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1월 2일 월요일

형수책아불감노원: 兄雖責我不敢怒怨

형수책아불감노원 (兄雖責我不敢怒怨) : 형이 비록 나를 꾸짖더라도 감(敢)히 성내고 원망(怨望)하지 말아야 함.



兄雖責我不敢怒怨 한자 뜻 풀이

  • 兄(맏 형) : 맏이, 하물며, 형, 두려워하다, 근심. 머리부분을 크게 강조한 사람의 모양으로 머리가 큰 것으로 '형'의 의미를 표현함
  • 雖(비록 수) : 비록, 짐승 이름, 원숭이와 비슷함, 만일, 하물며.
  • 責(꾸짖을 책) : 꾸짖다, 빚, 부채(負債), 바라다, 책임. 따져 밝힌다는 의미에서 꾸짖다, 책망, 바라다 등의 의미를 파생함
  • 我(나 아) : 나, 나의, 아집(我執), 굶주리다. 창과 같은 무기를 들고 있는 모양인데, 몸을 구부려 자신을 드러내는 의미[施身謂自]에서 '자신'의 의미를 파생함
  • 不(아니 불) : 아닌가, 크다, 새 이름, 의문사, 오디새.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敢(감히 감) : 감히, 감당하다, 굳세다, 감행하다, 날래다. 손으로 창을 가지고 간다는 의미에서 '무릅쓰다', '감히'의 의미 생성
  • 怒(성낼 노) : 성내다, 성, 힘쓰다, 꾸짖다, 세차다. 화가 나고 성이 난다는 의미. 奴(노)는 발음. '恕(서: 용서하다)'와 자형 구별에 유의
  • 怨(원망할 원) : 원망하다, 원수(怨讐), 원망, 힐책하다, 원한. 저녁에 사람이 구부리고 잠을 못 자는 심정으로 '원망하다'는 의미 생성


[不] 아니 불 (아닌가, 크다, 새 이름, 의문사, 오디새)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거기부정 획순 이미지 거기부정(擧棋不定)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 들 거) (: 바둑 기) (: 아닌가 부) (: 정할 정) ]
  • 백불일실(百不一失)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 (: 일백 백) (: 아니 불) (: 한 일) (: 잃을 실) ]
  • 회피부득(回避不得) : 피하고자 하여도 피할 수가 없음. [ (: 돌 회) (: 피할 피) (: 아닌가 부) (: 얻을 득) ]
  • 부답복철(不踏覆轍) :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 아닌가 부) (: 밟을 답) (: 뒤집힐 복) (: 바퀴 자국 철) ]

[兄] 맏 형 (맏이, 하물며, 형, 두려워하다, 근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형랑 획순 이미지 형랑(兄郞) : 언니의 남편을 이르는 말. [ (: 맏 형) (: 사내 랑) ]
  • 동복형(同腹兄) : 한 어머니에게서 난 형. [ (: 한가지 동) (: 배 복) (: 맏 형)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 형제자매우애이이(兄弟姉妹友愛而已) : 형제(兄弟)와 자매(姉妹)는 서로 우애(友愛)할 따름임. [ (: 맏 형) (: 아우 제) (: 손위누이 자) (: 누이 매) (: 벗 우) (: 사랑 애) (: 말 이을 이) (: 그칠 이) ]

[怒] 성낼 노 (성내다, 성, 힘쓰다, 꾸짖다, 세차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노발충관 획순 이미지 노발충관(怒髮衝冠) : 노하여 일어선 머리카락이 관을 추켜올린다는 뜻으로, 몹시 성이 난 모양을 이르는 말. [ (: 성낼 노) (: 터럭 발) (: 찌를 충) (: 갓 관) ]
  • 노기등천(怒氣登天) : '노기등천하다'의 어근. [ (: 성낼 노) (: 기운 기) (: 오를 등) (: 하늘 천) ]
  • 초목노생(草木怒生) : 봄이 되어 초목이 싱싱하게 싹이 틈. [ (: 풀 초) (: 나무 목) (: 성낼 노) (: 날 생) ]
  • 선거노마(鮮車怒馬) : 좋은 수레와 힘센 말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고울 선) (: 수레 거) (: 성낼 노) (: 말 마) ]

