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저귀저 (山底貴杵) : 산밑에서 절구공이가 귀하다는 뜻으로, 물건이 그 생산지(生産地)에서 도리어 더 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山底貴杵 한자 뜻 풀이
- 山(메 산) : 메, 산신(山神), 무덤, 절, 임금의 상(象). 솟아 있는 '산'과 봉우리들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 底(밑 저) : 밑, 이르다, 바닥, 멈추다, 막히다. 사물의 밑바닥이나 아래쪽의 의미에서 '밑'의 의미 생성
- 貴(귀할 귀) : 귀하다, 귀히 여기다, 귀하게 되다, 자랑하다, 두려워하다. 조개가 귀한 재화의 역할로 인해 '귀하다'는 의미 생성
- 杵(공이 저) : 공이, 방망이, 달구, 방패, 몽둥이. 절구의 공이나 다듬잇방망이 등의 의미
[山] 메 산 (메, 산신(山神), 무덤, 절, 임금의 상(象))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막막궁산(寞寞窮山) : 고요하고 쓸쓸한 느낌이 드는 깊은 산속. [ (寞: 쓸쓸할 막) (寞: 쓸쓸할 막) (窮: 다할 궁) (山: 메 산) ]
- 형산지옥(荊山之玉) :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荊: 모형나무 형) (山: 메 산) (之: 갈 지) (玉: 구슬 옥) ]
- 산고수청(山高水淸) : 산은 높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경치가 좋음을 이르는 말. [ (山: 메 산) (高: 높을 고) (水: 물 수) (淸: 맑을 청) ]
- 춘산여소(春山如笑) : 봄철의 산이 온자(蘊藉)함을 이르는 말. [ (春: 봄 춘) (山: 메 산) (如: 같을 여) (笑: 웃을 소) ]
[底] 밑 저 (밑, 이르다, 바닥, 멈추다, 막히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도천파저월선압수중천(棹穿波底月船壓水中天) : 노는 물결 아래의 달을 뚫고, 배는 물 가운데 하늘을 누름. [ (棹: 노 도) (穿: 뚫을 천) (波: 물결 파) (底: 밑 저) (月: 달 월) (船: 배 선) (壓: 누를 압) (水: 물 수) (中: 가운데 중) (天: 하늘 천) ]
- 부저추신(釜底抽薪) : 솥 밑의 장작을 뺀다는 뜻으로, 타는 장작을 빼내 솥이 끓어오르는 것을 막는 것처럼 어떤 일을 근본적으로 해결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 (釜: 가마 부) (底: 밑 저) (抽: 뺄 추) (薪: 섶나무 신) ]
- 산저귀저(山底貴杵) : 산밑에서 절구공이가 귀하다는 뜻으로, 물건이 그 생산지(生産地)에서 도리어 더 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山: 메 산) (底: 밑 저) (貴: 귀할 귀) (杵: 공이 저) ]
- 설저유부(舌底有斧) : 혀 아래에 도끼가 들었다는 뜻으로, 말을 잘못하면 화를 불러일으키니 말을 늘 삼가라는 말. [ (舌: 혀 설) (底: 밑 저) (有: 있을 유) (斧: 도끼 부) ]
- 피저원앙(被底鴛鴦) : 이불 밑의 원앙이라는 뜻으로, 이불 속의 남녀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被: 이불 피) (底: 밑 저) (鴛: 원앙 원) (鴦: 원앙 앙) ]
[杵] 공이 저 (공이, 방망이, 달구, 방패, 몽둥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마철저(磨鐵杵) : 쇠로 만든 다듬이 방망이를 갈아서 침을 만들려 한다는 뜻으로, 노력(努力)하면 아무리 힘든 목표(目標)라도 달성(達成)할 수 있음을 뜻함. [ (磨: 갈 마) (鐵: 쇠 철) (杵: 공이 저) ]
- 산저귀저(山底貴杵) : 산밑에서 절구공이가 귀하다는 뜻으로, 물건이 그 생산지(生産地)에서 도리어 더 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山: 메 산) (底: 밑 저) (貴: 귀할 귀) (杵: 공이 저) ]
- 혈류표저(血流漂杵) : 피가 흘러 공이를 띄운다는 뜻으로, 전쟁의 전사자가 많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血: 피 혈) (流: 흐를 류) (漂: 떠돌 표) (杵: 공이 저) ]
- 저손(杵孫) : 딸이 낳은 자식. 외손자와 외손녀를 이른다. [ (杵: 공이 저) (孫: 손자 손) ]
- 마저작침(磨杵作針) : 공이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깊이 연구하여 그치지 아니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磨: 갈 마) (杵: 공이 저) (作: 지을 작) (針: 바늘 침) ]
