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노난범 (衆怒難犯) :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衆怒難犯 한자 뜻 풀이
- 衆(무리 중) : 무리, 땅, 차조, 메뚜기, 많다. 갑골문에서는 태양 아래에서 많은 사람들이 일을 하는 의미로 보아 '많다', '무리' 등의 뜻을 생성함
- 怒(성낼 노) : 성내다, 성, 힘쓰다, 꾸짖다, 세차다. 화가 나고 성이 난다는 의미. 奴(노)는 발음. '恕(서: 용서하다)'와 자형 구별에 유의
- 難(어려울 난) : 어렵다, 잎이 우거진 모양, 나무가 우거지다, 근심, 곤란함. 여자가 북을 치면서 전쟁을 알리는 모양으로, 어려움이 시작되었다는 의미인데, 후에 '女' 대신에 '새(추)'자를 사용하게 됨
- 犯(범할 범) : 범하다, 죄, 죄인(罪人), 변조(變調)의 사곡(詞曲) 이름, 법령을 거역한 죄. 사나운 개가 사람을 지키고 있는 모양에서 '범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怒] 성낼 노 (성내다, 성, 힘쓰다, 꾸짖다, 세차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노발충관(怒髮衝冠) : 노하여 일어선 머리카락이 관을 추켜올린다는 뜻으로, 몹시 성이 난 모양을 이르는 말. [ (怒: 성낼 노) (髮: 터럭 발) (衝: 찌를 충) (冠: 갓 관) ]
- 노기등천(怒氣登天) : '노기등천하다'의 어근. [ (怒: 성낼 노) (氣: 기운 기) (登: 오를 등) (天: 하늘 천) ]
- 초목노생(草木怒生) : 봄이 되어 초목이 싱싱하게 싹이 틈. [ (草: 풀 초) (木: 나무 목) (怒: 성낼 노) (生: 날 생) ]
- 선거노마(鮮車怒馬) : 좋은 수레와 힘센 말을 아울러 이르는 말. [ (鮮: 고울 선) (車: 수레 거) (怒: 성낼 노) (馬: 말 마) ]
- 중노난범(衆怒難犯) :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 (衆: 무리 중) (怒: 성낼 노) (難: 어려울 난) (犯: 범할 범) ]
[犯] 범할 범 (범하다, 죄, 죄인(罪人), 변조(變調)의 사곡(詞曲) 이름, 법령을 거역한 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중노난범(衆怒難犯) :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 (衆: 무리 중) (怒: 성낼 노) (難: 어려울 난) (犯: 범할 범) ]
- 추호불범(秋毫不犯) : 매우 청렴하여 남의 것을 조금도 건드리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秋: 가을 추) (毫: 가는 털 호) (不: 아니 불) (犯: 범할 범) ]
- 간명범의(干名犯義) : 명분을 거스르고 의리를 어기는 행위. [ (干: 방패 간) (名: 이름 명) (犯: 범할 범) (義: 옳을 의) ]
- 방외범색(房外犯色) : 자기 아내 이외의 여자와 육체관계를 맺음. [ (房: 방 방) (外: 바깥 외) (犯: 범할 범) (色: 빛 색) ]
- 범금팔조(犯禁八條) : 고조선 때에 시행한 여덟 가지의 금법(禁法). 살인자는 죽이고, 남을 다치게 한 자는 곡물로 배상하며, 도둑질을 한 자는 종으로 삼는다는 따위의 세 조항이 전한다. [ (犯: 범할 범) (禁: 금할 금) (八: 여덟 팔) (條: 가지 조) ]
[衆] 무리 중 (무리, 땅, 차조, 메뚜기, 많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효수경중(梟首警衆) :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은 곳에 매달아 놓아 뭇사람을 경계하던 일. [ (梟: 올빼미 효) (首: 머리 수) (警: 경계할 경) (衆: 무리 중) ]
- 득중득국(得衆得國) : 대중을 얻으면 나라를 얻는다는 뜻으로, 대중의 마음을 얻으면 나라도 얻을 수 있다는 의미. [ (得: 얻을 득) (衆: 무리 중) (得: 얻을 득) (國: 나라 국) ]
- 대중공양(大衆供養) : 신자(信者)가 여러 승려에게 음식을 차려 대접하는 일. [ (大: 큰 대) (衆: 무리 중) (供: 이바지할 공) (養: 기를 양) ]
- 무연중생(無緣衆生) : 불보살과 인연을 맺은 일이 없는 중생. [ (無: 없을 무) (緣: 가선 연) (衆: 무리 중) (生: 날 생) ]