[怨] 원망할 원 (원망하다, 원수(怨讐), 원망, 힐책하다, 원한)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여원여소 획순 이미지 여원여소(如怨如訴) : 원망하는 것 같기도 하고 하소연하는 것 같기도 함. [ (: 같을 여) (: 원망할 원) (: 같을 여) (: 하소연할 소) ]
  • 원입골수(怨入骨髓) : 원한이 골수에 사무친다는 뜻으로, 몹시 원망함을 이르는 말. ≪사기≫ <진본기(秦本記)>에 나오는 말이다. [ (: 원망할 원) (: 들 입) (: 뼈 골) (: 골수 수) ]
  • 철천지원수(徹天之怨讐) : 하늘에 사무치도록 한이 맺히게 한 원수. [ (: 통할 철) (: 하늘 천) (: 갈 지) (: 원망할 원) (: 원수 수) ]
  • 여원여모(如怨如慕) : 원망하는 것 같기도 하고 사모하는 것 같기도 함. [ (: 같을 여) (: 원망할 원) (: 같을 여) (: 그리워할 모) ]
  • 탐자원지본(貪者怨之本) : 무엇을 탐한다는 것은 남의 원한(怨恨)을 사는 근본(根本)임. [ (: 탐할 탐) (: 놈 자) (: 원망할 원) (: 갈 지) (: 밑 본) ]

[我] 나 아 (나, 나의, 아집(我執), 굶주리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면찬아선첨유지인 획순 이미지 면찬아선첨유지인(面讚我善諂諛之人) : 면전(面前)에서 나를 착하다고 칭찬(稱讚)하는 사람이라면 아첨(阿諂)하는 사람임. [ (: 낯 면) (: 기릴 찬) (: 나 아) (: 착할 선) (: 아첨할 첨) (: 알랑거릴 유) (: 갈 지) (: 사람 인) ]
  • 복이회아유이포아(腹以懷我乳以哺我) : 배로써 나를 품어 주시고 젖으로써 나를 먹이심. [ (: 배 복) (: 써 이) (: 품을 회) (: 나 아) (: 젖 유) (: 써 이) (: 먹일 포) (: 나 아) ]
  • 망아지경(忘我之境) : 어떤 사물에 마음을 빼앗겨 자기 자신을 잊어버리는 경지. [ (: 잊을 망) (: 나 아) (: 갈 지) (: 지경 경)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 나 아) (: 미칠 급) (: 맏 형) (: 아우 제) (: 한가지 동) (: 받을 수) (: 친할 친) (: 피 혈) ]
  • 아예서직(我藝黍稷) : 나는 기장과 피를 심는 일에 열중(熱中)함. [ (: 나 아) (: 재주 예) (: 기장 서) (: 기장 직) ]

[敢] 감히 감 (감히, 감당하다, 굳세다, 감행하다, 날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감언지지 획순 이미지 감언지지(敢言之地) : 거리낌 없이 말할 만한 자리나 처지. [ (: 감히 감) (: 말씀 언) (: 갈 지) (: 땅 지) ]
  • 언감생심(焉敢生心) : 어찌 감히 그런 마음을 품을 수 있겠냐는 뜻으로, 전혀 그런 마음이 없었음을 이르는 말. [ (: 어찌 언) (: 감히 감) (: 날 생) (: 마음 심) ]
  • 형수책아불감노원(兄雖責我不敢怒怨) : 형이 비록 나를 꾸짖더라도 감(敢)히 성내고 원망(怨望)하지 말아야 함. [ (: 맏 형) (: 비록 수) (: 꾸짖을 책) (: 나 아) (: 아니 불) (: 감히 감) (: 성낼 노) (: 원망할 원) ]

[責] 꾸짖을 책 (꾸짖다, 빚, 부채(負債), 바라다, 책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제수유과수물성책 획순 이미지 제수유과수물성책(弟雖有過須勿聲責) : 아우에게 비록 허물이 있더라도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않음. [ (: 아우 제) (: 비록 수) (: 있을 유) (: 지날 과) (: 모름지기 수) (: 말 물) (: 소리 성) (: 꾸짖을 책) ]
  • 책기지심(責己之心) : 스스로 제 허물을 꾸짖는 마음. [ (: 꾸짖을 책) (: 몸 기) (: 갈 지) (: 마음 심) ]
  • 형수책아불감노원(兄雖責我不敢怒怨) : 형이 비록 나를 꾸짖더라도 감(敢)히 성내고 원망(怨望)하지 말아야 함. [ (: 맏 형) (: 비록 수) (: 꾸짖을 책) (: 나 아) (: 아니 불) (: 감히 감) (: 성낼 노) (: 원망할 원) ]
  • 무족가책(無足可責) : 사람의 됨됨이가 가히 책망을 할 가치조차 없음. [ (: 없을 무) (: 발 족) (: 옳을 가) (: 꾸짖을 책) ]
  • 부모책지물노물답(父母責之勿怒勿答) : 부모(父母)님께서 꾸짖으실지라도 성내지 말고 말대답(-對答)을 하지말아야 함. [ (: 아비 부) (: 어미 모) (: 꾸짖을 책) (: 갈 지) (: 말 물) (: 성낼 노) (: 말 물) (: 대답할 답) ]

