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숙정 (綱紀肅正) :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綱紀肅正 한자 뜻 풀이
- 綱(벼리 강) : 벼리, 줄을 치다, 통괄(統括)하다, 비끄러매다, 줄.
- 紀(벼리 기) : 벼리, 인도(人道), 사북, 실마리를 잡다, 실마리. 그물의 '벼리줄' 의미에서 '근본' '기강' 등의 의미로 확대됨
- 肅(엄숙할 숙) : 엄숙하다, 공경하다, 정중(鄭重)하다, 경계하다, 가지런하다.
- 正(바를 정) : 바르다, 정월, 바르게 하다, 예기(豫期)하다, 듣다. 어떤 특정 지역[一]을 공격해 들어간다[止]는 의미에서 '바로잡다'는 뜻에서 '바르다'는 의미 생성. 혹은 하나의 원칙에 모든 행동을 그친다는 의미에서 '바르다'는 뜻으로 설명하기도 함
[正] 바를 정 (바르다, 정월, 바르게 하다, 예기(豫期)하다, 듣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정합오의(正合吾意) : 나의 뜻에 딱 들어맞음. [ (正: 바를 정) (合: 합할 합) (吾: 나 오) (意: 뜻 의) ]
- 형단표정(形端表正) : 몸 형상(形像)이 단정(端正)하고 깨끗하면 마음도 바르며 또 겉으로도 나타남. [ (形: 형상 형) (端: 바를 단) (表: 겉 표) (正: 바를 정) ]
- 정송오죽(正松五竹) : 소나무는 정월에 옮겨 심고, 대나무는 오월에 옮겨 심어야 잘 산다는 말. [ (正: 바를 정) (松: 솔 송) (五: 다섯 오) (竹: 대 죽) ]
- 정경대원(正經大原) : 바른길과 큰 원칙. [ (正: 바를 정) (經: 지날 경) (大: 큰 대) (原: 언덕 원) ]
- 무상정각(無上正覺) :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부처의 깨달음. [ (無: 없을 무) (上: 위 상) (正: 바를 정) (覺: 깨달을 각) ]
[紀] 벼리 기 (벼리, 인도(人道), 사북, 실마리를 잡다, 실마리)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망유기극(罔有紀極) : 기율(紀律)에 어그러짐이 매우 심함. [ (罔: 그물 망) (有: 있을 유) (紀: 벼리 기) (極: 다할 극) ]
- 강기숙정(綱紀肅正) :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 (綱: 벼리 강) (紀: 벼리 기) (肅: 엄숙할 숙) (正: 바를 정) ]
- 풍기문란(風紀紊亂) : 풍속이나 규범 따위를 어기고 어지럽히는 일. [ (風: 바람 풍) (紀: 벼리 기) (紊: 어지러울 문) (亂: 어지러울 란) ]
[綱] 벼리 강 (벼리, 줄을 치다, 통괄(統括)하다, 비끄러매다, 줄)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부위자강(父爲子綱) : 삼강(三綱)의 하나.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 (父: 아비 부) (爲: 할 위) (子: 아들 자) (綱: 벼리 강) ]
- 약망재강유조불문(若網在綱有條不紊) : 망(網)은 여러 가닥의 실을 떠서 만들어 풀어지기 쉬우나 한 가닥의 벼리로 위쪽 코를 꿰매면 조금도 흩어지지 않는다는 말. [ (若: 같을 약) (網: 그물 망) (在: 있을 재) (綱: 벼리 강) (有: 있을 유) (條: 가지 조) (不: 아니 불) (紊: 어지러울 문) ]
- 부식강상(扶植綱常) : 인륜(人倫)의 길을 바로 세움. [ (扶: 도울 부) (植: 심을 식) (綱: 벼리 강) (常: 항상 상) ]
- 강상죄인(綱常罪人) : 예전에, 삼강오상(三綱五常)에 어긋나는 행위를 한 죄인을 이르던 말. 부모나 남편을 죽인 자, 노비로서 주인을 죽인 자, 또는 관노(官奴)로서 관장(官長)을 죽인 자 등을 이른다. [ (綱: 벼리 강) (常: 항상 상) (罪: 허물 죄) (人: 사람 인) ]
- 강기숙정(綱紀肅正) :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 (綱: 벼리 강) (紀: 벼리 기) (肅: 엄숙할 숙) (正: 바를 정) ]
[肅] 엄숙할 숙 (엄숙하다, 공경하다, 정중(鄭重)하다, 경계하다, 가지런하다)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강기숙정(綱紀肅正) :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 (綱: 벼리 강) (紀: 벼리 기) (肅: 엄숙할 숙) (正: 바를 정) ]
- 사은숙배(謝恩肅拜) : 예전에,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공손하고 경건하게 절을 올리던 일. [ (謝: 사례할 사) (恩: 은혜 은) (肅: 엄숙할 숙) (拜: 절 배) ]
- 자숙자계(自肅自戒) :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조심하고 경계함. [ (自: 스스로 자) (肅: 엄숙할 숙) (自: 스스로 자) (戒: 경계할 계) ]
[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항사(恒沙) : 항하(갠지스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한(無限)히 많은 수량(數量)'을 일컬음. [ (恒: 항상 항) (沙: 모래 사) ]
- 강장하무약병(强將下無弱兵) : 강(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 (强: 굳셀 강) (將: 장수 장) (下: 아래 하) (無: 없을 무) (弱: 약할 약) (兵: 군사 병) ]
