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석친구 (長席親舊) : 골목 어귀의 길가에 모여 막벌이를 하는 사람.
長席親舊 한자 뜻 풀이
- 長(길 장) : 길다, 어른, 성인(成人), 길이, 늘이다. 늙은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머리를 길게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에서 '길다', '오래다'는 뜻을 나타냄
- 席(자리 석) : 자리, 깔다, 앉음, 베풀다, 의뢰하다. 천[巾(건)]을 이용해 바닥에 까는 '자리'의 의미를 생성하고, 후에 '지위'의 의미까지 확대됨
- 親(친할 친) : 친하다, 화목하다, 친히, 몸소 하다, 자애(慈愛). 돌보아 줄 수 있는 사람의 의미에서 '어버이'와 '친하다', '몸소' 등의 의미 도출
- 舊(옛 구) : 옛, 묵다, 오래다, 오래도록, 예로부터. 본래 야행성 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오래 사는 것으로 인해 '옛'의 의미 생성
[席] 자리 석 (자리, 깔다, 앉음, 베풀다, 의뢰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좌불안석(坐不安席) : 앉아도 자리가 편안하지 않다는 뜻으로, 마음이 불안하거나 걱정스러워서 한군데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안절부절못하는 모양을 이르는 말. [ (坐: 앉을 좌) (不: 아니 불) (安: 편안할 안) (席: 자리 석) ]
- 장석친구(長席親舊) : 골목 어귀의 길가에 모여 막벌이를 하는 사람. [ (長: 길 장) (席: 자리 석) (親: 친할 친) (舊: 옛 구) ]
- 여좌침석(如坐針席) : 바늘방석에 앉은 것 같다는 뜻으로, 몹시 거북하고 불안함을 이르는 말. [ (如: 같을 여) (坐: 앉을 좌) (針: 바늘 침) (席: 자리 석) ]
- 사연설석(肆筵設席) : 자리를 베풀고 돗자리를 베푸니 연회(宴會)하는 좌석(座席)임. [ (肆: 방자할 사) (筵: 대자리 연) (設: 베풀 설) (席: 자리 석) ]
[舊] 옛 구 (옛, 묵다, 오래다, 오래도록, 예로부터)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송구영신(送舊迎新) :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 (送: 보낼 송) (舊: 옛 구) (迎: 맞을 영) (新: 새 신) ]
- 장석친구(長席親舊) : 골목 어귀의 길가에 모여 막벌이를 하는 사람. [ (長: 길 장) (席: 자리 석) (親: 친할 친) (舊: 옛 구) ]
- 구관명관(舊官名官) : 옛 관리가 명 관리라는 뜻으로, 먼저 있었던 관리가 더 훌륭하다는 의미에서, 아무래도 오랜 경험을 쌓은 사람이 낫다는 의미로 활용됨. [ (舊: 옛 구) (官: 벼슬 관) (名: 이름 명) (官: 벼슬 관) ]
[親] 친할 친 (친하다, 화목하다, 친히, 몸소 하다, 자애(慈愛))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당내지친(堂內至親) :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 (堂: 집 당) (內: 안 내) (至: 이를 지) (親: 친할 친) ]
- 친모(親母) : 자기를 낳은 어머니. [ (親: 친할 친) (母: 어미 모) ]
- 아급형제동수친혈(我及兄弟同受親血) :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我: 나 아) (及: 미칠 급) (兄: 맏 형) (弟: 아우 제) (同: 한가지 동) (受: 받을 수) (親: 친할 친) (血: 피 혈) ]
- 대의멸친(大義滅親) : 큰 도리를 지키기 위하여 부모나 형제도 돌아보지 않음. [ (大: 큰 대) (義: 옳을 의) (滅: 멸망할 멸) (親: 친할 친) ]
- 어수친(魚水親) : (1)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라는 뜻으로,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의 친밀함을 이르는 말. [ (魚: 고기 어) (水: 물 수) (親: 친할 친) ]