[雖] 비록 수 (비록, 짐승 이름, 원숭이와 비슷함, 만일, 하물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제수유과수물성책 획순 이미지 제수유과수물성책(弟雖有過須勿聲責) : 아우에게 비록 허물이 있더라도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않음. [ (: 아우 제) (: 비록 수) (: 있을 유) (: 지날 과) (: 모름지기 수) (: 말 물) (: 소리 성) (: 꾸짖을 책) ]
  • 형수책아불감노원(兄雖責我不敢怒怨) : 형이 비록 나를 꾸짖더라도 감(敢)히 성내고 원망(怨望)하지 말아야 함. [ (: 맏 형) (: 비록 수) (: 꾸짖을 책) (: 나 아) (: 아니 불) (: 감히 감) (: 성낼 노) (: 원망할 원) ]
  • 사기음식금수지류(私其飮食禽雖之類) : 형제(兄弟) 간(間)에 음식(飮食)을 사사(私事)로이 한다면 새나 짐승의 무리와 같음. [ (: 사사 사) (: 그 기) (: 마실 음) (: 밥 식) (: 날짐승 금) (: 비록 수) (: 갈 지) (: 무리 류) ]
  • 학경수장단지즉비(鶴脛雖長斷之則悲) : 학의 다리가 길다고 끓으면 학은 슬퍼할 것이라는 뜻으로, 천부의 특징(特徵)을 부질없이 가감할 것이 아님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 학 학) (: 정강이 경) (: 비록 수) (: 길 장) (: 끊을 단) (: 갈 지) (: 곧 즉) (: 슬플 비) ]

[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칠보지재 획순 이미지 칠보지재(七步之才)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일곱 칠) (: 걸을 보) (: 갈 지) (: 재주 재) ]
  • 난백난중(難伯難仲) : 누가 맏형이고 누가 둘째 형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비교되는 대상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 (: 어려울 난) (: 맏 백) (: 어려울 난) (: 버금 중) ]
  • 형산지옥(荊山之玉) : (1)중국 형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모형나무 형) (: 메 산) (: 갈 지) (: 구슬 옥) ]
  • 동복형(同腹兄) : 한 어머니에게서 난 형. [ (: 한가지 동) (: 배 복) (: 맏 형) ]
  • 형무의복제필헌지(兄無衣服弟必獻之) : 형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 (: 맏 형) (: 없을 무) (: 옷 의) (: 옷 복) (: 아우 제) (: 반드시 필) (: 바칠 헌) (: 갈 지) ]

[원망]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여원여소 획순 이미지 여원여소(如怨如訴) : 원망하는 것 같기도 하고 하소연하는 것 같기도 함. [ (: 같을 여) (: 원망할 원) (: 같을 여) (: 하소연할 소) ]
  • 원입골수(怨入骨髓) : 원한이 골수에 사무친다는 뜻으로, 몹시 원망함을 이르는 말. ≪사기≫ <진본기(秦本記)>에 나오는 말이다. [ (: 원망할 원) (: 들 입) (: 뼈 골) (: 골수 수) ]
  • 여원여모(如怨如慕) : 원망하는 것 같기도 하고 사모하는 것 같기도 함. [ (: 같을 여) (: 원망할 원) (: 같을 여) (: 그리워할 모) ]
  • 극벌원욕(克伐怨慾) : 이기고자 하며, 제 자랑하기를 좋아하며, 원망하고 화를 내며, 탐욕하는 네 가지 나쁜 행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이길 극) (: 칠 벌) (: 원망할 원) (: 욕심 욕) ]
  • 형수책아불감노원(兄雖責我不敢怒怨) : 형이 비록 나를 꾸짖더라도 감(敢)히 성내고 원망(怨望)하지 말아야 함. [ (: 맏 형) (: 비록 수) (: 꾸짖을 책) (: 나 아) (: 아니 불) (: 감히 감) (: 성낼 노) (: 원망할 원) ]

wordrow.kr에 접속하여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최근 게시물.

Privacy Policy

  Privacy Policy WORDROW built the wordrow.kr as an Ad Supported website. This SERVICE is provided by WORDROW at no cost and is intended for...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