- 면리침(綿裏針) : 겉으로는 부드러운 체하나 속으로는 아주 흉악함을 이르는 말. [ (綿: 솜 면) (裏: 속 리) (針: 바늘 침) ]
[법]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옥루흔(屋漏痕) : 지붕이 새는 흔적이라는 뜻으로, 지붕이 새어 천장에 아롱진 빗물 자국처럼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초서(草書)의 필법(筆法)을 이르는 말. [ (屋: 집 옥) (漏: 샐 루) (痕: 흉터 흔) ]
- 경정직행(徑情直行) : 예절이나 법식 따위에 얽매이지 않고 곧이곧대로 행동함. [ (徑: 지름길 경) (情: 뜻 정) (直: 곧을 직) (行: 갈 행) ]
- 법고창신(法古創新) : 옛 것을 법으로 삼아 새 것을 창조한다는 뜻으로, 과거를 밑거름으로 해서 새로운 것을 도출해낸다는 의미. [ (法: 법 법) (古: 예 고) (創: 비롯할 창) (新: 새 신) ]
[기율]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망유기극(罔有紀極) : 기율(紀律)에 어그러짐이 매우 심함. [ (罔: 그물 망) (有: 있을 유) (紀: 벼리 기) (極: 다할 극) ]
- 강기숙정(綱紀肅正) :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 (綱: 벼리 강) (紀: 벼리 기) (肅: 엄숙할 숙) (正: 바를 정) ]
- 풍기문란(風紀紊亂) : 풍속이나 규범 따위를 어기고 어지럽히는 일. [ (風: 바람 풍) (紀: 벼리 기) (紊: 어지러울 문) (亂: 어지러울 란) ]
[나라] 관련 한자어 더보기
- 남우(濫竽)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竽: 피리 우) ]
- 당내지친(堂內至親) :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 (堂: 집 당) (內: 안 내) (至: 이를 지) (親: 친할 친) ]
- 망국지한(亡國之恨) : 나라가 망하여 없어진 것에 대한 한(恨). [ (亡: 잃을 망) (國: 나라 국) (之: 갈 지) (恨: 한할 한) ]
[엄숙] 관련 한자어 더보기
- 강기숙정(綱紀肅正) :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 (綱: 벼리 강) (紀: 벼리 기) (肅: 엄숙할 숙) (正: 바를 정) ]
- 막엄지지(莫嚴之地) : 더할 바 없이 엄숙한 곳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앞이나 임금이 거처하는 곳을 이르는 말. [ (莫: 없을 막) (嚴: 엄할 엄) (之: 갈 지) (地: 땅 지) ]
- 고담준론(高談峻論) : (1)뜻이 높고 바르며 엄숙하고 날카로운 말. (2)아무 거리낌 없이 잘난 체하며 과장하여 떠벌리는 말. [ (高: 높을 고) (談: 말씀 담) (峻: 높을 준) (論: 의논할 론) ]
- 단엄침중(端嚴沈重) : 단정하고 엄숙하며 침착하고 무게가 있음. [ (端: 바를 단) (嚴: 엄할 엄) (沈: 잠길 침) (重: 무거울 중) ]
- 내복의상(乃服衣裳) : 이에 의복(衣服)을 입게 하니 황제(黃帝)가 의관(衣冠)을 지어 등분(等分)을 분별(分別)하고 위의(威儀)를 엄숙(嚴肅)케 하였음. [ (乃: 이에 내) (服: 옷 복) (衣: 옷 의) (裳: 치마 상) ]
[풍속] 관련 한자어 더보기
- 산호혼식(珊瑚婚式) : 서양 풍속에서, 결혼 3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산호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 (珊: 산호 산) (瑚: 산호 호) (婚: 혼인할 혼) (式: 법 식) ]
- 순풍미속(淳風美俗) : 인정이 두텁고 아름다운 풍속이나 습관. [ (淳: 순박할 순) (風: 바람 풍) (美: 아름다울 미) (俗: 풍속 속) ]
- 상풍패속(傷風敗俗) : 풍속을 문란하게 함. 또는 부패하고 문란한 풍속. [ (傷: 다칠 상) (風: 바람 풍) (敗: 패할 패) (俗: 풍속 속) ]
- 고래지풍(古來之風) :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풍속. [ (古: 예 고) (來: 올 래) (之: 갈 지) (風: 바람 풍) ]
- 피발좌임(被髮左衽) : 머리를 풀고 옷깃을 왼쪽으로 여민다는 뜻으로, 미개한 나라의 풍습을 이르는 말. [ (被: 이불 피) (髮: 터럭 발) (左: 왼 좌) (衽: 옷깃 임) ]
[풍습] 관련 한자어 더보기
- 폐풍악습(弊風惡習) : 폐해(弊害)가 되는 나쁜 풍습(風習). [ (弊: 해어질 폐) (風: 바람 풍) (惡: 악할 악) (習: 익힐 습) ]
- 피발좌임(被髮左衽) : 머리를 풀고 옷깃을 왼쪽으로 여민다는 뜻으로, 미개한 나라의 풍습을 이르는 말. [ (被: 이불 피) (髮: 터럭 발) (左: 왼 좌) (衽: 옷깃 임) ]
- 강기숙정(綱紀肅正) :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 (綱: 벼리 강) (紀: 벼리 기) (肅: 엄숙할 숙) (正: 바를 정) ]
- 선건전곤(旋乾轉坤) : (1)천지를 뒤집는다는 뜻으로, 나라의 난을 평정함을 이르는 말. (2)나라의 나쁜 풍습을 크게 고침을 이르는 말. [ (旋: 돌 선) (乾: 마를 건) (轉: 구를 전) (坤: 곤괘 곤) ]
- 개화사상(開化思想) : 낡은 제도나 풍습 등을 없애고 외국의 발전된 문화를 받아들이려는 생각. [ (開: 열 개) (化: 화할 화) (思: 생각할 사) (想: 생각 상) ]
댓글 없음:
댓글 쓰기