- 중노난범(衆怒難犯) :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 (衆: 무리 중) (怒: 성낼 노) (難: 어려울 난) (犯: 범할 범) ]
[難] 어려울 난 (어렵다, 잎이 우거진 모양, 나무가 우거지다, 근심, 곤란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난백난중(難伯難仲) : 누가 맏형이고 누가 둘째 형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비교되는 대상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 (難: 어려울 난) (伯: 맏 백) (難: 어려울 난) (仲: 버금 중) ]
- 난언지경(難言之境) : 밝혀 말하기 어려운 경우나 처지. [ (難: 어려울 난) (言: 말씀 언) (之: 갈 지) (境: 지경 경) ]
- 난의문답(難疑問答) : 어렵고 의심스러운 것을 서로 묻고 대답함. [ (難: 어려울 난) (疑: 의심할 의) (問: 물을 문) (答: 대답할 답) ]
- 화소성미청조제루난간(花笑聲未聽鳥啼淚難看) : 꽃은 웃으나 소리는 들리지 않고, 새는 우나 눈물은 보기가 어려움. [ (花: 꽃 화) (笑: 웃을 소) (聲: 소리 성) (未: 아닐 미) (聽: 들을 청) (鳥: 새 조) (啼: 울 제) (淚: 눈물 루) (難: 어려울 난) (看: 볼 간) ]
- 소제양난(笑啼兩難) : 웃거나 울기가 둘 다 어렵다는 뜻으로,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모를 정도로 기쁜 일과 슬픈 일이 함께 닥치는 상황을 이르는 말. [ (笑: 웃을 소) (啼: 울 제) (難: 어려울 난) ]
[군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중노난범(衆怒難犯) :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 (衆: 무리 중) (怒: 성낼 노) (難: 어려울 난) (犯: 범할 범) ]
- 입추지지(立錐之地) : (1)'입추지지'의 북한어. (2)송곳 하나 세울 만한 땅이란 뜻으로, 매우 좁아 조금의 여유도 없음을 이르는 말. [ (錐: 송곳 추) (之: 갈 지) (地: 땅 지) ]
- 좌단(左袒) : 왼쪽 소매를 벗는다는 뜻으로, 남을 편들어 동의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한(前漢) 때에, 여후(呂后)가 반란을 꾀할 때 공신 주발(周勃)이 군중(軍中)에서, 여후를 돕고자 하는 자는 오른쪽 소매를 벗고 한나라 왕실을 돕고자 하는 자는 왼쪽 소매를 벗으라고 명하자 모두 왼쪽 소매를 벗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여후본기(呂后本紀)>에 나오는 말이다. [ (左: 왼 좌) (袒: 웃통 벗을 단) ]
- 오합지졸(烏合之卒) : 까마귀가 모인 것처럼 질서가 없이 모인 병졸이라는 뜻으로, 임시로 모여들어서 규율이 없고 무질서한 병졸 또는 군중을 이르는 말. [ (烏: 까마귀 오) (合: 합할 합) (之: 갈 지) (卒: 군사 졸) ]
[대중]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효수경중(梟首警衆) :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은 곳에 매달아 놓아 뭇사람을 경계하던 일. [ (梟: 올빼미 효) (首: 머리 수) (警: 경계할 경) (衆: 무리 중) ]
- 득중득국(得衆得國) : 대중을 얻으면 나라를 얻는다는 뜻으로, 대중의 마음을 얻으면 나라도 얻을 수 있다는 의미. [ (得: 얻을 득) (衆: 무리 중) (得: 얻을 득) (國: 나라 국) ]
- 중노난범(衆怒難犯) :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 (衆: 무리 중) (怒: 성낼 노) (難: 어려울 난) (犯: 범할 범) ]
- 인언이박(仁言利博) : 어진 말은 이로움이 넓다는 뜻으로, 인덕(仁德)이 있는 사람의 말은 널리 대중에게까지 이익을 미친다는 의미. [ (仁: 어질 인) (言: 말씀 언) (博: 넓을 박) ]
- 갈식(喝食) : (1)선원에서, 식사 때에 대중들에게 탕과 반찬의 종류를 알리는 소임. (2)선원에서, 식사 때에 심부름하는 아이. [ (喝: 꾸짖을 갈) (食: 밥 식) ]