[長] 길 장 (길다, 어른, 성인(成人), 길이, 늘이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장유유서(長幼有序) : 오륜(五倫)의 하나.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 (長: 길 장) (幼: 어릴 유) (有: 있을 유) (序: 차례 서) ]
- 장장추야(長長秋夜) : 기나긴 가을밤. [ (長: 길 장) (長: 길 장) (秋: 가을 추) (夜: 밤 야) ]
- 단지고초장통시구리래(短池孤草長通市求利來) : 짧은 연못엔 외로운 풀만 길어나고, 시장(市場)을 통(通)하니 이익(利益)을 구(求)하여 옴. [ (短: 짧을 단) (池: 못 지) (孤: 외로울 고) (草: 풀 초) (長: 길 장) (通: 통할 통) (市: 저자 시) (求: 구할 구) (利: 날카로울 리) (來: 올 래) ]
- 장원지계(長遠之計) : 먼 앞날에 대한 계획. [ (長: 길 장) (遠: 멀 원) (之: 갈 지) (計: 셀 계) ]
[길]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풍목지비(風木之悲)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風: 바람 풍) (木: 나무 목) (之: 갈 지) (悲: 슬플 비) ]
- 개과천선(改過遷善)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改: 고칠 개) (過: 지날 과) (遷: 옮길 천) (善: 착할 선) ]
- 변통무로(變通無路) : 변통(變通)할 만한 길이 없음. [ (變: 변할 변) (通: 통할 통) (無: 없을 무) (路: 길 로) ]
- 미도지반(迷途知反) : 길을 잃으면 돌아올 줄 안다는 뜻으로, 바른 길을 찾다가 못 찾으면 근본에서 다시 생각할 줄을 안다는 의미. [ (迷: 미혹할 미) (途: 길 도) (知: 알 지) (反: 돌이킬 반) ]
- 대마불사(大馬不死) : 바둑에서, 대마가 결국은 살길이 생겨 쉽게 죽지 않는 일. [ (大: 큰 대) (馬: 말 마) (不: 아니 불) (死: 죽을 사) ]
[거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지호지간(指呼之間) : 손짓하여 부를 만큼 가까운 거리. [ (指: 손가락 지) (呼: 부를 호) (之: 갈 지) (間: 틈 간) ]
- 불야성(不夜城)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不: 아니 불) (夜: 밤 야) (城: 성 성) ]
- 자구지단(藉口之端) : 핑계로 내세울 만한 거리. [ (藉: 깔개 자) (口: 입 구) (之: 갈 지) (端: 바를 단) ]
- 암구명촉(暗衢明燭) : 어두운 거리에 밝은 등불이라는 뜻으로, 삶의 가르침을 주는 책을 이르는 말. [ (暗: 어두울 암) (衢: 네거리 구) (明: 밝을 명) (燭: 촛불 촉) ]
[길가]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축실도모(築室道謀) : 집을 짓는데 길손에게 묻는다는 뜻으로, 집을 지으면서 길가는 사람들에게 방법을 물으니 사람마다 딴소리를 하여 집을 완성하지 못했다는 것에서, 쓸데없는 의논을 하여 실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築: 쌓을 축) (室: 집 실) (道: 길 도) (謀: 꾀할 모) ]
- 도모시용(道謀是用) : 길에서 도모하기 때문이라는 뜻으로, 길가에 집을 짓는데, 길 가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짓는 것이 좋을까 상의하면 구구한 의견으로 제대로 완성할 수 없는 것처럼 주견(主見) 없이 남의 의견만 쫓으면 일을 성취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作舍道傍(작사도방)]. [ (道: 길 도) (謀: 꾀할 모) (是: 옳을 시) (用: 쓸 용) ]
- 장석친구(長席親舊) : 골목 어귀의 길가에 모여 막벌이를 하는 사람. [ (長: 길 장) (席: 자리 석) (親: 친할 친) (舊: 옛 구) ]
- 노류장화(路柳墻花) : 길가의 버드나무와 담장의 꽃이라는 뜻으로, 누구라도 꺾을 수 있는 버드나무나 꽃 같은 창부(娼婦)를 의미. [ (柳: 버들 류) (墻: 담 장) (花: 꽃 화) ]