[貴] 귀할 귀 (귀하다, 귀히 여기다, 귀하게 되다, 자랑하다, 두려워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다천과귀(多賤寡貴) : 모든 상품(商品)은 다과(多寡)에 의(依)해서 그 값의 고하(高下)가 이루어짐. [ (多: 많을 다) (賤: 천할 천) (寡: 적을 과) (貴: 귀할 귀) ]
- 낙양지귀(洛陽紙貴) : 낙양의 종이가 귀해졌다는 뜻으로, (1) 문장(文章)이나 저서(著書)가 호평(好評)을 받아 잘 팔림을 이르는 말 (2) 쓴 글의 평판(評判)이 널리 알려짐(3) 혹은 저서(著書)가 많이 팔리는 것을 말할 때 쓰임. [ (陽: 볕 양) (紙: 종이 지) (貴: 귀할 귀) ]
- 귀각답천지(貴脚踏賤地) : 귀한 발로 천한 땅을 밟았다는 뜻으로, 누추한 곳에 잘 오셨다는 겸손한 인사말의 의미. [ (貴: 귀할 귀) (脚: 다리 각) (踏: 밟을 답) (賤: 천할 천) (地: 땅 지) ]
- 존비귀천(尊卑貴賤) : 사회적 지위나 신분의 높음과 낮음 또는 귀함과 천함. [ (尊: 높을 존) (卑: 낮을 비) (貴: 귀할 귀) (賤: 천할 천) ]
- 신출귀물(新出貴物) : 새로 나와서 흔하지 아니하고 귀한 물건. [ (新: 새 신) (出: 날 출) (貴: 귀할 귀) (物: 만물 물) ]
[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양두색이(兩豆塞耳) : 두 콩으로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콩알 두 알로도 귀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처럼 조그마한 것이 큰 지장을 초래함을 비유하여 주로 마음이 물욕에 가려지면 도리를 분별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豆: 콩 두) (塞: 막을 색) (耳: 귀 이) ]
- 자견이(自見耳) : 자기(自己)의 귀를 본다는 뜻으로, 귀가 큼을 이르는 말. [ (自: 스스로 자) (見: 볼 견) (耳: 귀 이) ]
- 제이면명(提耳面命) : 귀에 입을 가까이하고 얼굴을 맞대고 가르쳐 명함. 또는 간곡히 타이르고 가르침. [ (提: 끌 제) (耳: 귀 이) (面: 낯 면) (命: 목숨 명) ]
- 삼수갑산(三水甲山) :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 (三: 석 삼) (水: 물 수) (甲: 갑옷 갑) (山: 메 산) ]
- 조출모입(朝出暮入) : (1)날마다 아침에 일찍 나갔다가 저녁에 늦게 들어온다는 뜻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얼마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사물이 항상 바뀌어 정체됨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朝: 아침 조) (出: 날 출) (暮: 저물 모) (入: 들 입) ]
[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해륙진미(海陸珍味)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 (海: 바다 해) (陸: 뭍 륙) (珍: 보배 진) (味: 맛 미) ]
- 막막궁산(寞寞窮山) : 고요하고 쓸쓸한 느낌이 드는 깊은 산속. [ (寞: 쓸쓸할 막) (寞: 쓸쓸할 막) (窮: 다할 궁) (山: 메 산) ]
- 형산지옥(荊山之玉) :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荊: 모형나무 형) (山: 메 산) (之: 갈 지) (玉: 구슬 옥) ]
- 산고수청(山高水淸) : 산은 높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경치가 좋음을 이르는 말. [ (山: 메 산) (高: 높을 고) (水: 물 수) (淸: 맑을 청) ]
[공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우공이산(愚公移山) :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집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대대로 산의 흙을 파서 나르겠다고 하여 이에 감동한 하느님이 산을 옮겨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말이다. [ (愚: 어리석을 우) (公: 공변될 공) (移: 옮을 이) (山: 메 산) ]
- 산저귀저(山底貴杵) : 산밑에서 절구공이가 귀하다는 뜻으로, 물건이 그 생산지(生産地)에서 도리어 더 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山: 메 산) (底: 밑 저) (貴: 귀할 귀) (杵: 공이 저) ]
- 전패위공(轉敗爲功) : 실패가 바뀌어서 오히려 공이 됨. [ (轉: 구를 전) (敗: 패할 패) (爲: 할 위) (功: 공 공) ]
- 혈류표저(血流漂杵) : 피가 흘러 공이를 띄운다는 뜻으로, 전쟁의 전사자가 많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血: 피 혈) (流: 흐를 류) (漂: 떠돌 표) (杵: 공이 저) ]