[분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중노난범(衆怒難犯) :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 (衆: 무리 중) (怒: 성낼 노) (難: 어려울 난) (犯: 범할 범) ]
- 천인공노(天人共怒) : 하늘과 사람이 함께 노한다는 뜻으로, 누구나 분노할 만큼 증오스럽거나 도저히 용납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天: 하늘 천) (人: 사람 인) (共: 함께 공) (怒: 성낼 노) ]
[사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人: 사람 인) (鬼: 귀신 귀) (相: 서로 상) (半: 반 반) ]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天: 하늘 천) (方: 모 방) (地: 땅 지) (方: 모 방) ]
-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殺: 죽일 살) (活: 살 활) (之: 갈 지) (權: 저울추 권) ]
- 혼비중천(魂飛中天)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魂: 넋 혼) (飛: 날 비) (中: 가운데 중) (天: 하늘 천) ]
[노여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중노난범(衆怒難犯) :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 (衆: 무리 중) (怒: 성낼 노) (難: 어려울 난) (犯: 범할 범) ]
- 역린(逆鱗) : 임금의 노여움을 이르는 말. 용의 턱 아래에 거꾸로 난 비늘을 건드리면 용이 크게 노하여 건드린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한비자≫의 <세난편(說難編)>에서 유래한다. [ (逆: 거스를 역) (鱗: 비늘 린) ]
- 노갑을이(怒甲乙移) : 갑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을에게 옮긴다는 뜻으로, 어떠한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애꿎은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을 이르는 말. [ (怒: 성낼 노) (甲: 갑옷 갑) (乙: 새 을) (移: 옮을 이) ]
- 노갑이을(怒甲移乙) : 갑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을에게 옮긴다는 뜻으로, 어떠한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애꿎은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함을 이르는 말. [ (怒: 성낼 노) (甲: 갑옷 갑) (移: 옮을 이) (乙: 새 을) ]
- 적원심노(積怨深怒) : 오래 쌓이고 쌓인 원망과 마음속 깊이 맺힌 노여움. [ (積: 쌓을 적) (怨: 원망할 원) (深: 깊을 심) (怒: 성낼 노) ]
[어려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난백난중(難伯難仲) : 누가 맏형이고 누가 둘째 형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비교되는 대상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 (難: 어려울 난) (伯: 맏 백) (難: 어려울 난) (仲: 버금 중) ]
- 현가불철(絃歌不輟) :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 (絃: 악기줄 현) (歌: 노래 가) (不: 아니 불) (輟: 그칠 철) ]
- 화소성미청조제루난간(花笑聲未聽鳥啼淚難看) : 꽃은 웃으나 소리는 들리지 않고, 새는 우나 눈물은 보기가 어려움. [ (花: 꽃 화) (笑: 웃을 소) (聲: 소리 성) (未: 아닐 미) (聽: 들을 청) (鳥: 새 조) (啼: 울 제) (淚: 눈물 루) (難: 어려울 난) (看: 볼 간) ]
- 간두지세(竿頭之勢) : 대막대기 끝에 선 형세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형세를 이르는 말. [ (竿: 장대 간) (頭: 머리 두) (之: 갈 지) (勢: 기세 세)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