪言壯談) : 호기롭고 자신 있게 말함. 또는 그 말. [ (: 호걸 호) (: 말씀 언) (: 씩씩할 장) (: 말씀 담) ]
  • 대언불참(大言不慙) : 큰소리만 내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실천 못할 일을 말로만 떠들어대면서도 부끄러운 줄 모르는 것을 이르는 말. [ (: 큰 대) (: 말씀 언) (: 아니 불) (: 부끄러울 참) ]
  • 양비대담(攘臂大談) : 소매를 걷어 올리고 큰소리를 침. [ (: 물리칠 양) (: 팔 비) (: 큰 대) (: 말씀 담)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