- 전부지공(田父之功) : 농부의 공이라는 뜻으로, 쫓고 쫓기다 서로 지쳐 쓰러진 개와 토끼의 싸움에 제 삼자였던 농부가 둘 다 얻는 득을 본다는 의미. [ (田: 밭 전) (父: 아비 부) (之: 갈 지) (功: 공 공) ]
[귀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존비귀천(尊卑貴賤) : 사회적 지위나 신분의 높음과 낮음 또는 귀함과 천함. [ (尊: 높을 존) (卑: 낮을 비) (貴: 귀할 귀) (賤: 천할 천) ]
- 산저귀저(山底貴杵) : 산밑에서 절구공이가 귀하다는 뜻으로, 물건이 그 생산지(生産地)에서 도리어 더 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山: 메 산) (底: 밑 저) (貴: 귀할 귀) (杵: 공이 저) ]
- 식육부귀(食肉富貴) : 고기만 먹으며 누리는 부귀. [ (食: 밥 식) (肉: 고기 육) (富: 가멸 부) (貴: 귀할 귀) ]
- 화근본염(花根本艶) : 꽃은 뿌리부터 본래 예쁘다는 뜻으로, 아름다운 꽃은 그 뿌리부터 빛나는 것처럼 조상대대로 가문이 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花: 꽃 화) (根: 뿌리 근) (本: 밑 본) (艶: 고울 염) ]
[물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해륙진미(海陸珍味)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 (海: 바다 해) (陸: 뭍 륙) (珍: 보배 진) (味: 맛 미) ]
- 호상불육어(湖上不鬻魚) : 호수가에서는 물고기를 팔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이 많은 곳에서는 같은 물건을 파는 어리석은 짓은 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湖: 호수 호) (上: 위 상) (不: 아니 불) (鬻: 팔 육) (魚: 고기 어) ]
- 견물생심(見物生心) :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 (見: 볼 견) (物: 만물 물) (生: 날 생) (心: 마음 심) ]
- 조각(爪角) : 짐승의 발톱과 뿔이라는 뜻으로, 자신을 적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爪: 손톱 조) (角: 뿔 각) ]
- 양상화매(兩相和賣) : 파는 쪽과 사는 쪽이 서로 잘 의논하여서 물건을 팔고 삼. [ (相: 서로 상) (和: 고를 화) (賣: 팔 매) ]
[비유]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人: 사람 인) (鬼: 귀신 귀) (相: 서로 상) (半: 반 반) ]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風: 바람 풍) (木: 나무 목) (之: 갈 지) (悲: 슬플 비) ]
- 할계우도(割鷄牛刀)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割: 나눌 할) (鷄: 닭 계) (牛: 소 우) (刀: 칼 도) ]
- 거저척이(遽篨戚施) :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병이란 뜻으로, 오만(傲慢)하고 아첨(阿諂)하는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거저(遽篨)는 새가슴, 척이(戚施)는 곱사등이. [ (遽: 갑자기 거) (篨: 대자리 저) (戚: 겨레 척) (施: 옮을 이) ]
[절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취구지몽(炊臼之夢) : 절구에 밥을 짓는 꿈이라는 뜻으로, 솥이 없어 절구에 밥을 짓는 것인데, 釜(부)와 婦(부)의 음이 상통한 것에서 풀이한 것으로, 아내를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임. [ (炊: 불땔 취) (臼: 절구 구) (之: 갈 지) (夢: 꿈 몽) ]
- 산저귀저(山底貴杵) : 산밑에서 절구공이가 귀하다는 뜻으로, 물건이 그 생산지(生産地)에서 도리어 더 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山: 메 산) (底: 밑 저) (貴: 귀할 귀) (杵: 공이 저) ]
- 기승전결(起承轉結) : (1)한시에서, 시구를 구성하는 방법. 기는 시를 시작하는 부분, 승은 그것을 이어받아 전개하는 부분, 전은 시의를 한 번 돌리어 전환하는 부분, 결은 전체 시의(詩意)를 끝맺는 부분이다. 절구에서는 제1구가 기, 제2구가 승, 제3구가 전, 제4구가 결이고, 율시에서는 제1ㆍ2 구가 기, 제3ㆍ4 구가 승, 제5ㆍ6 구가 전, 제7ㆍ8 구가 결이 된다. (2)논설문 따위의 글을 짜임새 있게 짓는 형식. [ (起: 일어날 기) (承: 이을 승) (轉: 구를 전) (結: 맺을 결)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