- 도측기보(道側奇寶) : 길가에 떨어져 있는 진귀한 보화라는 뜻으로, 민간에 파묻혀 있는 현사(賢士)를 비유하는 말. [ (道: 길 도) (側: 곁 측) (奇: 기이할 기) (寶: 보배 보) ]
[벌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장석친구(長席親舊) : 골목 어귀의 길가에 모여 막벌이를 하는 사람. [ (長: 길 장) (席: 자리 석) (親: 친할 친) (舊: 옛 구) ]
- 당벌(黨閥) : (1)같은 무리의 사람들이 힘을 합하여 다른 무리의 사람들을 배척할 목적으로 뭉친 당파. (2)일의 옳고 그름은 따지지 않고 뜻이 같은 무리끼리는 서로 돕고 그렇지 않은 무리는 배척함. [ (黨: 무리 당) (閥: 공훈 벌) ]
- 화홍황봉료초록백마시(花紅黃蜂鬧草綠白馬嘶) : 꽃이 붉으니 누런 벌이 시끄럽고, 풀이 푸르니 흰 말이 움. [ (花: 꽃 화) (紅: 붉을 홍) (黃: 누를 황) (蜂: 벌 봉) (鬧: 시끄러울 료) (草: 풀 초) (綠: 초록빛 록) (白: 흰 백) (馬: 말 마) (嘶: 울 시) ]
- 접분봉황(蝶粉蜂黃) : 나비 날개의 흰 가루와 벌의 누런빛이라는 뜻으로, 나비가 교미하면 그 가루를 잃고 벌이 교미하면 그 누런빛이 스러짐을 이르는 말. [ (蝶: 나비 접) (粉: 가루 분) (蜂: 벌 봉) (黃: 누를 황) ]
[사람]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인귀상반(人鬼相半)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人: 사람 인) (鬼: 귀신 귀) (相: 서로 상) (半: 반 반) ]
- 천방지방(天方地方)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天: 하늘 천) (方: 모 방) (地: 땅 지) (方: 모 방) ]
- 살활지권(殺活之權)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殺: 죽일 살) (活: 살 활) (之: 갈 지) (權: 저울추 권) ]
- 혼비중천(魂飛中天)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魂: 넋 혼) (飛: 날 비) (中: 가운데 중) (天: 하늘 천) ]
- 삼익우(三益友)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三: 석 삼) (益: 더할 익) (友: 벗 우) ]
[길거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가동주졸(街童走卒) : 길거리에서 노는 철없는 아이들이나 떠돌아다니는 사람들. [ (街: 거리 가) (童: 아이 동) (走: 달릴 주) (卒: 군사 졸) ]
- 장석친구(長席親舊) : 골목 어귀의 길가에 모여 막벌이를 하는 사람. [ (長: 길 장) (席: 자리 석) (親: 친할 친) (舊: 옛 구) ]
- 강구연월(康衢煙月) : 번화한 큰 길거리에서 달빛이 연기에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로,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을 이르는 말. [ (康: 편안할 강) (衢: 네거리 구) (煙: 연기 연) (月: 달 월) ]
- 가담(街談) : 길거리에 떠도는 말이나 화젯거리. [ (街: 거리 가) (談: 말씀 담) ]
- 도청도설(道聽塗說) :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한다는 뜻으로, 길거리에 퍼져 돌아다니는 뜬소문을 이르는 말. ≪논어≫의 <양화편(陽貨篇)>에 나오는 말이다. [ (道: 길 도) (聽: 들을 청) (塗: 진흙 도) (說: 말씀 설) ]
[막벌이]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담부지역(擔負之役) : (1)막벌이 일. (2)짐을 지는 일. [ (擔: 멜 담) (負: 질 부) (之: 갈 지) (役: 부릴 역) ]
- 장석친구(長席親舊) : 골목 어귀의 길가에 모여 막벌이를 하는 사람. [ (長: 길 장) (席: 자리 석) (親: 친할 친) (舊: 옛 구)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